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네비라핀

HIV/AIDS 예방 및 치료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네비라핀
Remove ads

네비라핀(Nevirapine, NVP)은 상품명 비라뮨(Viramune)으로 HIV/AIDS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며 특히 HIV-1에 대해 작용한다.[3] 보통 항레트로바이러스 약제(antiretroviral therapy, ART)와 함께 사용이 추천된다.[3] 산모가 태아에게 출산 동안 HIV를 전달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노출로 인한 위험으로 인해 추천되지는 않는다.[3] 경구 복용한다.[3]

간략 정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식별 정보 ...
Remove ads

흔한 부작용으로 발진, 두통, 오심, 피로, 간기능 이상을 포함한다.[3] 간기능 이상과 피부 발진은 심각할 수 있고 치료 시작 후 처음 몇 달간 확인이 필요하다.[3][4] 임신 기간 동안 안전하며 역전사 효소의 기능을 막는 기전으로 작용하는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NNRTI)로 분류된다.[3]

네비라핀은 1996년 미국에서 의학적 사용으로 승인되었다.[3] 네비라핀은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록되었다.[5] 현재 제네릭 의약품으로 허가되었다.[3]

Remove ads

효능

요약
관점

네비라핀은 6살 이상의 HIV-1에 감염된 환자들에게 항레트로바이러스 약제와 함께 사용된다. 단독요법은 내성이 생기기 쉬워 권고하지 않는다.[6][7]

네비라핀을 포함한 3중 요법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약제를 사용한 적이 없는 환자에게서 바이러스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8] 일부 임상시험에서는 네비라핀을 사용한 치료법이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9][10]에파비렌즈[11]를 사용한 것에 비해 HIV를 억제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보통 CD4 세포의 수가 매우 낮을 때에만 사용이 고려된다.[6]

비록 낮은 CD4 세포를 가졌거나 바이러스 수가 높은 환자에게서 네비라핀을 사용한 치료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는 있지만 하지만 몇몇 분석들은 니베라핀이 위의 집단 환자들에게 충분히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11]

아이들에게서의 용량은 신체 표면적(BSA)에 따라 결정되지만[6] 최근 체중 기반의 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체중 기반 가이드라인은 아주 어린 신생아에게서도 적용할 수 있다.[12]

HIV 수직 감염 예방

우간다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산모와 아이가 네비라핀을 복용하면 HIV 수직 감염률을 지도부딘에 비해 약 50%까지 낮출 수 있다.[13] 태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네비라핀과 지도부딘을 함께 예방용으로 복용하는 것은 지도부딘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효과적이었다.[14] 하지만 미국에서 위 논문들에 대한 결점이 발견되었고,[15] 이로 인해 2006년 FDA는 네비라딘을 예방용으로 복용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게 되었다.[16]

하지만 HIVNET 012 실험에 대한 지지자들은 위 실험의 결점들이 관료주의적인 시각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예방용으로서의 네비라핀 복용의 효과와 안전성은 과학적으로 확실하기 때문에 이를 무시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17] 또한 이들은 자원이 부족해 힘겹게 연구를 진행하는 아프리카의 연구자들을 서양 연구자들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며, 아프리카 연구자들의 업적을 하찮게 대하는 방식은 아프리카 과학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 주장한다.[18] 2013년 9월, 네비라핀이 수유 기간 동안 HIV 수직 감염 예방에 사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임상시험이 이루어졌다.[19]

이러한 논란이 발생하는 이유는 네비라핀을 복용하면 산모와 태아에서 모두 NNRTI(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약물에 대한 내성이 발견되기 때문이며[20] 앞으로 NNRTI를 포함하는 치료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21]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U.S. Public Health Service Task는 라미부딘/지도부딘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22]

Remove ads

부작용

가장 흔한 네비라핀의 부작용은 미약하거나 중등도의 발진(13%)이 나타난다는 것이다.[23][24]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할만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독성 표피 괴사, 과민반응을 포함한 피부반응이 1.5%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23]

네비라핀은 특히 치료 시작 후 6주 후에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할만한 간독성을 보일 수 있다.[23][25] 2000년, 미국의 FDA는 네비라핀에 블랙박스 경고(black box warning)를 표기하고 이 약이 간독성과 피부반응에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했다.[2] 특정 집단의(여성의 CD4수>250, 남성의 CD4수>400인 집단)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심각한 수준의 간질환으로 인해 미국 보건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HHS)에서 네비라핀을 아무리 환자들이 네비라핀을 복용함으로서 얻는 이익이 크더라도, 위험요인이 낮은 환자들에게만 사용하도록 제한했다.[25] 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U.S. Public Health Service Task Force)는 네비라핀을 임신 중 사용하는 것은 네비라핀의 독성을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6]

면역재건후 증후군(Immune reconstitution syndrome, IRS)과 지방 재분포(fat redistribution) 역시 네비라핀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관찰된 부작용이다.[2]

미국 FDA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 네비라핀을 중단하라고 권고한다[2] :

  • 간염과 같은 간질환 관련 증상이나 신호
  • 발진이나 전신적 증상 및 전이효소(transaminases)의 증가
  • 발진과 전신적 증상
  • 심각한 피부반응 및 과민반응

추가적으로 미국 FDA는 초기 6주 동안은 이 시기에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환자가 위의 증상들이 발생하지 않는지 면밀히 모니터링 할 것을 권고한다.[2]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초기 18주까지 지속되어야 하며 만약 환자가 간염이나 발진, 과민반응 또는 다른 전신적 증상을 호소하면 네비라핀을 바로 종료하고 다시 사용해서는 안된다.[2]

Remove ads

약물 상호작용

네비라핀은 CYP3A와 CYP2B6이라는 간효소의 기질이라서 위의 효소들을 억제하는 리토나비르, 포삼프레나비르, 플루코나졸과 같은 약물들과 함께 사용하면 네비라핀의 혈중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27] 반대로 위의 효소들을 유도하는 리팜피신과 같은 약물들은 네비라핀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28]

또한 세인트존스워트(St. John's wort)로 알려진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CYP3A4와 CYP1A2를 유도하기 때문에 세인트존스워트와 네비라핀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현저하게 네피라핀의 혈중 농도를 낮출 수 있다.[27]

네비라핀은 시토크롬 P450(cytochrome P450), CYP3A4, CYP2B6을 유도하기 때문에 위의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여러 약물들(에파비렌즈, 인디나비르, 로피나비르, 넬피나비르, 사퀴나비르, 클래리트로마이신, 케토코나졸, 호르몬 피임약, 메타돈)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29]

작용기전

Thumb
공과 막대로 표현된 네비라핀의 구조

네비라핀은 NNRTI(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에 속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이다.[30] NRTI(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와 NNRTI 모두 바이러스 RNADNA로 번역하는 바이러스의 효소인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억제한다.[31] 다만 중합효소(polymerase)의 활성자리에 결합하는 NRTI와 다르게 NNRTI는 활성자리에서 10 angstrom 떨어져 있는 p66의 서브도메인의 소수성 주머니(NNRTI 주머니로 알려져 있다)에 결합하여 역전사를 NRTI와는 다른 방법으로 억제한다.[32]

네비라핀은 HIV-2의 역전사 효소의 주머니가 HIV-1과는 다른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HIV-2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이는 HIV-2가 NNRTI 약물들에 내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의미한다.[33]

네비라핀의 내성은 바이러스의 복제가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을 때 빠르게 발전한다.[34] 네비라핀 치료 후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바이러스 돌연변이는 Y181C와 K103N이며 이들은 네비라핀 외의 다른 NNRTI 약물들에서도 발견된다.[35][36] 모든 NNRTI 약물들이 같은 주머니에 결합하기 때문에 네비라핀에 내성을 가지는 바이러스 종들은 보통 다른 NNRTI 약물들(에파비렌즈, 델라비르딘)에서도 내성을 나타낸다.[37] 그러나 2세대 NNRTI 약물들(릴피비린, 에트라비린)의 경우 네비라핀과 같은 1세대 NNRTI 약물들에 비해 HIV 종들의 내성 치료에 효과적이다.[38]

Remove ads

역사

네비라핀은 Karl D. Hargrave과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의 동료가 함께 발견했다.[39] 네비라핀은 지금까지 미국의 환자 5,366,972명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40] 네비라핀은 1996년 6월 21일에 FDA에서 허가된 최초의 NNRTI이다.[41] 네비라핀은 이후 유럽에서도 1997년 허가되었다.[42]

사회와 문화

이전 미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PEPFAR funding이 5억달러가 모여 네비라핀을 포함한 여러 의학적 프로그램들이 아프리카 에이즈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43]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