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농부의 결혼식
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농부의 결혼식》(영어: The Peasant Wedding)은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르네상스 화가이자 판화가인 피터르 브뤼헐이 1567년에 그린 풍속화이다.[1] 그는 농민의 삶을 여러 차례 묘사한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현재 이 작품은 오스트리아 빈의 미술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브뤼헐은 농민과 그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즐겨 그렸기 때문에 ‘농민 브뤼헐’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동시에 지식인이기도 했으며 그의 많은 작품은 상징적 의미와 도덕적 측면을 함께 담고 있다.[2][3][4]
Remove ads
장면
작품 속 신부는 초록색 천으로 된 벽 장식 앞에 두 손을 모아 앉아 있으며, 머리에는 종이 왕관을 쓰고 있다. 그녀는 주위에서 흥겹게 먹고 마시는 분위기와 달리 조용히 앉아 있는 듯하다. 반면, 작품 속 신랑이 누구인지는 여러 추측이 있다. 잔치는 여름철의 헛간에서 열리고 있는데, 곡식단 두 개와 갈퀴가 수확과 농민의 고된 삶을 상기시킨다. 하인들은 경첩에서 떼어낸 문짝을 쟁반 삼아 음식을 나르고 있다. 주된 음식은 빵, 죽, 수프이다. 두 명의 피리 연주자가 백파이프(파이프자크)를 연주하고 있고, 앞쪽에 모자를 쓰고 치마를 입은 소년은 접시를 핥고 있다. 오른쪽 끝에는 칼을 찬 부유한 남자가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으며, 흰 개 한 마리가 테이블 아래에서 빵 조각을 먹으려 얼굴을 내밀었다. 이 그림은 16세기 농민의 결혼식 풍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Remove ads
신랑
이 그림에서 신랑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어 왔다. 여러 비평가들은 신랑이 그림 중앙에서 옆모습으로 그려진 검은 코트를 입은 남자라고 주장하거나,[6][7] 혹은 신부의 오른쪽 벽 쪽에 앉아 숟가락으로 음식을 먹고 있는 부유한 집안의 교양 없어 보이는 아들이라고 추측했다.[8] 또 다른 의견으로는 당시의 풍습에 따라 신랑은 자리에 앉지 않고 맥주를 따르는 남자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9]
같은 풍습에 비추어 보면, 신랑은 붉은 모자를 쓰고 식탁 끝에서 손님들에게 음식을 건네는 남자일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10]
프로이트적인 해석에서 루디 러커는 다음과 같이 추측했다.[11]
“…신랑은 붉은 모자를 쓰고 신부 쪽으로 음식을 건네고 있는 남자다. 이는 남편이 아내에게 다가가는 행위의 상징이라 볼 수 있다. 그의 주변으로 아내를 향해 뻗은 남자의 팔, 식탁 위의 칼, 그리고 소금통이라는 세 가지 남근적 상징이 있다. 그리고 남자의 팔 끝에 있는 타원형 접시가 각도와 위치상 신부의 질(膣)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일부 저자들은 그림 속에 아예 신랑이 등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 데르 엘스트는 이는 “자신의 결혼식에조차 참석하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이라는 옛 플랑드르 속담을 묘사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12] 또 어떤 이들은 이를 성서 속 가나의 혼인잔치와 연관시키기도 한다.[13] 일부 학자들은 이 그림을 부패한 교회를 풍자하는 기독교적 우화로 해석했다. 성경에서는 교회를 그리스도의 신부로 비유하기도 하는데, 이 그림에서는 신랑(그리스도)이 나타나지 않아, 신부(교회)가 주인을 기다리지 못한 채 타락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14]
Remove ads
의문의 “세 번째 발”

그림을 본 많은 사람들은 오른쪽에서 쟁반(문짝)을 들고 있는 붉은 옷을 입은 하인에게 세 번째 발이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의아해 했다. 브뤼헐의 아들이자 화가 소 피터르 브뤼헐은 이 발이 실수이거나 최소한 감상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요소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가 1620년에 그린 아버지 작품의 모사본에서는 이 세 번째 발을 아예 지워버렸다. 그러나 학자 클로딘 마이첼스의 분석에 따르면, 인물들의 각도와 상대적 위치를 고려했을 때, 이 “세 번째 발”은 신랑으로 추측되기도 했던 접시를 테이블로 옮기고 있는 갈색 옷을 입은 남자가 반쯤 웅크리며 내밀고 있는 왼발이라고 주장했다.[15]
대중문화 속에서
브뤼헐의 《농부의 결혼식》은 《아스테릭스 벨기에 원정》에서 패러디되었다.[16][17] 또 하나의 패러디는 197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벨기에 출품작의 엽서에서 등장했다.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