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1970–1979)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70년
| 메르데카컵 7월 31일 | 대한민국 |
0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2일 | 대한민국 |
1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4일 | 대한민국 |
4 – 0 | 피낭주,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페낭 네게리 풀라우 피낭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6일 | 대한민국 |
2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9일 | 대한민국 |
0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13일 | 대한민국 |
3 – 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16일 | 대한민국 |
1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킹스컵 11월 10일 | 대한민국 |
3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2일 | 대한민국 |
4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4일 | 대한민국 |
0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6일 | 대한민국 |
4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8일 | 대한민국 |
2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20일 | 태국 |
0 – 1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11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20:15 UTC+7 |
|
경기장: Tarua Stadium 관중 수: 20,000 심판: 응우옌꽝또아이 (베트남)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13일 | 인도네시아 |
0 – 0 | 방콕, 태국 | |||
| 20:00 UTC+7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우 키야우 녜인 (버마)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15일 | 대한민국 |
2 – 1 | 방콕, 태국 | |||
| 20:45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응우옌꽝또아이 (베트남)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17일 | 미얀마 |
1 – 0 | 방콕, 태국 | |||
| 20:45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오이 포 화 (말레이시아)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18일 | 일본 |
1 – 2 (연장전) | 방콕, 태국 | |||
| 19:00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완차이 수바레 (태국) | ||||
| 1970년 아시안 게임 12월 20일 | 대한민국 |
0 – 0 (연장전) | 방콕, 태국 | |||
| 17:00 UTC+7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마니트 스리다라놉 (태국) | |||||
Remove ads
1971년
| 친선경기 2월 10일 | 페루 |
4 – 0 | 리마, 페루 | |||
| 22:00 UTC−5 | 경기장: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델 페루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2일 | 대한민국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6일 | 대한민국 |
5 – 1 | 서울, 대한민국 | |||
| 19:5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9일 | 대한민국 |
2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5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1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5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3일 | 대한민국 |
0 – 0 | 서울, 대한민국 | |||
| 18:5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심판: 외포아 (말레이시아)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5일 | 대한민국 |
0 – 0 (연장전)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친선경기 9월 10일 | 대한민국 |
2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3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 |||||
| 친선경기 9월 12일 | 대한민국 |
0 – 2 | 서울, 대한민국 | |||
| 19:3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 |||||
| 뮌헨 올림픽 예선경기 9월 25일 | 말레이시아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45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심판: Nguyễn Quang Toại (베트남 공화국) | ||||
| 뮌헨 올림픽 예선경기 9월 29일 | 대한민국 |
6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45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심판: Lee Kan Chi (홍콩) | |||||
| 뮌헨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2일 | 대한민국 |
2 – 1 | 서울, 대한민국 | |||
| 16:45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고빈다사미 수피아 (싱가포르) | ||||
| 뮌헨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4일 | 대한민국 |
8 – 0 | 서울, 대한민국 | |||
| 18: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심판: Daniel Anthony Matulessy (인도네시아) | |||||
| 킹스컵 11월 8일 | 대한민국 |
2 – 2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2일 | 대한민국 |
0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4일 | 대한민국 |
1 – 1 (연장전) (2–1 승부차기)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승부차기 | ||||||
| ||||||
| 킹스컵 11월 16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Remove ads
1972년
| 1972년 AFC 아시안컵 5월 7일 | 대한민국 |
0 – 0 (연장전) (2–4 승부차기)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6,000명 | ||||||
| 승부차기 | ||||||
| ||||||
| 1972년 AFC 아시안컵 5월 10일 | 대한민국 |
4 – 1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1972년 AFC 아시안컵 5월 12일 | 대한민국 |
1 – 2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1972년 AFC 아시안컵 5월 17일 | 대한민국 |
1 – 1 (연장전) (2–1 승부차기)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50,000명 | ||||
| 승부차기 | ||||||
| ||||||
| 1972년 AFC 아시안컵 5월 19일 | 이란 |
2 – 1 (연장전)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15,000명 심판: Sivapalan Kathiravale (말레이시아) | ||||
| 메르데카컵 7월 15일 | 홍콩 |
0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17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Thaung Tin (버마) | ||||||
| 메르데카컵 7월 19일 | 대한민국 |
4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Meth Sak (크메르 공화국) | |||||
| 메르데카컵 7월 23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H.S Dhillon (싱가포르) | ||||||
| 메르데카컵 7월 26일 | 대한민국 |
3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29일 | 말레이시아 |
1 – 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0:15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40,000명 심판: 기무라 다다시 (일본) | ||||
| 한일 정기전 7월 29일 | 일본 |
2 – 2 | 도쿄, 일본 | |||
| 19:0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심판: 룩 탓 순 (홍콩)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0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18: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2일 | 대한민국 |
3 – 1 | 서울, 대한민국 | |||
| 18: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4일 | 대한민국 |
2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4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7일 | 대한민국 |
0 – 1 | 서울, 대한민국 | |||
| 19: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30일 | 대한민국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친선경기 10월 22일 | 대한민국 |
1 – 1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5,000명 심판: 김주원 (대한민국) | |||
| 친선경기 10월 24일 | 대한민국 |
0 – 2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7,000명 심판: 맹명섭 (대한민국) | ||||
| 킹스컵 11월 18일 | 대한민국 |
4 – 1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22일 | 인도네시아 |
1 – 1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24일 | 대한민국 |
2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26일 | 대한민국 |
0 – 1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28일 | 대한민국 |
0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Remove ads
1973년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5월 18일 | 대한민국 |
4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4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6,352명 심판: Ruslan Hatta (인도네시아)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5월 21일 | 대한민국 |
0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45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5,554명 심판: U Tin Thut (버마)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5월 23일 | 대한민국 |
0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45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심판: U Tin Thut (버마)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5월 26일 | 대한민국 |
3 – 1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심판: Ruslan Hatta (인도네시아)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5월 28일 | 대한민국 |
1 – 0 (연장전) | 서울, 대한민국 | |||
| 19: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40,000명 심판: U Tin Thut (버마) | ||||
| 한일 정기전 6월 23일 | 대한민국 |
2 – 0 | 서울, 대한민국 | |||
| 17: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K.마헨드란 (말레이시아)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2일 | 대한민국 |
6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2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4일 | 대한민국 |
3 – 1 | 서울, 대한민국 | |||
| 19: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28일 | 대한민국 |
0 – 1 | 서울, 대한민국 | |||
| 18: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30일 | 대한민국 |
2 – 0 | 서울, 대한민국 | |||
| 14: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10월 28일 | 오스트레일리아 |
0 – 0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
| 15:00 UTC+10 | 경기장: Sydney Sports Ground 관중 수: 32,005명 심판: Vital Loraux (벨기에)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11월 10일 | 대한민국 |
2 – 2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2,000명 심판: Arie Van Gemert (네덜란드) | ||||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11월 13일 | 오스트레일리아 |
1 – 0 | 홍콩 | |||
| 20:00 UTC+8 |
|
경기장: 홍콩 정부 경기장 관중 수: 27,284명 심판: Arie Van Gemert (네덜란드) | ||||
| 킹스컵 12월 16일 | 대한민국 |
5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2월 18일 | 대한민국 |
0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2월 22일 | 대한민국 |
2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 ||||||
| 킹스컵 12월 25일 | 말레이시아 |
1 – 2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Remove ads
1974년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3일 | 대한민국 |
0 – 1 | 서울, 대한민국 | |||
| 19: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명 심판: 코사시 카르타디레자 (인도네시아)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8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4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야스다 (일본) | |||||
| 1974년 아시안 게임 9월 4일 | 대한민국 |
1 – 0 | 테헤란, 이란 | |||
| 16:45 UTC+3:30 |
|
경기장: Amjadiyeh Stadium 관중 수: 10,000명 심판: Eitan (이스라엘) | ||||
| 1974년 아시안 게임 9월 6일 | 쿠웨이트 |
4 – 0 | 테헤란, 이란 | |||
| 18:30 UTC+3:30 |
|
경기장: 아리아메르 스타디움 | ||||
| 1974년 아시안 게임 9월 9일 | 이라크 |
1 – 1 | 테헤란, 이란 | |||
| 19:00 UTC+3:30 |
|
|
경기장: 아리아메르 스타디움 | |||
| 1974년 아시안 게임 9월 11일 | 이란 |
2 – 0 | 테헤란, 이란 | |||
| 19:00 UTC+3:30 |
|
경기장: 아리아메르 스타디움 관중 수: 50,000 심판: Ibrahim Youssef Al-Doy (바레인) | ||||
| 1974년 아시안 게임 9월 13일 | 대한민국 |
2 – 3 | 테헤란, 이란 | |||
| 19:00 UTC+3:30 |
|
경기장: Amjadiyeh Stadium | ||||
| 한일 정기전 9월 28일 | 일본 |
4 – 1 | 도쿄, 일본 | |||
| 15:3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12,000명 심판: 고빈다사미 수피아 (싱가포르) | ||||
| 킹스컵 12월 11일 | 대한민국 |
4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15,000명 | ||||||
| 킹스컵 12월 13일 | 대한민국 |
2 – 1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2월 15일 | 대한민국 |
2 – 2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1월 14일 | 대한민국 |
0 – 0 (연장전) (5–3 승부차기)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50,000명 | ||||||
| 승부차기 | ||||||
| ||||||
| 킹스컵 11월 20일 | 태국 |
1 – 3 (연장전) | 방콕, 태국 | |||
| 19:00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50,000명 | ||||
| 홍콩 4개국 친선대회 12월 25일 | 대한민국 |
3 – 1 | 홍콩 | |||
|
경기장: 홍콩 정부 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 |||||
Remove ads
1975년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월 16일 | 말레이시아 |
2 – 1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월 19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월 22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500명 | |||||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월 24일 | 태국 |
1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0,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16일 | 대한민국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5월 22일 | 미얀마 |
0 – 1 | 서울, 대한민국 | |||
| 18:4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나가시마 마사토시 (일본) | ||||
| 자카르타컵 6월 12일 | 대한민국 |
2 – 0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
경기장: 세나얀 운동장 | |||||
| 자카르타컵 6월 16일 | 대한민국 |
1 – 1 (연장전) (3–4 승부차기)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
|
경기장: 세나얀 운동장 심판: Mohammad Kosasih (인도네시아) | ||||
| 승부차기 | ||||||
| ||||||
| 자카르타컵 6월 18일 | 인도네시아 |
3 – 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
경기장: 세나얀 운동장 | |||||
| 메르데카컵 7월 29일 | 말레이시아 |
1 – 3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19:00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35,000명 심판: 우 틴 툿 (버마) | ||||
| 메르데카컵 8월 1일 | 홍콩 |
0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0:40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난 바삭 (방글라데시) | ||||
| 메르데카컵 8월 3일 | 대한민국 |
3 – 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1:15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시바팔란 카티르발레 (말레이시아) | ||||
| 메르데카컵 8월 7일 | 대한민국 |
6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1:15 UTC+8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8,000명 심판: 고 관 키아트 (말레이시아) | |||||
| 메르데카컵 8월 9일 | 대한민국 |
3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1:15 UTC+8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모하메드 누르 사우드 (말레이시아) | |||
| 메르데카컵 8월 11일 | 대한민국 |
5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19:30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15일 | 대한민국 |
4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17일 | 대한민국 |
1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20:00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60,000명 심판: 아사미 토시오 (일본) | ||||
| 한일 정기전 9월 8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5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0,000명 심판: 비지트 케트카우 (태국)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12월 14일 | 중화민국 |
0 – 2 | 가오슝, 중화민국 | |||
| 경기장: 국립경기장 관중 수: 24,000명 심판: 고빈다사미 수피아 (싱가포르) | ||||||
| 킹스컵 12월 21일 | 대한민국 |
3 – 1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2월 23일 | 태국 |
2 – 1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 ||||
| 킹스컵 12월 27일 | 대한민국 |
2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 ||||||
| 킹스컵 12월 30일 | 대한민국 |
5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3,000명 | ||||||
Remove ads
1976년
| 킹스컵 1월 4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20,000명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3월 6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경기장: 서울운동장 심판: 와타나 프롬사카 (태국)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3월 21일 | 일본 |
0 – 2 | 도쿄, 일본 | |||
| 14:30 UTC+9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58,000명 심판: 고빈다사미 수피아 (싱가포르)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3월 27일 | 대한민국 |
2 – 2 | 서울, 대한민국 | |||
| 14:3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청 퀴 (홍콩)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4월 4일 | 대한민국 |
1 – 3 | 서울, 대한민국 | |||
| 14:3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심판: 하르파잔 싱 딜론 (싱가포르) | ||||
| 몬트리올 올림픽 예선경기 4월 28일 | 이스라엘 |
0 – 0 | 텔아비브, 이스라엘 | |||
| 15:30 UTC+2 | 경기장: 라마트간 스타디움 관중 수: 20,000명 심판: 에리히 리네마이어 (오스트리아) | |||||
| 메르데카컵 8월 7일 | 말레이시아 |
2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30,000명 | ||||
| 메르데카컵 8월 10일 | 인도 |
0 – 8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10,000명 | ||||||
| 메르데카컵 8월 12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3,000명 | ||||||
| 메르데카컵 8월 15일 | 대한민국 |
2 – 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18일 | 대한민국 |
0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8월 20일 | 대한민국 |
2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11일 | 대한민국 |
4 – 4 | 서울, 대한민국 | |||
| 15:3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13일 | 대한민국 |
4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1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2,000명 심판: 론 헤리스 (뉴질랜드)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17일 | 대한민국 |
7 – 0 | 서울, 대한민국 | |||
| 19:1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2,000명 심판: 우 틴 틋 (버마)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23일 | 뉴질랜드 |
0 – 2 | 서울, 대한민국 | |||
| 19:1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P. 자야람 (싱가포르) | |||||
| 한일 정기전 12월 4일 | 일본 |
1 – 2 | 도쿄, 일본 | |||
| 14:0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8,464명 심판: 찬 탐 순 (홍콩) | ||||
| 킹스컵 12월 15일 | 태국 |
2 – 1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킹스컵 12월 17일 | 대한민국 |
4 – 0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15,000명 | ||||||
| 킹스컵 12월 22일 | 말레이시아 |
1 – 1 (연장전) (3–2 승부차기) |
방콕, 태국 |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 승부차기 | ||||||
Remove ads
1977년
| 친선경기 2월 14일 | 싱가포르 |
0 – 4 | 싱가포르 | |||
| 경기장: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관중 수: 20,000명 | ||||||
| 친선경기 2월 18일 | 바레인 |
1 – 4 | 마나마, 바레인 | |||
|
경기장: 바레인 국립경기장 | |||||
| 친선경기 2월 20일 | 바레인 |
1 – 1 | 마나마, 바레인 | |||
|
|
경기장: 바레인 국립경기장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2월 27일 | 이스라엘 |
0 – 0 | 텔아비브, 이스라엘 | |||
| 15:30 UTC+2 | 경기장: 라마트간 스타디움 관중 수: 24,400명 심판: 브라이언 맥긴리 (스코틀랜드)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3월 20일 | 대한민국 |
3 – 1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8,718명 심판: 고 관 키아트 (말레이시아)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3월 26일 | 일본 |
0 – 0 | 도쿄, 일본 | |||
| 14:10 UTC+9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9,266명 심판: 시바팔란 카티르발레 (말레이시아)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4월 3일 | 대한민국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00 UTC+9 | 경기영상 - 대한뉴스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심판: 자이날 아비딘 바카르 (말레이시아) | ||||
| 한일 정기전 6월 15일 | 대한민국 |
2 – 1 | 서울, 대한민국 | |||
| 17: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8월 1일 | 홍콩 |
0 – 1 | 홍콩 | |||
| 20:00 UTC+8 |
|
경기장: 홍콩 정부 경기장 관중 수: 26,952명 심판: 페르디난트 비베르시 (서독)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7월 3일 | 대한민국 |
0 – 0 | 부산, 대한민국 | |||
| 17:00 UTC+9 | 경기장: 공설운동장 관중 수: 14,882명 심판: 이안 푸트 (스코틀랜드) | |||||
| 메르데카컵 7월 17일 | 대한민국 |
4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15,000명 | ||||||
| 메르데카컵 7월 20일 | 대한민국 |
4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Suharso Sjakban (인도네시아) | ||||
| 메르데카컵 7월 22일 | 대한민국 |
5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25,000명 | |||||
| 메르데카컵 7월 24일 | 대한민국 |
4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오트만 빈 오마르 (말레이시아) | ||||||
| 메르데카컵 7월 26일 | 대한민국 |
1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30,000명 심판: U Kway Zaw (버마) | |||||
| 메르데카컵 7월 28일 | 이라크 |
1 – 1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Suharso (인도네시아) | ||||
| 메르데카컵 7월 31일 | 대한민국 |
1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20,000명 심판: 자이날 아비딘 바카르 (말레이시아)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8월 27일 | 오스트레일리아 |
2 – 1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
| 15:00 UTC+10 |
|
|
경기장: Sydney Sports Ground 관중 수: 8,719명 심판: 얀 카이저 (네덜란드)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3일 | 대한민국 |
5 – 1 | 서울, 대한민국 | |||
| 15:3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0,000명 심판: 조지 조셉 (말레이시아)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5일 | 대한민국 |
3 – 0 | 대구, 대한민국 | |||
| 18:45 UTC+9 | 경기장: 대구시민운동장 심판: Ibrahim Youssef Al-Doy (바레인) | |||||
|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9월 13일 | 대한민국 |
3 – 0 | 서울, 대한민국 | |||
| 16: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0,000명 심판: 이크라울 학 (인도)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9일 | 대한민국 |
1 – 0 | 서울, 대한민국 | |||
| 14:3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0,000명 심판: 쥴리오 치아치 (이탈리아)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23일 | 대한민국 |
0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3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울프 에릭숀 (스웨덴)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1월 5일 | 쿠웨이트 |
2 – 2 | 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 | |||
| 17:00 UTC+3 |
|
경기장: 쿠웨이트 국립경기장 관중 수: 33,342명 심판: 장 뒤바슈 (스위스)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1월 11일 | 이란 |
2 – 2 | 테헤란, 이란 | |||
|
|
경기장: 아리아메르 스타디움 관중 수: 85,000명 심판: 패트릭 패트리지 (잉글랜드) | ||||
|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2월 4일 | 대한민국 |
5 – 2 | 부산, 대한민국 | |||
| 14:30 UTC+9 |
|
경기장: 공설운동장 관중 수: 15,184명 심판: 하인츠 알딩거 (서독) | ||||
Remove ads
1978년
| 메르데카컵 7월 12일 | 말레이시아 |
1 – 3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50,000명 | |||||
| 메르데카컵 7월 14일 | 대한민국 |
3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16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19일 | 대한민국 |
4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22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수와르디 (인도네시아) | ||||||
| 메르데카컵 7월 25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27일 | 시리아 |
0 – 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 메르데카컵 7월 29일 | 대한민국 |
2 – 0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관중 수: 25,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11일 | 대한민국 |
2 – 2 | 부산, 대한민국 | |||
| 19:45 UTC+9 |
|
|
경기장: 공설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9월 13일 | 대한민국 |
3 – 1 | 대구, 대한민국 | |||
| 19:00 UTC+9 |
|
경기장: 대구시민운동장 관중 수: 35,000명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1일 | 바레인 |
1 – 5 | 방콕, 태국 | |||
| 17:00 UTC+7 |
|
경기장: Chulalongkorn University Stadium 심판: 나지 (이라크)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3일 | 대한민국 |
2 – 0 | 방콕, 태국 | |||
| 20:10 UTC+7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비지트 케트카우 (태국)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5일 | 일본 |
1 – 3 | 방콕, 태국 | |||
| 17:00 UTC+7 |
|
경기장: Chulalongkorn University Stadium 심판: 사가르 쿠마르 센 (인도)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7일 | 대한민국 |
0 – 1 | 방콕, 태국 | |||
| 17:45 UTC+7 |
|
경기장: Chulalongkorn University Stadium 심판: 알리 알바나이 압둘와하브 (쿠웨이트)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8일 | 대한민국 |
1 – 0 | 방콕, 태국 | |||
| 20:40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사가르 쿠마르 센 (인도)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19일 | 대한민국 |
3 – 1 | 방콕, 태국 | |||
| 19:00 UTC+7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심판: 구라모치 모리사부로 (일본) | ||||
| 1978년 아시안 게임 12월 2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0 (연장전) | 방콕, 태국 | |||
| 16:45 UTC+7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관중 수: 60,000명 심판: 알리 알바나이 압둘와하브 (쿠웨이트) | |||||
|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12월 25일 | 대한민국 |
4 – 1 | 마닐라, 필리핀 | |||
| 15:00 UTC+8 |
|
경기장: 리살 기념 경기장 | ||||
|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12월 27일 | 필리핀 |
0 – 5 | 마닐라, 필리핀 | |||
| 17:00 UTC+8 | 경기장: 리살 기념 경기장 관중 수: 5,000명 | |||||
|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12월 29일 | 대한민국 |
1 – 0 | 마닐라, 필리핀 | |||
| 18:30 UTC+8 |
|
경기장: 리살 기념 경기장 심판: 와타나 프롬사카 (태국) | ||||
Remove ads
1979년
| 한일 정기전 3월 4일 | 일본 |
2 – 1 | 도쿄, 일본 | |||
| 13:3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18,000명 심판: 핫산 다우드 (말레이시아) | ||||
| 한일 정기전 6월 16일 | 대한민국 |
4 – 1 | 서울, 대한민국 | |||
| 17: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9월 8일 | 대한민국 |
8 – 0 | 서울, 대한민국 | |||
| 15:3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5,000명 심판: 우돔 아난타퐁 (태국) | |||||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9월 12일 | 대한민국 |
6 – 0 | 대구, 대한민국 | |||
| 18:45 UTC+9 | 경기장: 대구시민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9월 14일 | 대한민국 |
5 – 1 | 청주, 대한민국 | |||
| 15:45 UTC+9 |
|
경기장: 공설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9월 16일 | 대한민국 |
9 – 0 | 인천, 대한민국 | |||
| 15:45 UTC+9 | 경기장: 공설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 |||||
같이 보기
참고 자료
- 내용주
- Korea Football Association documented Reduan Abdullah as Malaysian second 골scorer unlike newspapers of the time.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