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래군

대한민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이전 경상남도의 군 단위 지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래군(東萊郡)은 현재의 부산광역시강서구를 제외한 전역을 차지하던 경상남도의 옛 행정 구역이다. 군역(郡域)이 지속적으로 부산시에 편입되다가, 잔여 지역이 1973년에 양산군에 합쳐져 폐지되었다. 이후 양산군에 합쳐졌던 지역(원래 울산군이었던 서생면 제외)을 분리해 1995년에 부산광역시 기장군이 신설되었다.

개요

동래군은 부산부로 명칭 변경된 '동래군'과 1914년에 실시된 부군면 통폐합 당시에 부산부와 분할한 '동래군'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지금의 기장군강서구를 제외한 부산광역시의 대부분에 해당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지금의 강서구와 중구, 영도구, 동구, 서구를 제외한 부산광역시의 대부분에 해당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산부와 분리될 당시의 동래군은 동래면·남면·서면·북면·좌이면(구포)·사상면(沙上面)·사하면(沙下面)·기장면·일광면(日光面)·장안면(長安面)·정관면(鼎冠面)·철마면(鐵馬面) 12면으로 구성되었고, 부산부는 부산면, 사중면, 사하면 일부·대중면을 88정(町)·동(洞)으로 개편하였다.

동래군은 현재 부산광역시의 모태로서 조선 시대 이후로 좌수영과 독진 등 군사상 요충지였으며, 왜관 등 대일외교 사무를 총괄하던 중요 관문이었다.

Remove ads

유래

옛 동래군은 삼국시대에 거칠산군(居柒山郡)과 대증현(大甑縣)이 합해져서 생겨났다.

지금의 동래에서 해운대에 걸쳐 있던 거칠산은 말 그대로 "거칠다"의 우리말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거친 뫼’ 즉 황령산을 끼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단 고대에는 "까실메"로 읽혔다. 현대어에 가깝게 "칠(柒)"자가 들어간 것은 우연의 결과이다.

지금의 부산포에서 낙동강 하구에 있었던 부산(釜山)이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는 대증현(大甑縣)은 《동국여지승람》에서 "부산은 산이 가마솥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그 산 밑을 부산포라 한다."라고 하였는데, 그 산은 지금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증산"(甑山, 시루대 또는 부산)을 말한 것이다. 큰 시루를 뜻하는 "대증(大甑)"과 "부(釜, 가마솥)"는 뜻이 통하는 것으로 지금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일대를 말한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삼한시대에는 해운대 지역에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서기 1세기 후반인 탈해왕 대에 기장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신라에 점령되었다. 한편 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從拔城)이 세워져 신라와 백제ㆍ왜ㆍ가야 연합군의 각축장이 되었다. 내물왕 대인 서기 400년경에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이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居柒山郡)이 되고 종발성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하였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

자세한 정보 구 명칭, 신 명칭 ...


1018년(고려 현종 9년) 동래군이 동래현(東萊縣)으로 격하되고 울주(蔚州)의 속현이 되며 동래군의 속현이던 동평현은 양주(梁州)의 속현이 되었다.

1396년(태조(太祖) 5년) 음력 6월 18일 동래 만호(東萊萬戶) 윤형(尹衡)과 석포 천호(石浦千戶) 이의경(李義敬)이 왜구의 배 1척을 잡아서 군기와 갑옷을 바쳤다.[1]음력 8월 9일에는 왜적의 배 1백 20척이 경상도에 입구(入寇)하여 병선(兵船) 16척을 탈취해 가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이춘수(李春壽)를 죽였으며, 동래(東萊)·기장(機張)·동평성(東平城)을 함락하였다.[2] 음력 10월 27일 - 왜구가 동래성(東萊城)을 포위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병선 21척을 불살랐고, 수군 만호(水軍萬戶) 윤형(尹衡)과 임식(任軾)이 전사하였다.[3] 1397년(조선 태조 6년) 동래군에 처음으로 병마사(兵馬使) 겸 판현사(判縣事)를 두고, 동래군에 진(부산진, 釜山鎭)이 설치되었다. 1405년(태종 5년), 1018년 이래로 울주(蔚州)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주현(主縣)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다시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태종 9년) 동평현이 다시 양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428년(세종 10년)에 다시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 1547년 동래현이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592년에 다시 동래현으로 격하되었다.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 1599년 기장현이 폐현되어 그 남쪽을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617년 기장현이 복원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동래부 동래군으로 개편되었다.[4]
  • 1896년 양산군 대저면김해군, 좌이면→동래군 이속.[5]
  • 1897년 동래군 좌이면→양산군 이속.
  • 1904년 좌이면→계서면 개칭.
  • 1906년 동래군+양산군 계서면=동래부(東萊府).
  • 1910년 10월 1일 계서면→좌이면, 동래부→부산부(釜山府) 개칭.[6]
  • 1914년 4월 1일 부산부를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하였다. 이때 기장군이 폐지되고 동래군에 흡수된다.[7] (12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918년 1월 1일 좌이면구포면 개칭.
  • 1931년 4월 1일 동래면을 동래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11면)
  • 1936년 4월 1일 서면→부산부 부산진출장소 개칭, 사하면 암남리 내속.[9] (1읍 10면)
  • 1942년 10월 1일 사하면→사하출장소, 남면→수영출장소 개편, 동래읍, 사하면,  남면, 북면 부곡·장전리부산부 편입.[10] (8면)
  • 1943년 10월 1일 구포면읍 승격.[11] (1읍 7면)
  • 1951년 9월 1일 서부(사하출장소 내속 사하지소로 개칭), 중부·부산진·동래·영도·초량출장소 설치.
  • 1953년 부산진출장소대연출장소(우암, 용당, 용호, 대연, 남천, 감만동) 설치, 수영출장소 관할 우동, 좌동, 중동→해운대출장소 승격.
  • 1957년 1월01일 서부출장소→서구(사하지소→사하출장소 개칭), 중부출장소→중구, 영도출장소→영도구, 초량출장소→동구로 승격, 동래+해운대출장소=동래구(해운대출장소 설치), 부산진+대연출장소=부산진구(동구 범일3동→범천1∼3동).
  • 1963년 1월 1일 구포읍부산시 구포출장소, 사상면→사상출장소, 북면→동래군 북면출장소, 기장면 송정리→동래군 해운대출장소에 편입하고,[12] 울주군 서생면을 동래군에 편입하였다.[13] (6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73년 7월 1일 현재 기장 지역 등 남은 동래군 지역 모두가 양산군에 편입됨으로써 행정구역명이 소멸되었다.[14] 대저면읍 승격, 진구 대연출장소시직할대연출장소 승격.
  • 1975년 10월 1일 서구 사하출장소→시직할 사하출장소 승격, 구포출장소+사상출장소=시직할북부출장소 개편, 시직할대연출장소+동래구 수영출장소+진구 범천3동 일부+동구 범일3동 일부=남구, 동래구 북면출장소 폐지.
  • 1976년 4월 6일 해운대출장소가 시직할해운대출장소로 승격.
  • 1978년 1월 1일 동래구 반여1∼2, 반송1∼2, 석대, 재송동→시직할 해운대출장소 합속,
시직할북부출장소+김해군 대저읍 명지면, 가락면 일부=북구.
  • 1980년 4월 1일 시직할해운대출장소해운대구 승격.
  • 1983년 5월 1일 시직할 강서출장소(김해군 편입지역) 설치, 12월 15일 시직할사하출장소→사하구로 승격.
  • 1988년 1월 1일 동래구→금정구 분구.
  • 1989년 1월 1일 시직할 강서출장소+김해군 가락면, 녹산면과 의창군 천가면=강서구 승격.
  • 1995년 3월 1일 동래구연제구, 남구→수영구, 북구→사상구 분구, 진해시 웅2동 일부 강서구 내속. 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을 관할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설치하였다. 군역이 1914년 폐지된 기장군과 일치하여, 군명은 기장군이 되었다.[15]
Remove ads

행정 구역

1914년의 행정구역[16]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