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군면 통폐합
일제강점기 조선령의 행정 구역 개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329군 -> 13도 12부 220군)하고 이어서 4월 1일 각 도의 영에 의하여 각 군의 면을 개편한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부는 이전까지의 부와 달리 1995년 도농복합도시 이전의 시처럼 도시와 농촌을 분리시켰다. 부군 단위에서는 군끼리 통합, 도농복합도시의 교외 지역을 군으로 분리, 도농복합부의 교외 지역과 이웃한 군을 새로운 이름으로 병합, 함경도 지방은 새로운 군 신설을 했고 면 단위들은 주로 병합되는 방향으로 개편이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에도 많은 부분 계승되고 있다. 다만 북한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면 단위 행정 구역을 전부 폐지하였다.
동·리의 정리도 1914년 3월~4월의 부군면 통폐합과 동시에 행해진 것으로 여겨지고는 하나, 실제로는 부군면 통폐합 전후 1912년부터 1917년 사이 광범위한 기간에 걸쳐 동·리의 정리가 시행되었으며, 부군면 통폐합에 선행 또는 후행하여 드물게 도·부·군·면의 경계가 조정되는 일도 있었다.[1]
Remove ads
부·군의 정리
경기도
- 경성부, 고양군 → 경성부(경기도청 소재지), 고양군
- 인천부, 부평군, 강화군 일부, 남양군 일부 → 인천부, 부천군
- 개성군, 풍덕군 → 개성군
- 수원군, 남양군, 광주군 일부, 안산군 일부 → 수원군
-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 → 시흥군
- 진위군, 수원군 일부, 충청남도 평택군 → 진위군
- 용인군, 양지군, 죽산군 일부 → 용인군
- 김포군, 양천군, 통진군 → 김포군
- 파주군, 교하군 → 파주군
- 강화군, 교동군 → 강화군
- 포천군, 영평군 → 포천군
- 안성군, 양성군, 죽산군 → 안성군
- 연천군, 적성군, 마전군, 삭녕군 → 연천군
- 이천군, 음죽군 → 이천군
- 변동 없음(면 이하 단위로 군 경계의 변동은 있기도 했다, 이하 동일):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 대구부, 현풍군 → 대구부(경상북도청 소재지), 달성군
- 안동군, 예안군 → 안동군
- 연일군, 흥해군, 장기군, 청하군 → 영일군
- 영덕군, 영해군 → 영덕군
- 의성군, 비안군 → 의성군
- 영천군(榮川郡), 풍기군, 순흥군 → 영주군
- 예천군, 용궁군, 안동군 일부 → 예천군
- 청송군, 진보군 → 청송군
- 영양군, 진보군 일부 → 영양군
- 김산군, 지례군, 개령군 → 김천군
- 상주군, 함창군 → 상주군
- 칠곡군, 인동군 → 칠곡군
- 군위군, 의흥군 → 군위군
- 경산군, 자인군, 하양군 → 경산군
- 영천군(永川郡), 신녕군 → 영천군
- 경상남도 울도군 → 경상북도 울도군(울릉도)
- 변동 없음: 경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경상남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Remove ads
면의 정리
1914년 3월 1일 부·군이 정리된 이후, 각 도에서는 4월 1일 시행되는 면의 명칭과 구역에 대한 영을 공포했다.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3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충청북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충청남도령 제3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남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상북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상남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황해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평안남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평안북도령 제5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강원도령 제2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함경남도령 제4호 면의 명칭 및 구역
-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함경북도령 제1호 면의 명칭 및 구역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내 고향 역사 알기 - 국가기록원: 부군면 통폐합에 관한 기록물을 정리해 둔 웹사이트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