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탄인덕원선
동탄신도시-수원-인덕원을 경유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예정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탄인덕원선(東灘仁德院線)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역과 화성시 동탄동 동탄역을 이을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초기 노선명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仁德院~東灘 複線電鐵)이었다.
개요
요약
관점
본래 수원, 안양을 비롯한 경기도 서남부 주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1번 국도 노선을 따라서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수원시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병점역 전철로 계획, 2003년부터 추진된 노선이었다.[1] 그러나 2007년에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게 되고, 전철 노선을 최초 검토안 중 하나였던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중앙역 - 수원남부경찰서 - 영통역 - SRT 동탄역 - 서동탄역으로 조정하여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라는 명칭으로 국토해양부 (현 국토교통부)가 2010년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2]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재추진되었다.
하지만 GTX와 동탄신교통수단 (동탄선 트램) 노선으로 인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의 사업성이 하락한다는 이유로 2012년에 타당성 재조사를 거치게 되었고, 결국 2014년에는 타당성 증진을 위해 광교중앙역 대신에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바깥으로 우회하는 종전 노선에서 동탄1신도시 중심축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였다.[3] 이는 수원시내로부터의 접근성 향상을 꾀하고, 향후 동탄2신도시로의 연장을 감안한 것이었다.[4]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각 지자체마다 주민들의 요구가 발생되었다. 안양시에서는 호계사거리, 용인시에서는 흥덕지구[5], 화성시에서는 능동마을 경유가 각각 요구되었다.[6]. 그리고 수원시에서는 기존 노선 상에 북수원역 추가가 요구되었다.[7] 이렇게 지자체에서 요구된 사항을 반영하여 2015년 10월에 비로소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다.[8] 그러나, 노선이 변경되자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을 추가로 신설해달라는 요구가 발생되었고[9] , 기본 설계는 미뤄졌다. 노선이 변경되면서 사업비가 크게 늘자 기획재정부가 KDI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호계사거리·흥덕역·능동역 반영시 노선 연장이 4.5km가 늘게 되고, 역사가 4개가 추가되어 사업비가 3,983억원이 늘어나[10]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의 경우 기존 노선 위에 건설되므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11]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기본계획을 고시했고, 노선 명칭이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바뀌었다. 아직 역의 정확한 위치는 확정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최종 노선은 기본계획안에서 변경 또는 수정되거나 일부 조정될 수 있다.
Remove ads
연혁
- 2003년 12월 30일 : 건설교통부 인덕원 ~ 병점 전철 계획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보고.[12]
- 2007년 3월 : 인덕원-병점 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2010년 10월 : 인덕원-병점 건설사업 타당성 검토
- 2011년 4월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2011 ~ 2020) 반영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 2011년 11월 :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B/C : 0.95, AHP : 0.515
- 2012년 10월 : 타당성재조사 대상사업 통보 - GTX 사업, 동탄신교통수단에 따른 영향 검토
- 2014년 10월 : 국토교통부에서 사업계획 검토 - 수요 증대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 법원사거리 경유 및 동탄신도시 최단거리 통과노선으로 변경
- 2014년 11월 : 타당성재조사 통과 - B/C : 0.95, AHP : 0.507
- 2015년 10월 : 기본계획안 확정[13]
- 2016년 4월 : 기획재정부에서 KDI 한국개발연구원에 추가된 4개 역사 및 변경 노선에 대해 설계적정성 검토 의뢰[14]
- 2018년 3월 29일 : 추가 4개 역사를 포함하여 인덕원 ~ 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으로 기본계획 고시[15]. 단, 흥덕역의 경우 용인시의회의 결정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
- 2018년 4월 30일 : 용인시의회, “흥덕역 업무협약 선결처분 승인의 건” 가결.[16]
- 2023년 12월 29일: 사업실시계획승인 고시 및 착공[17]
Remove ads
역 목록
- 차량기지: 병점차량사업소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