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기존의 수도권 전철을 보완하여 고속으로 주파하는 광역급행철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首都圈 廣域急行鐵道) 또는 GTX(Great Train eXpress)는 대한민국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복지 증진을 위해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 주요 3개 거점역인 서울역·청량리역·삼성역을 방사형으로 교차, 30분대에 연결한 것을 목표로 계획 중인 광역급행철도다. 2009년 4월 14일 경기도지사 김문수가 최초로 제안했다. A노선, B노선, C노선 총 3개 노선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는 김포에서 부천간 지선노선으로 4차 국가철도망사업에 올라갔다가, 2024년 1월 25일에 D노선, E노선, F노선 총 3개 노선 사업을 더 추진하기로 했다.[1]

개요

운영

  • 전기 : AC 25000V
  • 선로 : 복선
  • 차량 : 8량 1편성

속도

  • 설계 최고속도 : 200km/h
  • 운영 최고속도 : 180km/h
  • 표정속도 : 100km/h

통행요금(미정)

A노선

요약
관점

해당 노선은 2017년 3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로 먼저 착공됐으며, 나머지 운정중앙~삼성 구간은 2018년 3월 착공됐다. 연신내역부터 신분당선과 노선을 공유하여 신분당선을 연장시키는 계획이 있었으며, 수서역 이남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을 공용한다.

2024년 3월 30일 수서역 ~ 동탄 구간을 우선 개통하고, 중간역인 구성역은 동년 6월에 완공했다.

2024년 12월 28일에는 서울역 ~ 운정중앙 구간을 개통했으며, 수서 ~ 서울역 구간은 2026년 중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역 목록

자세한 정보 노선, 역 번호 ...
Remove ads

B노선

본 노선은 2017년 9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으며,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경춘선 망우~마석 구간을 공용하여 노선을 남양주까지 연장했다. 마석역부터 청량리역까지는 기존의 경춘선중앙선을 공유한다.

역 목록

2017년 7월 7일의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른 것으로, 추후에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

자세한 정보 노 선, 역 번호 ...

C노선

요약
관점

본 노선은 2016년 1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여 2018년 12월에 B/C값이 1.36을 기록해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이르면 2021년 말 공사에 착수하여 2026년 개통될 예정이다. 소요시간은 수원~양재 18분, 수원~삼성 22분, 의정부~삼성 16분, 덕정~삼성 23분으로 표정속도는 100km/h 수준이다. 개통시 수도권 동북부 및 남부지역 광역교통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이 예상된다.[2] 2023년 12월 28일 착공했다.

역 목록

자세한 정보 노선, 역 번호 ...

지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Remove ads

D노선

서부권 급행철도를 계승해 김포·인천원당역(가칭)·계양역을 경유해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을 공유해 오류동역을 지나 서울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추진중이다.

E노선

인천공항2터미널역,가정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광운대역을 지나 경의·중앙선과 선로를 공유해 덕소까지 가는 노선으로 추진 중이다.

F노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선로를 공용해 대곡역에서 가칭 시흥시청역까지 간 후 초지역을 거쳐 야목역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선로를 공용해 복정역까지 간다. 그리고 교산신도시와 탑석역, 의정부역을 지나 대곡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계획하고 있다.

역사

Remove ads

계획

  • A노선: 2018년 12월 착공. 2024년 부분 개통.
  • B노선: 2024년 3월 착공. 2030년 개통 예정.
  • C노선: 2024년 1월 착공. 2029년 개통 예정.
  • D노선: 2024년 계획 반영.
  • E노선: 2024년 계획 반영.
  • F노선: 2024년 계획 반영.

평가

GTX는 지하 40~50m 이하의 깊이에 터널을 굴착하므로 토지보상비가 적게 들어 건설비를 줄일 수 있고, 평균 속도를 빠르게 해 도시 간 이동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2]

반면, 열차의 표정속도를 높이고자 역을 줄이고, 노선을 직선화하고자 지하 깊은 곳에 역을 짓는다는 점으로 말미암아, 역과 먼 곳에 사는 사람들이나 각 역에서 10분가량 소요되는 수직 환승 시간에 피로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GTX로 20분 이상의 시간이 절약되지 않는다면 GTX로 환승하는 대신 기존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23]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