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두산그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두산그룹(斗山-, Doosan Group)은 대한민국 최장수 대기업이다. 1990년대까지 기술소재사업, 정보유통사업, 생활문화사업 등 여러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던 두산은 2001년 한국중공업, 2007년 밥캣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인프라 지원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했으며, 이외에도 원자력 발전, 수소연료전지, 로봇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Remove ads
역사
두산그룹은 1896년 8월 서울 종로에서 ‘박승직 상점’으로 시작했으며 국내 최장수 기업이다.[1] 이후 1940년대 박승직의 아들인 박두병이 경영권을 넘겨 받으면서 '두산'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했다.[2] 1950년대에는 무역업, OB맥주 등으로 사업의 규모를 키웠다.[2]
하지만 1991년, 경상북도 구미시의 두산전자 공장에서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으로 두산 제품 불매 운동으로 위기를 겪었으며, 2010년대 들어서면서 재무구조가 악화되며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진행, 두산DST의 지분 50%(3,500억원), 한국항공우주(KAI) 지분(3,000억원),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잇달아 매각했다.[2] 최근에는 협동로봇, 수소연료전지를 포함한 신재생 에너지 등 신사업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Remove ads
연혁
- 1896년 - 박두병(朴斗秉)의 아버지 박승직(朴承稷)이 박승직 상점을 개점(개화기)
- 1915년 - 박가분 제조
- 1953년 - 두산산업 설립
- 1960년 - 동산토건(현 두산건설) 설립
- 1966년 - 합동통신 인수 →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인하여 연합통신과의 흡수합병으로 인해 무산
- 1967년 - 윤한공업사(현 두산메카텍) 설립
- 1974년
- 한국오크공업(두산전자) 설립
- 두산개발 설립
- 1975년 - 동양농산(두산타워) 설립
- 1978년
- OB그룹에서 두산그룹으로 명칭 변경
- 재단법인 연강학술재단(현 연강재단) 설립
- 1979년
- 오리콤 설립
- 두산산업 수출 1억 달러 돌파
- 1980년 - 두산텔레콤(현 두산온프라임) 설립
- 1982년 - OB베어스(현 두산베어스) 창단
- 1983년 - 중구 을지로 두산빌딩으로 본사 이전
- 1987년 - 두산기업 (현 두산큐벡스) 설립
- 1988년 - 덕수종합개발 인수
- 1990년 - 춘천컨트리클럽(현 라데나GC) 개장
- 1991년 - 두산종합기술원 설립
- 1992년 - 새 경영이념 및 사원정신 제정∙선포
- 1993년 - 연강홀(현 두산아트센터) 개관
- 1994년
- 연봉제 실시
- 두산정보통신 설립
- 1995년 - 한국기네스협회로부터 한국 최고(最古)기업으로 인정
- 1996년
- 환경친화기업 최다 선정
- 두산 창업 100주년(新 개화기), 두산 신CI 선포
- 1998년
- 2000년 - 네오플럭스(현 신한벤처투자) 설립
- 2001년 -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 인수
- 2003년 - 고려산업개발 인수
- 2005년
- 2006년 - 루마니아 IMGB(현 두산IMGB) 인수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사업형 지주회사로 전환 성공
- 체코 발전설비업체 스코다파워 인수
- 2010년 - 두산파워시스템 설립
- 2011년
- 세계일류상품 총 19개 품목 보유 달성
- 중국 쑤저우시에 소형 굴삭기 공장 준공
- 2012년 - 영국 수처리업체 엔퓨어 인수
- 2014년
- (주)두산, 연료전지 사업 진출
- (주)두산, 룩셈부르크 서킷포일 인수
- 2015년
- 2016년
- 두산중공업, ‘원에너지시스템즈’(現 두산그리드텍) 인수
- 두산밥캣, 한국유가증권시장에 상장
- 2017년
- 두산중공업, 5.5MW급 해상풍력 기술 인수
- 두산퓨얼셀, 국내 최대 규모 연료전지 공장 준공
- 두산중공업, 美 가스터빈 서비스 업체 ACT(현 Doosan Turbomachinery Services) 인수
-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사업 진출
- 2018년
- 두산밥캣, 인도 백호로더 공장 개소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드론용 연료전지 사업 진출
- 두산중공업 풍력발전 시스템 ‘국가연구개발 최우수성과’ 선정
- 두산로보틱스, 中 협동로봇 시장 진출
- 2019년
- 2020년 - 두산에너빌리티, 美 소형모듈원전으로 1.5조원 규모 수출 본격화
- 2021년 - 분당 두산타워 준공
- 2022년 - 두산테스나 인수
- 2023년
- 두산로보틱스, 유가증권시장 상장
- 두산에너빌리티,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제작 본격 착수
- 2024년 - 두산모트롤 출범
Remove ads
계열사와 부속기관
아래 분류는 두산그룹 사이트에 명시된 분류에 의한 것이다.[3]
사회공헌활동
두산은 연강재단을 통해 다양한 장학사업 및 학술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한편, 중앙대학교 재단으로서의 활동과 각 계열사의 개별적인 지역 연계 사회공헌활동들을 동시에 전개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향후 두산그룹이 나아갈 주요 4대 경영방향 중 하나로서 ‘사회공헌활동 강화’를 명시하기도 했다.
- 대학운영지원 (중앙대학교 재단 운영), 두산아트센터 운영, 사랑의 차(茶) 보내기 운동
- 학술연구 지원: 연강 환경학술연구비, 연강학술상 수여, 장기학술연구비 지원 등
- 교육복지사업: 저소득층 방과후학교 지원, 영어엘리트 방과후학교 지원
- 교사 해외학술시찰사업: 역사/사회/과학교사 해외학술시찰
- 장학제도: 연강장학금, 두산어린이가족 장학금, 특별장학금, 중국학연구원 장학금, 해외대학 한국어과 장학금, 두산체육꿈나무 장학금
- 도서보내기 운동: 어린이 병원 학교 맞춤식 도서지원, 도서/벽지 초등학교 맞춤식 도서지원, 해외동포 도서보내기[4]
Remove ads
브랜드
스포츠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