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디가 니까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D, DN) 또는 장부(長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첫 번째 경전 묶음으로, 길이가 긴 경을 모은 것이다.
율장 | ||||||||||||||||||||||||||||||||||||||||||||||
|
||||||||||||||||||||||||||||||||||||||||||||||
경장 5부 | ||||||||||||||||||||||||||||||||||||||||||||||
|
||||||||||||||||||||||||||||||||||||||||||||||
|
||||||||||||||||||||||||||||||||||||||||||||||
논장 7론 | ||||||||||||||||||||||||||||||||||||||||||||||
|
||||||||||||||||||||||||||||||||||||||||||||||
|
모두 34개 경이며, 3품(品)으로 나뉘어 있다. 3품은 다음과 같다.
- 실라칸다박가(Sīlakkhanda-vagga, 계온품(戒蘊品)) 13경
- 마하박가(Mahā-vagga, 대품(大品)) 10경
- 빠띠까박가(Pāṭika-vagga, 당학품(當學品)) 11경
한역본은 《장아함경(長阿含經)》(K.0647, T.0001)인데, 구성과 각 경의 성립 시기에 차이가 있다.
Remove ads
성립 시기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구성
요약
관점
실라칸다박가
- 브라흐마잘라 숫따(Brahmajāla Sutta, 범망경, D1)
- Sāmaññaphala Sutta, 사문과경(D2)
- 암밧타 숫타(Ambaṭṭha Sutta, D3)
- 소나단다 숫타(쏘나단다 숫타, Soṇadaṇḍanta Sutta, D4)
- 꾸따단따 숫타(Kūṭadanta Sutta, D5)
- 마할리 숫타(Mahāli Sutta, D6)
- 잘리야 숫타(Jāliya Sutta, D7)
- Kassapa Sīhanāda Sutta(D8)
- 뽓타빠다 숫타(Poṭṭhapāda Sutta, D9)
- 수바 숫타(Subha Sutta, D10)
- 께왓다 숫타(께밧따 숫타, Kevaṭṭa Sutta, D11)
- 로힛짜 숫타(Lohicca Sutta, D12)
- Tevijja Sutta, 삼명경(D13)
마하박가
- Mahāpadāna Sutta(D14)
- Mahanidāna Sutta(D15)
- Mahāparinibbāna Sutta(D16)
- 마하수닷사나 숫타(마하쑤닷싸나 숫타, Mahasudassana Sutta, D17)
- 자나와사바 숫타(자나바싸바 숫타, Janavasabha Sutta, D18)
- 마하고윈다 숫타(마하고빈다 숫타, Maha-Govinda Sutta, D19)
- Mahasamaya Sutta(D20)
- Sakkapañha Sutta(D21)
- Mahasatipaṭṭhāna Sutta(D22)
- 빠야시 숫타(Pāyāsi Sutta, D23)
빠띠까박가
- 바띠까 숫타(Pāṭika Sutta, D24)
- Udumbarika Sihanada Sutta(D25)
- Cakkavatti Sihanada Sutta(D26)
- Aggañña Sutta(D27)
- Sampasādaniya Sutta(D28)
- Pāsādika Sutta(D29)
- Lakkhaṇa Sutta(D30)
- Sigālovāda Sutta(D31)
- 아따나띠야 숫타(Āṭānāṭiya Sutta, D32)
- Saṅgāti Sutta(D33)
- Dasuttara Sutta(D34)
각 품의 한역 이름과 한국어판 이름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1993), 각묵=디가 니까야(2006), 전재성=디가니까야 전집(2011))
Remove ads
각 경의 한역본과 한국어판 제목
요약
관점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 1993. 돈연=아함경, 1994. 각묵=디가 니까야, 2006. 전재성=디가니까야 전집, 2011. 이중표=정선 디가 니까야, 2014.)
Remove ads
주석서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한국어 번역
완역
- 전재성 역주, 《(우리말 빠알리대장경)디가니까야 전집》(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1.
- 각묵 옮김, 《디가 니까야: 길게 설하신 경》(울산: 초기불전연구원), 1~3권, 2006.
발췌역
- 이중표 역해, 《정선 디가 니까야》(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 전재성 역주, 《(디가니까야 앤솔로지)신들과 인간의 스승: 한권으로 읽는 디가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1.
- 돈연 옮김, 불전간행회 편, 《아함경: 인생의 지침》(불교경전 13~14, 서울: 민족사), 제1~2권, 1994. — 제목과 달리 5부를 기준으로 옮긴 책.
- 최봉수 지음, 〈장니카야—남방의 장아함〉,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불학총서 11, 서울: 불광출판부), 1993, 5장, 195~250쪽.
- 增谷文雄 지음, 이원섭 옮김, 《阿含經이야기》(玄岩新書 43, 서울: 현암사), 1977. — 제목과 달리 일본어역 남전대장경, 즉 5부를 바탕으로 쓴 책이다.
Remove ads
관련 서적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