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상윳따 니까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상윳따 니까야(쌍윳따 니까야, Saṃyutta Nikāya, 약호 S 또는 SN) 또는 상응부(相應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의 세번째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다.
율장 | ||||||||||||||||||||||||||||||||||||||||||||||
|
||||||||||||||||||||||||||||||||||||||||||||||
경장 5부 | ||||||||||||||||||||||||||||||||||||||||||||||
|
||||||||||||||||||||||||||||||||||||||||||||||
|
||||||||||||||||||||||||||||||||||||||||||||||
논장 7론 | ||||||||||||||||||||||||||||||||||||||||||||||
|
||||||||||||||||||||||||||||||||||||||||||||||
|
2889개의 경(sutta, 經)이 주제에 따라 5품(品 또는 권(卷), vagga), 56상응(相應 또는 편(篇), saṃyutta), 203품(vagga, 品)으로 분류되어 있다. 팔리어 상윳따(saṃyutta)는 ‘주제에 따라 묶인’이라는 뜻이며, 상응(相應)으로 한역(漢譯)되었다.[1]
한역본(漢譯本)으로는 《잡아함경(雜阿含經)》(K.0650, T.0099), 《별역잡아함경(別譯雜阿含經)》(K.0651, T.0100), 그리고 오나라 또는 위나라 때 번역된 것으로 추정되는 《잡아함경(雜阿含經)》(K.0745, T.0101) 등이 있으며, 상윳따 니까야와 구성이 다르다.
Remove ads
구성
- Sagātha-vagga
- Devatā-saṃyutta(S1)
- Devaputta-saṃyutta(S2)
- Kosala-saṃyutta(S3)
- Māra-saṃyutta(S4)
- Bhikkhuṇī-saṃyutta(S5)
- Brahmā-saṃyutta(S6)
- Brāhmaṇa-saṃyutta(S7)
- Vangīsa-saṃyutta(S8)
- Vana-saṃyutta(S9)
- Yakkha-saṃyutta(S10)
- Sakka-saṃyutta(S11)
- Nidāna-vagga
- Nidāna-saṃyutta(S12)
- Abhisamaya-saṃyutta(S13)
- Dhātu-saṃyutta(S14)
- Anamatagga-saṃyutta(S15)
- Kassapa-saṃyutta(S16)
- Lābhasakkāra-saṃyutta(S17)
- Rāhula-saṃyutta(S18)
- Lakkhaṇa-saṃyutta(S19)
- Opamma-saṃyutta(S20)
- Bhikkhu-saṃyutta(S21)
- Khandha-vagga
- Khandha-saṃyutta(S22)
- Rādha-saṃyutta(S23)
- Diṭṭhi-saṃyutta(S24)
- Okkantika-saṃyutta(S25)
- Uppāda-saṃyutta(S26)
- Kilesa-saṃyutta(S27)
- Sāriputta-saṃyutta(S28)
- Nāga-saṃyutta(S29)
- Supaṇṇa-saṃyutta(S30)
- Gandhabbakāya-saṃyutta(S31)
- Valāhaka-saṃyutta(S32)
- Vacchagotta-saṃyutta(S33)
- Samādhi-saṃyutta(S34)
- Saḷāyatana-vagga
- Saḷāyatana-saṃyutta(S35)
- Vedanā-saṃyutta(S36)
- Mātugāma-saṃyutta(S37)
- Jambukhādaka-saṃyutta(S38)
- Sāmaṇḍaka-saṃyutta(S39)
- Moggallāna-saṃyutta(S40)
- Citta-saṃyutta(S41)
- Gāmani-saṃyutta(S42)
- Asaṅkhata-saṃyutta(S43)
- Avyākata-saṃyutta(S44)
- Mahā-vagga
- Magga-saṃyutta(S45)
- Bojjhaṅga-saṃyutta(S46)
- Satipaṭṭhāna-saṃyutta(S47)
- Indriya-saṃyutta(S48)
- Sammappadhāna-saṃyutta(S49)
- Bala-saṃyutta(S50)
- Iddhipāda-saṃyutta(S51)
- Anuruddha-saṃyutta(S52)
- Jhāna-saṃyutta(S53)
- Ānāpāna-saṃyutta(S54)
- Sotāpatti-saṃyutta(S55)
- Sacca-saṃyutta(S56)
Remove ads
한국어 번역
완역
- 각묵 옮김, 《(빠알리 경장)상윳따 니까야: 주제별로 모은 경》(울산: 초기불전연구원), 제1권~제6권, 2009.
- 전재성 역주, 《(세계최초 완전복원번역 개정판 빠알리대장경)쌍윳따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제1권~제7권, 2007.
- 전재성 역주, 《(빠알리대장경)쌍윳따 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제1권~제11권, 1999~2002. — 1989년 작업을 시작한 최초의 팔리어 경전 한국어 완역
발췌역
- 전재성 역주, 《오늘 부처님께 묻는다면: 한 권으로 읽는 쌍윳따니까야》(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 최봉수 지음, 〈상응니카야—남방의 잡아함〉,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불학총서 11, 서울: 불광출판부), 7장, 341~423쪽, 1993.
주석서
- 부다고사의 Saratthappakasini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