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맛지마 니까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M, MN) 또는 중부(中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두번째 묶음으로, 중간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다. 팔리어 맛지마(Majjhima)는 중간이라는 뜻이다.
율장 | ||||||||||||||||||||||||||||||||||||||||||||||
|
||||||||||||||||||||||||||||||||||||||||||||||
경장 5부 | ||||||||||||||||||||||||||||||||||||||||||||||
|
||||||||||||||||||||||||||||||||||||||||||||||
|
||||||||||||||||||||||||||||||||||||||||||||||
논장 7론 | ||||||||||||||||||||||||||||||||||||||||||||||
|
||||||||||||||||||||||||||||||||||||||||||||||
|
디가 니까야보다는 길이가 짧고, 앙굿따라 니까야보다는 길이가 긴 경이 대부분이지만, 일부는 길이가 매우 짧다.[1]
모두 152경이며, 50경씩(마지팍 편은 52경) 3편(編, 또는 부(部)), 10경씩 15품(마지막에서 두번째 품은 12경)으로 분류되어 있다.
한역본은 동진 승가제바가 한역한 《중아함경(中阿含經)》(K.0648, T.0026)이다. 맛지마 니까야와는 구성과 각 경의 성립 시기에 차이가 있다. 이외에 《고승전》에는 담마난제가 중아함과 증일아함을 한역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전되었다.
Remove ads
구성
요약
관점
3편(3부) 15박가(vagga, 品)으로 나뉘어 있는데, 의미에 따른 분류가 아닌 10단위의 기계적인 분류로 여겨진다. 각 품의 분류에 해당되는 10개의 경이 부족할 때는, 다른 경전에서 가져와서 수를 채운 것으로 보인다.[2]
- Mūla-paṇṇāsa(根本五十編)
- Mūlapariyāya-vagga(根本法門品) M1~M10, 10경
- Sīhanāda-vagga(師子吼品), M11~M20
- Opamma-vagga(譬喩法品), M21~M30
- Mahāyamaka-vagga(雙大品) M31~M40
- Cūḷayamaka-vagga(雙小品) M41~M50
- Majjhima-paṇṇāsa(中間五十編)
- Gahapati-vagga(居士品) M51~M60
- Bhikkhu-vagga(比丘品) M61~M70
- Paribbājaka-vagga(普行者品) M71~M80
- Rāja-vagga(王品) M81~M90
- Brāhmaṇa-vagga(婆羅門品) M91~M100
- Upari-paṇṇāsa(後半五十編)
- Devadaha-vagga(天臂品) M101~M110
- Anupada-vagga(不斷品) M111~M120
- Suññata-vagga(空品), M121~M130
- Vibhaṅga-vagga(分別品) M131~M142, 12경
- Saḷāyatana-vagga(六處分別品) M143~M152, 10경
쌍을 이룬 경
맛지마 니까야에는 서로 대비되는 이름을 가진 쌍(Yamaka)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3]
- Cūḷa-sīhanāda Sutta(M11)와 Mahā-sīhanāda Sutta(M12)
- Mahā-dukkhakkhandha Sutta(M12)와 Cūḷa-dukkhakkhandha Sutta(M13)
- Cūḷa-hatthipadopama Sutta(M27)와 Mahā-hatthipadopama Sutta(M28)
- Mahā-sāropama Sutta(M29)와 Cūḷa-sāropama Sutta(M30)
- Cūḷa-gosiṅga Sutta(M31)와 Mahā-gosiṅga Sutta(M32)
- Mahā-gopālaka Sutta(M33)와 Cūḷa-gopālaka Sutta(M34)
- Cūḷa-saccaka Sutta(M35)와 Mahā-saccaka Sutta(M36)
- Cūḷa-taṇhāsaṅkhaya Sutta(M37)와 Mahā-taṇhāsaṅkhaya Sutta(M38)
- Mahā-Assapura Sutta(M39)와 Cūḷa-Assapura Sutta(M40)
- Mahā-vedalla Sutta(M43)와 Cūḷa-vedalla Sutta(M44)
- Cūḷa-dhammasamādāna Sutta(M45)와 Mahā-dhammasamādāna Sutta(M46)
- Mahā-rāhulovāda Sutta(M62)와 Cūḷa-rāhulovāda Sutta(M147)
- Cūḷa-māluṅkya Sutta(M63)와 Mahā-māluṅkya Sutta(M64)
- Mahā-sakuludāyi Sutta(M77)와 Cūḷa-sakuludāyi Sutta(M79)
- Mahā-puṇṇama Sutta(M109)와 Cūḷa-puṇṇama Sutta(M110)
- Cūḷa-suññata Sutta(M121)와 Mahā-suññata Sutta(M122)
- Cūḷa-kammavibhaṅga Sutta(M135)와 Mahā-kammavibhaṅga Sutta(M136)
Remove ads
중아함경과의 비교
한역(漢譯) 《중아함경(中阿含經)》(K.0648, T.0026)은 맛지마 니까야보다 70개가 더 많은 222개의 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중아함경이 맛지마 니까야 외에 다른 4부 니까야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맛지마 니까야와 중아함경의 일치하는 경의 수는 98개 정도로 약 3분의 2 가량으로 여겨진다.[4]
이러한 차이는 중아함경이 설일체유부의 산스크리트어본 맛지마 니까야를 참조하였기 때문으로 추청된다. 반면 팔리 삼장은 상좌부의 교리를 반영한다. 또 한역 과정에서 의미가 단순해진 부분도 있는 것이 특징이다.[5]
맛지마 니까야 15품(品, vagga)는 내용과 큰 관계가 없는 기계적인 10단위의 분류로 보여지는데, 중아함경의 내용에 따라 18품으로 분류하였다.
한역본과 한국어판 제목
요약
관점
각 편의 한역 이름과 한국어판 이름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1993), 전재성=맛지마 니까야(2002), 대림=맛지마 니까야(2012))
각 품의 한역 이름과 한국어판 이름
(전재성=맛지마 니까야(2002), 대림=맛지마 니까야(2012))
근본오십편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출판부, 1993), 전재성=《맛지마 니까야》(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대림=《맛지마 니가야》(초기불전연구원, 2012))
중간오십편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출판부, 1993), 전재성=《맛지마 니까야》(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대림=《맛지마 니가야》(초기불전연구원, 2012))
후반오십편
(최봉수=원시불교 원전의 이해(1993), 전재성=맛지마 니까야(2002), 대림=맛지마 니까야(2012))
Remove ads
한국어 번역
완역
발췌역
- 전재성 역주, 《(맛지마니까야 앤솔로지)명상수행의 바다: 부처님과 제자들의 原音대화》(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3. — 명상 수행과 관련된 부분을 모아서 묶은 책.
- 돈연 옮김, 불전간행회 편, 《아함경: 인생의 지침》(불교경전 13~14, 서울: 민족사), 제1권~제2권, 1994. — 제목과 달리 5부를 기준으로 옮김.
- 최봉수 옮김, 《팔리경전이 들려주는 고타마 붓다》(원전의 세계 1, 서울: 불광출판부), 1994.
- 최봉수 옮김, 《팔리경전이 들려주는 불교의 진리》(원전의 세계 2, 서울: 불광출판부), 1994.
- 최봉수 지음, 〈중니카야—남방의 중아함〉, 《원시불교 원전의 이해》(불광불학총서 11, 서울: 불광출판부), 1993, 6장, 253~338쪽.
- 增谷文雄 지음, 이원섭 옮김, 《阿含經이야기》(玄岩新書 43, 서울: 현암사), 1977. — 제목과 달리 일본어역 남전대장경, 즉 5부를 바탕으로 씀.
Remove ads
주요 외국어 번역
- Karl Eugen Neumann, 《Die Reden Gotamo Buddhos》, 1896~1902. — 서구 언어 최초의 번역으로 알려져있음.
- Lord Chalmers, 《Further Dialogues of the Buddha》(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26~1927.
- 남전대장경
- Isaline Blew Horner, 《The Book of Middle Length Sayings》(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54~1959.
- Kurt Schmidt, 《Buddhas Reden》, 1961, 1989, 2003.
- Bhikkhu Ñāṇamoli, Bhikkhu Bodhi,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1995.
Remove ads
주석서
- 부다고사의 Papancasudani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