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가 소수일 경우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네 제곱수 항등식 때문이다.
가 소수일 경우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네 제곱수 항등식 때문이다.
 
또한,  일 경우는 자명하므로,
일 경우는 자명하므로,  라고 가정하자. 이제 다음을 만족시키는
라고 가정하자. 이제 다음을 만족시키는  및
 및  가 존재함을 보이자.
가 존재함을 보이자.
 
다음과 같은 두 집합이 서로소가 아님을 보이면 된다.
 
 
여기서  는
는  에 대한 나머지이며,
에 대한 나머지이며,  는
는  에 대한 모든 나머지의 집합이다. 임의의
에 대한 모든 나머지의 집합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므로,  이다. 즉, 이 두 집합의 크기는 모두
이다. 즉, 이 두 집합의 크기는 모두  이며,
이며,  의 크기는
의 크기는  이므로 이 두 집합은 서로소가 아니다.
이므로 이 두 집합은 서로소가 아니다.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제  가 4개의 제곱수의 합임을 증명하자. 다음과 같은
가 4개의 제곱수의 합임을 증명하자. 다음과 같은  을 정의하고,
을 정의하고,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이라고 가정하자. 다음을 만족시키는
이라고 가정하자. 다음을 만족시키는  이 존재한다.
이 존재한다.
 
만약  이 짝수라면, 편의상
이 짝수라면, 편의상  와
와  가 짝수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가 짝수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이는 모순이므로,  은 홀수이다. 다음과 같은
은 홀수이다. 다음과 같은  를 취하자.
를 취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이 존재한다.
이 존재한다.
 
만약  이라면,
이라면,
 
이므로,
 
이다. 이는  에 모순이다. 따라서,
에 모순이다. 따라서,  이며,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이며,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마지막 등식의 각 항의 나머지를 생각하면 다음을 얻는다.
 
 
 
 
즉,  는 4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는 4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이며,
이며,  는 4개의 제곱수의 합이다.
는 4개의 제곱수의 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