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롬어

유럽에서 쓰이는 언어 중에서는 유일하게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롬어 또는 로마니어(Romani)는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유랑하며 사는 소수 민족인 롬인들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계 언어들의 통칭이다. 지역에 따라 다양성이 높은 하위 방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발칸 롬어(60만), 블라흐 롬어(50만), 신티 롬어(30만)의 화자가 많다.

간략 정보 롬어, 지역 ...

일부 롬인 공동체는 주변 언어와 롬어가 섞인 혼성 언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언어학자들은 이를 파라로마니(Para-Romani)라고 부른다. 이들의 언어는 주변 언어로부터 차용어 등 큰 영향을 받았지만, 거꾸로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1]

Remove ads

역사

롬어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542년 서유럽에서다.[2] 롬어의 초기 실태를 알 수 있는 확실한 고문헌은 없고 대신 비교언어학상 증거로 추정해 볼 수 있다.[2]

롬어는 중세 인도아리아어와 비교할 때 기존의 명사격 체계가 사라지고 주격-사격의 2개 격 체계로 단순화되었으며 구분은 3개 성 체계가 사라지고 남성과 여성만이 남았다. 일부 주장에 따르면, 이것은 롬어가 중세 인도아리아어가 아닌 신(新) 인도아리아어에서 분화되었을 가능성, 즉 롬인들이 늦으면 서기 1000년 이후에야 인도 밖으로 이주를 시작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롬인들의 조상 집단이 정확히 누구였는지, 그리고 무엇이 그들을 인도 아대륙에서 세계 각지로 이주하게 했는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으며 다양한 이론이 있다. 다만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이란어(페르시아어 및 쿠르드어)에서 받은 영향은 이들이 남아시아를 떠난 이후 아나톨리아 지방에 오래 머물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롬어가 거의 단일한 변종으로 사용되었으리라고 생각되는 마지막 연대는 10~13세기의 비잔틴 제국으로 비정된다. 현대 방언을 기반으로 언어학적으로 재구되는 이 시기의 언어를 초기 로마니어(Early Romani)라고 한다.

롬인들은 유럽에 도달한 이후 대륙의 서로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이후 집단별로 흩어져 서로 멀어졌기 때문에 각 지역 공동체는 특징적 방언들을 발달시켰다. 오늘날 로마니어의 다양한 방언을 유럽 42개국의 소수 집단들이 사용하고 있다.

Remove ads

방언

Matras(2005)의 지리적 분류를 기준으로, 롬어는 다음과 같이 대분된다.

SIL Ethnologue는 북부 로마니어에 발트 로마니어, 카르피티아 로마니어(중부 로마니어), 핀란드 칼로 로마니어, 신티 로마니어, 웨일스 로마니어를 포함하고 있다.

표기

요약
관점

원래부터 표기하는 문자가 없었으며, 오늘날에는 지역에 따라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이 쓰인다.

오랫동안 구어로 쓰였기 때문에 20세기에 들어서야 정서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슬로바키아 롬어의 정서법은 1971년에서야 문서로 만들어졌다. 대체로 롬인들이 사는 곳에서 쓰이는 언어의 정서법에 기초해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미국 롬어가 영어 정서법을, 루마니아 롬어가 루마니아어 정서법을, 헝가리 롬어가 헝가리어 정서법을 따르는 것처럼)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범 블라흐 라틴 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자세한 정보 문자소, 발음 ...

다른 라틴 문자 기반 표기와의 비교

키릴 문자 기반 표기

칼데라시 방언의 키릴 문자 표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Кх кхЛ лМ мН нО оП пПх пхР рРр ррС сТ т
Тх тх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루스카 방언의 키릴 문자 표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
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음운

괄호 안은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나는 발음이다.

홀소리

자세한 정보 전설, 중설 ...

닿소리

자세한 정보 입술소리, 치경음 ...

관련 논문

  • 엄태현,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학》 6-2,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년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