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리쿠젠타카타시
일본 이와테현의 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리쿠젠타카타시(일본어: 陸前高田市)는 일본 이와테현 남동부에 있는 시이다. 오후나토시와 함께 리쿠젠 해안 북부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예전에는 리쿠젠국 게센군에 속했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쓰나미 피해를 입었던 지역이다, 또한 복구 작업과 시청의 내륙 이전하였으며[1] 등, 미래를 대비한 방재·감재 대책에 힘쓰고 있다.
1955년 시로 승격된 이후, 시의 읽는 법은 “리쿠젠타카타(りくぜんたかた)”이다. 그러나 지역 주민과 주변 시정촌에서 사용되는 방언에서는 “가행”과 “타행”의 음이 비탁음화되어 “타가다(たがだ)”로, 또는 마지막 “타(た)”만이 탁음화된 “타카다(たかだ)”로 발음된다.
Remove ads
지리

일본 국토교통성의 지도・공중 사진 관람 서비스의 항공 사진을 기초로 작성.
산리쿠 해안 전체 중에서는 남쪽에 위치한다. 산리쿠 해안 남부는 리아스식 해안이 이어지며, 서쪽의 가라쿠와반도와 동쪽의 히로타반도 사이에 있는 히로타만 북쪽 안쪽에 리쿠젠타카타시 중심부가 자리한 평야가 펼쳐져 있다. 작은 평야이지만, 산이 바다에 가까이 닿아 있는 지형이 계속되는 산리쿠 해안에서는 가장 큰 규모에 속한다. 히로타만 안쪽에는 케센가와가 흘러들며, 그 하천이 운반한 토사로 형성된 사주 위에는 ‘다카다마쓰바라’라 불리는 송림이 동서로 이어져 있다. 다카다마쓰바라 북쪽에는 후루카와누마가 있고, 그 앞의 산기슭에 중심 시가지가 위치하며, 그 북쪽에는 히카미야마가 솟아 있다. 히로타반도에는 쓰바키시마 등 경승지가 있다.
지형
산지
- 주요 산
- 히카미산
- 요코테산
- 하코네산
하천

- 주요 하천
- 게센강
- 가와라강
- 고이즈미강
- 하마다강
- 야하쿠강
도서
- 주요 섬
- 쓰바키섬
인접한 자치체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재해사
동일본 대지진


2011년(헤이세이 23년) 3월 11일, 규모 9.0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발생했다. 인접한 시정촌의 진도는 오후나토시·이치노세키시 및 미야기현 게센누마시가 진도 6약, 스미타정은 5강이었다[4]. 동일 시의 진도는 오후나토시에서의 관측으로부터 추정된 값으로 6약으로 되어 있다[5]. 이 지진이 일으킨 대쓰나미로 인해 시청 청사를 포함한 시 중심부가 괴멸되었고, 시 전체 가구의 70%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6][7]. 또한 시역 내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5개 역 중 4개 역(오후나토선의 다케코마역·리쿠젠타카타역·와키노사와역·오토모역)은 주변 지역의 많은 역과 마찬가지로 역사 등이 유실되고 선로도 큰 피해를 입었다[8].
- 4월 9일: 이 시점에서 확인된 리쿠젠타카타시의 사망자는 1,211명, 실종자 1,183명, 피난자 16,579명[7].
- 4월 14일: GPS(전지구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국토지리원의 조사 결과, 이와테현·미야기현·후쿠시마현의 광범위한 연안 지역에서 이 지각 변동에 따른 현저한 지반 침하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특히 이와테·미야기 양현 경계 부근의 변동량이 커서, 최대는 오시카반도의 -120 cm, 리쿠젠타카타시는 오토모정 니시노보가 -84 cm로 시가지 중 최대, 같은 요네사키정 다카바타는 -58 cm, 같은 기센정 소로쿠는 -53 cm, 그 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가 -78 cm, 게센누마시가 -76 cm, 이와테현 오후나토시가 -73 cm였다[9][10][11](「일본에 있어서의 지반 침하」도 참조).
이와테현 종합방재실에 따르면, 2012년 8월 11일 시점에서 리쿠젠타카타시의 사망자는 1,555명(그중 시청 비상근 직원 사망자 111명)·실종자는 223명이며, 실종자 중 리쿠젠타카타시가 사망신고를 접수한 건수는 205건이다[12].
지진 재해로부터의 복구
지진 전에는 기센가와에 의해 형성된 평야 저지대에 중심 시가지가 펼쳐져 있었으나, 쓰나미로 인해 괴멸되었다. 이후 복구 과정에서 히카미산 산록의 고지대로 소방서와 현립병원 등의 시설이 이전되었고, 공동주택 및 주택지 정비가 이루어졌다. 쓰나미 침수 지역에는 상업시설·스포츠시설 및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 전승관이 조성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산리쿠 연안 도로가 개통되었다.
지진 후 리쿠젠타카타시청은 약 10년간 프리패브 임시 청사에서 업무를 보았으나, 2021년에 신청사가 완성되어 이전하였다. 이전지는 지진 당시 있던 초등학교가 이전한 부지로, 대형 상업시설 등이 있는 새로운 중심 시가지에 가깝지만, 지진 당시 초등학교 교사 1층이 침수된 토지이다. 주민들의 불안에 대해 시는 방조제 건설과 토지 성토를 통해 동일본 대지진급의 쓰나미라도 침수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13].
다카타마쓰하라에 있던 소나무의 고목이 쓰나미를 견디고 남아 기적의 한 그루 소나무라 불리며 전국적으로 주목받았고, 고사 후에도 보존되고 있다.
- 건물 옥상에 올라간 트럭
- 피해를 입은 다케코마역(2011년)
- 다카타마쓰하라의 기적의 한 그루 소나무
- 임시 청사 시절의 시청
- 복구 사업(지반 성토)을 위한 거대한 벨트 컨베이어(2015년)
Remove ads
행정
역대 시장
공공시설
경찰

- 파출소
- 이와테현 경찰 오후나토 경찰서 다카타 간부 파출소 (리쿠젠타카타시 다카타초 아자 도치가사와 210-5)
- 주재소
- 게센 주재소 (리쿠젠타카타시 게센초 아자 후쓰카이치 97-6)
- 히로타 주재소 (리쿠젠타카타시 히로타초 아자 오쿠보 121-7)
- 야하기 주재소 (리쿠젠타카타시 야하기초 아자 스와 22-1)
소방

- 본부
- 리쿠젠타카타시 소방본부
- 소방서
- 리쿠젠타카타시 소방서 (다카타초 아자 도치가사와 210번지 2)
의료
- 주요 병원
- 이와테현립 다카타병원
- 기보가오카 병원 (리쿠젠타카타시 다카타초 오오스미)
우체국

- 집배 거점
- 리쿠젠타카타 우체국 우편 분실 (83018A): 프리패브 임시 점포로 영업 중이며, 현재는 다케코마 우체국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 우체국
- 리쿠젠타카타 우체국 (83018): 과거 우편사업 리쿠젠타카타 지점(현재는 위의 본국 우편 분실) 건물 내에 위치했으며, 동일본 대지진 이후 임시 점포에서 영업을 계속하다가 2022년4월 18일에 재건되었다.
- 이마이즈미 우체국 (83106):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휴업중이다.
- 야하기 우체국 (83111): 과거 집배국이었으나 민영화 이전에 무집배국으로 전환되었다.
- 게센요코타 우체국 (83166)
- 리쿠젠오토모 우체국 (83120): 과거 집배국이었으나 민영화 이전에 무집배국으로 전환됨.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이전하였다.
- 히로타 우체국 (83132): 원래 바다 근처에 있었으나 피해로 인해 고지대로 이전하였다.
- 다케코마 우체국 (83249):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리쿠젠타카타국 우편 분실 임시 점포와 동일한 위치에 있음. 프리패브 임시 점포로 사용중이다.
- 요네사키 우체국 (83259): 원래 와키노사와역 앞에 있었으나 피해로 인해 내륙으로 이전하였다.
- 시모야하기 간이우체국 (83727)
도서관

- 시립
- 리쿠젠타카타시립 도서관
- 사설
- ‘니지노 라이브러리’ (게센정)
- ‘치이사이 오우치’ (다케코마정)
- 리쿠젠타카타 커뮤니티 도서실 (오토모정)
문화시설

운동시설

- 다카타마쓰바라 운동공원
- 제1야구장
- 제2야구장
- 축구장
- 리쿠젠타카타시 종합교류센터
Remove ads
경제
제3차 산업
상업

- 주요 상업 시설
- 아바세 다카타
- 마이야 다카타점
- 이온 슈퍼센터 리쿠젠타카타점
- 마이야 애플로드점
- 리쿠젠타카타 발효파크 CAMOCY
- 리쿠젠타카타 와타미 오가닉랜드
금융기관
- 이와테은행 다카타지점
- 도호쿠은행 다카타지점
- 기타니혼은행 다카타지점
- 게센누마신용금고 다카타지점
- 도호쿠노동금고 다카타지점
- 오후나토시농업협동조합(JA오후나토)
- 다카타지점
- 다케코마지점
정보·통신
대중매체
신문사
- 이와테일보사 리쿠젠타카타 지국
중계국
- 리쿠젠시마베 TV 중계국
- 리쿠젠타카타 TV·FM 중계국
교육
대학
동일본 대지진으로부터의 복구 지원의 일환으로, 이와테대학과 릿쿄대학이 교류 거점인 ‘리쿠젠타카타 글로벌 캠퍼스’를 개설하였다[16].
- 국립
- 이와테대학 리쿠젠타카타 글로벌 캠퍼스
- 사립
- 릿쿄대학 리쿠젠타카타 글로벌 캠퍼스
고등학교

- 현립
- 이와테현립 다카타고등학교
※이하는 폐교
- 이와테현립 다카타고등학교 정시제 세타마이 분교 (1967년 폐교[17][18] 인접한 케센군 스미타정 세타마이에 설치)
- 이와테현립 다카타고등학교 전일제 스미타 분교 (1970년 이와테현립 스미타고등학교로 독립[17][18])
- 이와테현립 히로타수산고등학교 (2008년 다카타고로 통합)
- 사립
- 가시마학원고등학교 리쿠젠타카타 캠퍼스
중학교

- 시립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카타제일중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카타히가시중학교
※이하는 폐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카타중학교 (1965년 통합으로 제일중으로)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케코마중학교 (동상)
- 리쿠젠타카타시립 시모야하기중학교 (1966년 제일중으로 통합)
- 리쿠젠타카타시립 야하기중학교 (2011년 동일)
- 리쿠젠타카타시립 히로타중학교 (2013년 통합으로 다카타히가시중으로)
- 리쿠젠타카타시립 오토모중학교 (동상)
- 리쿠젠타카타시립 요네사키중학교 (동상)
- 리쿠젠타카타시립 요코타중학교 (2016년 제일중으로 통합)
- 리쿠젠타카타시립 케센중학교 (2018년 통합으로 다카타제일중으로)
- 리쿠젠타카타시립 제일중학교 (동상)
초등학교
- 시립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카타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케센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히로타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오토모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요네사키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야하기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다케코마초등학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요코타초등학교
※이하는 폐교
- 리쿠젠타카타시립 야하기초등학교 오구로야마 분교 (1975년 야하기초로 통합)
- 리쿠젠타카타시립 시모야하기초등학교 유키사와 분교 (1980년 시모야하기초로 통합)
- 리쿠젠타카타시립 오이데초등학교 (2011년 통합으로 야하기초로)
- 리쿠젠타카타시립 시모야하기초등학교 (동상)
- 리쿠젠타카타시립 오사베초등학교 (2012년 케센초로 통합)
학교 교육 외 시설
자동차 교습소
- 리쿠젠타카타 드라이빙스쿨
Remove ads
교통
철도
시내에는 철도 노선이 지나지 않는다. 과거에는 JR 동일본의 오후나토선이 시내를 통과했으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불통이 되었고, BRT로 복구되면서 폐선되었다.
버스
BRT

-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노선버스
- 이와테현 교통
고속버스
- 미야기 교통·이와테현 교통
- 센다이 - 가마이시선
- 이와테현 교통
도로

고속도로
- 고규격 간선도로(일반국도 자동차 전용도로)
- E45 산리쿠 연안도로(산리쿠 종관 자동차도)
- 일반국도 45호 가라쿠와-다카타 도로
-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30) 리쿠젠타카타 나가베 IC - (31) 리쿠젠타카타 IC
- 일반국도 45호 다카타 도로
- (31) 리쿠젠타카타 IC - (32) 도오카 IC - (오후나토시)
- 일반국도 45호 가라쿠와-다카타 도로
- 산리쿠 종관 자동차도
국도
- 국도 45호선
- 국도 340호선(다카타 가도)
- 국도 343호선(이마이즈미 가도)
현도
- 미야기현도·이와테현도 34호 게센누마-리쿠젠타카타선
- 이와테현도 38호 오후나토-히로타-리쿠젠타카타선
- 일반현도
- 이와테현도 141호 리쿠젠타카타 정차장선
- 이와테현도 229호 오사베 어항선
- 이와테현도 246호 세다메이-야하기선
도로휴게소
- 미치노에키 다카타마쓰바라(리쿠젠타카타 시사이드 터미널)
Remove ads
인구
기후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