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원 심플렉틱 벡터 공간
차원 심플렉틱 벡터 공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 속의 라그랑주 부분 공간들의 모듈라이 공간은 다음과 같다.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 속의 라그랑주 부분 공간들의 모듈라이 공간은 다음과 같다.
 
이는  차원의 동차공간이며, 이를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영어: Lagrangian Grassmannian)이라고 한다.
차원의 동차공간이며, 이를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영어: Lagrangian Grassmannian)이라고 한다.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의 기본군은 무한 순환군  이다. 구체적으로,
이다. 구체적으로,  의 기본군은
의 기본군은  이며, 이는 유니터리 행렬의 행렬식이 단위 복소수
이며, 이는 유니터리 행렬의 행렬식이 단위 복소수  임에서 기여한다. 직교 행렬의 행렬식은
임에서 기여한다. 직교 행렬의 행렬식은  이므로,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의 기본군은
이므로,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의 기본군은  이다.
이다.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차원 심플렉틱 다양체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각 접공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각 접공간  에 대하여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를 취하면, 올이
에 대하여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양체를 취하면, 올이  인 올다발
인 올다발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발이라고 한다.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발이라고 한다.
 속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속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발
에 대하여 라그랑주 그라스만 다발  으로 가는 다발 사상
으로 가는 다발 사상
 
이 존재한다. 만약  이 축약 가능 공간이라고 하면,
이 축약 가능 공간이라고 하면,  과
과  은 서로 호모토피 동치이며, 자연스러운 군 동형
은 서로 호모토피 동치이며, 자연스러운 군 동형
 
이 주어진다. 위 동형은 코호몰로지에 의한 당김
 
이 존재한다. 이 경우,  의 생성원
의 생성원  의
의  에서의 상을 마슬로프 지표(영어: Maslov index)
에서의 상을 마슬로프 지표(영어: Maslov index)  라고 한다. 폐곡선 또는 1차 호몰로지류
라고 한다. 폐곡선 또는 1차 호몰로지류 ![{\displaystyle [\gamma ]\in H_{1}(M;\mathbb {Z}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2fd1245264b4ec6ab1a9921189e24549e52af94) 의 마슬로프 지표는 정수
의 마슬로프 지표는 정수 ![{\displaystyle m([\gamma ])\in \mathbb {Z}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9e9e9a64e17094cfa9b06d953a2a90a81e9f27b) 이다.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