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마이아 (신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마이아(/ˈmeɪ.ə,
![]() |
주요 교리
|
관습
암피드로미아 · 이아트로만티스 · 파르마코스 · 신전 · 제물 봉헌 · 희생 제물 |
신
올림포스의 12신
아레스 · 아프로디테 · 아폴론 · 아테나 · 아르테미스 · 헤스티아1 · 헤라 · 헤르메스 · 헤파이스토스 · 데메테르 · 포세이돈 · 제우스 |
그리스 태초신
|
그외 신들
에로스 · 헤베 · 헤카테 · 헬리오스 · 헤라클레스 · 디오니소스1 · 이리스 · 셀레네 · 하데스 · 판 · 니케 |
서적
|
기타
|
1헤스티아는 디오니소스에게 올림포스 열두신 자리를 양보하였다. |
|
Remove ads
가족
마이아는 아틀라스[3][4]와 플레이오네 오케아니스의 딸이며, 일곱 플레이아데스 중 가장 나이가 많다.[5] 그들은 아르카디아의 킬리니산에서 태어났으며,[4] 때로는 산 님프, 오리아드라고 불린다. 케오스의 시모니데스는 "아름다운 검은 눈의" "산 마이아" (Maiados oureias)를 노래했다.[5] 그들은 아틀라스의 딸이었기 때문에 아틀란티데스라고도 불렸다.[6]
신화

헤르메스의 탄생
호메로스 찬가 헤르메스에게에 따르면, 제우스는 한밤중에 신들의 교제를 피하는 마이아와 킬리니산의 동굴에서 비밀스럽게 사랑을 나누었다.[8] 마이아는 헤르메스를 임신했다. 아기를 낳은 후 마이아는 그를 담요로 감싸고 잠이 들었다. 빠르게 성장한 헤르메스 아기는 테살리아로 기어갔고, 첫날 밤이 되기 전에 그는 이복형제 아폴론의 소를 훔치고 거북이 등껍질로 리라를 발명했다. 아폴론이 헤르메스가 도둑이라고 주장했을 때 마이아는 믿기를 거부했고, 제우스는 아폴론 편을 들었다. 마침내 아폴론은 소와 리라를 교환했고, 리라는 그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9]
호메로스 찬가에서는 마이아가 헤르메스를 돌보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소포클레스의 현재는 소실된 사티로스극 《이츠네우타이》에서는 마이아가 갓난아기 헤르메스를 킬리니 (지역 산의 여신)에게 맡겨 양육하도록 했고, 따라서 사티로스와 아폴론은 신의 사라진 소를 찾을 때 킬리니를 대면한다.[10]
양육자로서
마이아는 또한 제우스와 칼리스토의 자식인 아기 아르카스를 키웠다. 이 사랑에 화가 난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질투심에 칼리스토를 곰으로 변하게 했다.[11] 아르카스는 마이아가 태어난 아르카디아의 에포님이다.[4] 칼리스토와 아르카스의 이야기는 플레이아데스의 이야기처럼, 별자리인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 즉 큰곰과 작은곰에 대한 아이티온이다.
그녀의 이름은 '어머니'를 뜻하는 μήτηρ(mētēr)와 관련된 나이든 여성에 대한 존칭인 마이아(μαῖα)와 관련이 있으며, 그리스어로 "조산사"를 의미하기도 한다.[12]
Remove ads
로마 마이아

고대 로마의 종교와 로마 신화에서 마이아는 성장의 개념을 구현했는데,[13] 그녀의 이름은 비교급 형용사 maius, maior "더 큰, 더 위대한"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원래 그녀는 그리스 마이아와는 독립적인 동형동음이의어였을 수 있으며, 라틴 문학과 문화의 그리스화를 통해 그 신화를 흡수했다.[14]
고대 로마의 기도에서,[15] 마이아는 불카누스의 속성으로 나타나며, 그들의 기능 중 일부를 나타내는 여성 추상명사와 짝을 이룬 남성 신들의 호칭 목록에 등장한다. 그녀는 적어도 한 전통에서 지구(텔루스, 가이아의 로마식 대응 신)와 선한 여신(보나 데아)과 명백히 동일시되었다.[16][17] 그녀의 정체성은 파우누스, 옵스, 유노, 카르나, 그리고 마그나 마테르 ("위대한 여신", 키벨레의 로마식 형태를 지칭하지만 마이아의 컬트 칭호이기도 함)와도 신학적으로 얽혀 있었으며, 후기 고고학자 마크로비우스에 의해 다소 자세히 논의되었다.[18] 이러한 취급은 아마도 기원전 1세기의 학자 바로의 영향을 받았을 것인데, 그는 많은 여신들을 하나의 본래적인 "테라"로 환원하는 경향이 있었다.[17] 에트루리아식 대응 신이 우니였던 유노와의 연관성은 피아첸차 간에 새겨진 Uni Mae 명문에서도 다시 나타난다.[19]
5월(라틴어 Maius)은 마이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20] 고대 어원학자들은 이 달을 maius, maior라는 형용사에서 유래한 "더 위대한" 세대 선행을 의미하는 maiores "조상"과도 연결했다.[21] 5월 1일에는 도시의 수호신인 라레스 프레스티테스가 숭배되었고,[22] 불카누스의 플라멘은 마이아에게 임신한 암퇘지를 희생했는데, 이는 대지 여신에게 바치는 관습적인 제물이다.[23] 이는 고대 기도문에서 불카누스와 마이아 사이의 연결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로마 신화에서 마이아의 아들인 메르쿠리우스는 쌍둥이 라레스의 아버지였는데, 이 족보는 5월 칼렌다이에 열린 의식들의 병치를 설명해 준다.[24] 5월 15일 이데스에는 메르쿠리우스가 상인들의 후원자이자 이윤 증대자로서 숭배되었는데 (merx, merces, "상품, 물품"과의 어원적 연결을 통해), 이는 성장을 촉진하는 여신으로서 그의 어머니 마이아와의 또 다른 가능한 연결고리이다.[13]
같이 보기
내용주
각주
더 읽어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