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전순서 집합

- 여과 확률 공간

- 유클리드 공간
. 이는 보렐 가측 공간으로 가정한다. (르베그 시그마 대수가 아니다.)
그렇다면,
위의 순응 확률 과정
이 만약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마팅게일이라고 한다.
- (기댓값의 존재) 임의의
에 대하여,
. 즉, ;\mathbb {R} ^{d})}
이다.
- (마팅게일 성질)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여기서
는
의 지시 함수이다.
- 물론, 이 정의에서
인 경우는 자명하게 참이다.
여기서
는 조건부 기댓값을 뜻한다.
마팅게일의 정의의 둘째 조건은 다음과 같이 풀어 해석할 수 있다.
- 현재
까지의 정보(
)만을 알고 있다면, 미래
에서의
의 값
의 기댓값
은 현재의 기댓값
과 같다.
열마팅게일과 우마팅게일
이라고 하자. 마팅게일의 정의에서, 둘째 조건을 다음과 같이 대체할 경우, 열마팅게일(劣martingale, 영어: submartingale 서브마팅게일[*])의 개념을 얻는다.
- (열마팅게일 조건)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마찬가지로, 마팅게일의 정의에서, 둘째 조건을 다음과 같이 대체할 경우, 우마팅게일(優martingale, 영어: supermartingale 슈퍼마팅게일[*])은 의 개념을 얻는다.
- (우마팅게일 조건)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만약
가 열마팅게일이라면,
는 우마팅게일이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열마팅게일이자 우마팅게일인 확률 과정은 마팅게일이다.
이산 시간 마팅게일
다음과 같은 특별한 경우를 생각하자.
가
의 자연 여과 확률 공간이다.
그렇다면, 마팅게일의 정의의 둘째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특히,
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인 경우를 생각하자. 이는 이산 시간 확률 과정에 해당한다. 이 경우,
가 마팅게일이 될 조건은 다음과 같다.
- (기댓값의 존재) 임의의
에 대하여, 
- (마팅게일 성질)

이 조건은
인 경우로, 일반적 정의보다 더 약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와 같이 수학적 귀납법으로 모든
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자연 여과 확률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