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시바(산스크리트어: शिवः 쉬바, 영어: Shiva)는 시바파 힌두교의 남신이자 최고신으로,[1][2] 힌두교의 삼주신인 트리무르티 중 하나이자 파괴의 남신이다. 마하데비(닥샤야니, 파르바티, 두르가, 칼리)의 남편이기도 하다. 보통 갠지스강이 흘러내리는 머리에 3개의 눈, 검푸른 목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며 삼지창이자 아스트라의 일종인 트리슈라를 소유하고 있다.[설명 1][설명 2]
시바 शिवः | |
---|---|
파괴의 신 독약의 대가, 위대한 요기, 시간의 신, 우주의 춤꾼 파라 브라흐만, 최고의 존재 | |
트리무르티의 일원 | |
![]() 시보 함 시바 사원의 시바상. | |
다른 이름 | 마하데바 마헤슈바라 파슈파티 나타나자 닐라칸다 마하칼라 이슈바라 브라흐만 |
데바나가리 | शिवः |
산스크리트어 | siva |
소속 | 트리무르티 |
신앙 중심지 | 바라나시 |
경전 | 베다, 푸라나 |
거주처 | 카일라스산 |
만트라 | 옴 나마하 시바야 |
무기 | 트리슈라 파슈파타 파라수(도끼) 피나카(활) |
상징 | 트리슈라, 링가, 제3의 눈 |
탈것 | 난디 |
지역 | 인도 네팔 |
배우자 | 마하데비(닥샤야니, 파르바티, 두르가, 칼리) |
자녀 | 가네샤, 무루간, 아쇼카순다리 |
불교 동등신 | 대자재천 |
기원
시바 신의 전신은 힌두교의 성전 리그베다에 나오는 폭풍의 신이자[3] 사냥의 신인 루드라(산스크리트어: रुद्र Rudra)로, "시바"라는 명칭은 원래는 루드라의 별칭이었다.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시바(Śiv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친철한(Kind)"인데, 이 시바(Śiva)라는 형용사는 《리그베다》에서 친절하면서도 또한 난폭한 신, 즉 루드라에 대해 애둘러 말하는 호칭으로 사용되었다. 즉, 루드라는 친절하다(Kind: 바람과 비)는 뜻에서 "시바(Śiva)"라고도 불리었고 또한 난폭하다(Terrible: 폭풍과 폭풍우)는 뜻에서 "고라(Ghora)"라고도 불리었는데, 이 중에서 친철하다는 의미의 시바라는 별칭이 주로 사용되었다.[4] 그러다가 마침내 시바라는 별칭이 원래 이름인 루드라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고, 베다 시대 이후에는, 특히 산스크리트 서사시(Sanskrit Epics)에서는, 루드라라는 이름과 시바라는 이름은 동의어인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두 이름은 동일한 신을 가르치는 호칭으로 서로간에 구별없이 혼용되고 있다.
불교에서의 시바
시바 신의 별칭들 중 하나인 마헤슈바라가 대승 불교에 수용되어 대자재천이 되었다.[5][6] 대자재천(大自在天)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크게[大] 자재[自在]한 천신[天, deva, 데바]' 즉 '커다란 역량이 있는 신'으로, 우주를 생성하고 유지하고 파괴하는 역량이 있는 신을 뜻한다. 즉, 트리무르티의 교의에서 말하는 브라흐만의 한 측면으로서의 시바를 뜻한다.[7][8]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개조인 용수(150?~250?)의 《대지도론》의 한역본(402~406년) 제2권에는 시바(마혜수라천)에 대한 묘사가 비슈누(위뉴천)와 무루간(구마라천)에 대한 묘사와 함께 나오는데 다음과 같다.
摩醯首羅天,(秦言「大自在」)八臂,三眼,騎白牛。如韋紐天(秦言「遍悶」),四臂,捉貝持輪,騎金翅鳥。如鳩摩羅天,(秦言「童子」)是天擎雞持鈴,捉赤幡,騎孔雀,皆是諸天大將。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진(秦)나라 말로는 대자재(大自在)라고 한다.]은 여덟 팔, 세 눈으로 흰 소를 탔고, 위뉴천(韋紐天)[진나라 말로는 변민(遍悶)이다.]은 네 팔로 소라[貝]를 쥐고 바퀴를 잡고서 금시조를 탔으며, 구마라천(鳩摩羅天)[진나라 말로는 동자(童子)이다.]은 닭을 높이 들어 올리고 요령을 잡고 붉은 번기[幡]를 쥐고서 공작을 탔다. 이들은 모두가 하늘의 대장들이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갤러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