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메스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메스나(Mesna)는 상품명 메스넥스(Mesnex) 등으로 판매되는 의약품으로, 시클로포스파미드나 이포스파마이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방광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1] 경구 투여 또는 정맥 주입으로 사용된다.[1]
흔한 부작용으로는 두통, 구토, 졸음, 식욕 부진, 기침, 발진, 관절통 등이 있다.[1]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1] 임신 중 사용은 아기에게 안전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2] 메스나는 유기황 화합물이다.[3] 소변에 있는 시클로포스파미드와 이포스파마이드의 분해 산물을 변형시켜 독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용한다.[1]
메스나는 1988년에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 이는 세계보건기구 필수 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
Remove ads
의학적 용도
화학요법 보조제
메스나는 환자가 암 화학요법을 위해 이포스파마이드 또는 시클로포스파미드를 투여받을 때 출혈성 방광염 및 혈뇨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두 가지 항암제는 생체 내에서 아크롤레인과 같은 비뇨기 독성 대사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메스나는 설프하이드릴 기가 아크롤레인과 같은 α,β-불포화 카보닐 함유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러한 대사물질을 해독하는 데 도움을 준다.[5] 이 반응은 마이클 첨가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메스나는 또한 시스테인의 소변 배출을 증가시킨다.
기타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메스나가 아세틸시스테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점액 용해제로도 사용된다. 이 효능으로 미스타브론(Mistabron)[6] 및 미스타브론코(Mistabronco)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Remove ads
투여
정맥 주사 또는 경구 투여(입으로)된다.[7] 정맥 주사 메스나 주입은 정맥 주사 이포스파마이드와 함께 투여되며, 경구 메스나는 경구 시클로포스파미드와 함께 투여된다. 생체 이용률 문제 때문에 경구 투여량은 정맥 주사(IV) 메스나 용량의 두 배여야 한다. 경구 제제는 환자가 모든 정맥 주사 메스나 주입을 위해 4~5일 동안 병원에 머무르는 대신 더 빨리 퇴원할 수 있게 해준다.
작용 기전
메스나는 화학요법 투여 후 형성될 수 있는 비뇨기 독성 화합물의 독성을 감소시킨다. 메스나는 항산화 특성이 있는 수용성 화합물이며, 화학요법제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이포스파마이드와 함께 투여된다. 메스나는 화학요법 투여 후 아크롤레인이 축적되는 방광에 집중되며, 마이클 첨가 반응을 통해 아크롤레인 및 기타 비뇨기 독성 대사물질과 접합체를 형성한다.[5] 이 접합 반응은 비뇨기 독성 화합물을 무해한 대사물질로 불활성화시킨다. 그런 다음 대사물질은 소변으로 배출된다.[8]
명칭
백스터에서 유로미텍산(Uromitexan)과 메스넥스(Mesnex)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한다. 물질의 이름은 2-mercaptoethane sulfonate Na의 약어이다(Na는 나트륨의 화학 기호).
같이 보기
- 조효소 M - 메탄 생성 세균이 사용하는 동일한 구조의 조효소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