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명통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명통감》(明通鑑)은 동치제 때 관리 하섭(夏燮, 1800년 - 1875년)이 동치 원년(1862년)에 완성된 편년체 사서이다. 《자치통감(資治通鑑)》과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의 후속으로 편찬된 사서이다.

개요

명통감이 편찬된 사유는 《명사(明史)》라는 정사가 존재하였으나, 명사에는 왜곡된 내용과 부실한 내용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것을 고쳐쓰기 위하여 사마광의 《자치통감》등을 참고하여 통감을 편찬하였다.

《명통감》의 사료로서의 가치는 다른 통감 역사서와 다르게, 명나라 역사서의 1차적인 사료인 《명실록(明實錄)》과 정사인 《명사》 등의 명나라의 사서들이 현재까지 전해지면서 명통감의 사료 가치는 상대적으로 가치가 적다. 또한 다른 통감 사서하고는 다르게 재상급 관리가 쓴 역사서가 아닌 것도 한 몫을 하였다.

구성으로는 전기(前紀) 4권, 명기(明紀) 90권, 부기(附記) 6권(분권 8권)으로 총 100권(102권)으로 구성되었다.

목록

권수

자세한 정보 부제, 목록 ...

전기(前紀)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명기(明紀)

  • 명기 ① (1368년 - 1398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② (1399년 - 1435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③ (1436년 - 1464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④ (1465년 - 1505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⑤ (1506년 - 1521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⑥ (1522년 - 1541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⑦ (1542년 - 1572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⑧ (1573년 - 1607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⑨ (1608년 - 1627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 명기 ⑩ (1628년 - 1644년)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부기(附記)

자세한 정보 ###, 시작 시기 (음력)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