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메틸하이드라진(Monomethylhydrazine, MMH)은 화학식 CH
6N
2를 갖는 고도로 유독하고 휘발성이 있는 하이드라진 유도체이다. 이것은 사산화질소 (N
2O
4) 및 질산 (HNO
3)과 같은 다양한 산화제와 접촉점화성이 있기 때문에 이원추진제 엔진의 로켓 연료로 사용된다. 추진제로서, 그것은 MIL-PRF-27404 사양에 설명되어 있다.[5]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모노메틸하이드라진
 
  | 
  | 
| 이름 | 
| 우선명 (PIN)
 | 
| 별칭
 메틸다이아잔, 모노메틸 하이드라진  | 
| 식별자 | 
 | 
 | 
 | 
 | 
 | 
635645 | 
| ChEMBL | 
 | 
| ChemSpider | 
 | 
| EC 번호 | 
 | 
| MeSH | 
Monomethylhydrazine | 
 | 
 | 
| RTECS 번호 | 
 | 
| UNII | 
 | 
| UN 번호 | 
1244 | 
InChI=1S/CH6N2/c1-3-2/h3H,2H2,1H3 예 Key: HDZGCSFEDULWCS-UHFFFAOYSA-N 예  
  | 
 | 
| 성질 | 
 | 
CH 6N 2  | 
| 몰 질량 | 
46.073 g·mol−1   | 
| 겉보기 | 
발연성 무색 액체 | 
| 냄새 | 
생선 비린내 [2] | 
| 밀도 | 
875 mg/mL (20 °C에서) | 
| 녹는점 | 
 −52 °C (−62 °F; 221 K)  | 
| 끓는점 | 
 87.50 °C; 189.50 °F; 360.65 K  | 
 | 
혼화성[3] | 
| log P | 
−1.318 | 
| 증기 압력 | 
5.00 kPa (20 °C에서) | 
 | 
1.4325 | 
| 열화학 | 
 | 
134.93 J/(K·mol) | 
 | 
165.94 J/(K·mol) | 
 | 
54.14 kJ/mol | 
표준 연소 엔탈피 (ΔcH⦵298)  | 
−1305.8 ~ −1304.6 kJ/mol | 
| 위험 | 
| 주요 위험 | 
고독성 반응성 액체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nchem.org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위험 | 
GHS 유해위험문구  | 
H225, H300, H301, H311, H314, H330, H351, H411 | 
GHS 예방조치문구  | 
P210, P260, P273, P280, P284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 인화점 | 
 −8 °C; 17 °F; 265 K[3]  | 
 | 
 196 °C (385 °F; 469 K)  | 
| 폭발 한계 | 
2.5–92%[3]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32 mg/kg (경구, 쥐) | 
 | 
- 34 ppm (쥐, 4시간)
 - 74 ppm (쥐, 4시간)
 - 162 ppm (원숭이, 1시간)
 - 195 ppm (개, 30분)
 - 145 ppm (원숭이, 30분)
 - 272 ppm (생쥐, 30분)
 - 427 ppm (쥐, 30분)
 - 56 ppm (생쥐, 4시간)
 - 143 ppm (햄스터, 4시간)
 
  [4]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C 0.2 ppm (0.35 mg/m3) [피부][3] | 
 | 
Ca C 0.04 ppm (0.08 mg/m3) [2시간][3] | 
IDLH (직접적 위험)  | 
Ca [20 ppm][3] | 
| 관련 화합물 | 
관련 화합물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닫기
 
MMH는 한때 NASA의 우주왕복선의 궤도 기동 시스템(OMS) 및 반응 제어 시스템(RCS) 엔진에서 사용된 하이드라진 유도체로, MMH와 MON-3(약 3%의 산화질소가 포함된 사산화질소 혼합물)을 사용했다. 이 화학 물질은 독성이 있고 발암성이지만[6], 궤도에서 쉽게 저장할 수 있어 매우 낮은 연료 탱크 시스템 중량으로 적절한 성능을 제공한다. MMH와 그 화학적 유사체인 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UDMH)은 재생 냉각 로켓 엔진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안정하다는 주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럽 우주국(ESA)은 MMH와 그 유사체와 같은 치명적인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이원추진제 로켓 조합에서 새로운 옵션을 모색하려고 시도했다.[7]
MMH는 특히 마귀곰보버섯(마귀곰보버섯)속의 버섯에서 발견되는 주요 활성 미코톡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MMH는 자이로미트린의 가수분해에 의해 형성된다.[8]
모노메틸하이드라진은 직업성 발암 물질로 간주되며,[9] MMH에 대한 직업 노출 한계는 가능한 발암성을 고려하여 보호 수준으로 설정된다.[10]
MMH의 알려진 용도는 수리토졸의 합성이다.[11]
MMH는 또한 약물 테모졸로마이드에서 활성 메틸화제로 추정된다.[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