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번뇌 분류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근본번뇌 · 수번뇌 분류
- 불선 · 유부무기 분류
- 견혹 · 수혹의 2혹(二惑)
- 견소단 · 수소단의 2단(二斷)
- 분별기 · 구생기의 2혹(二惑)
- 견소단 · 수소단 · 비소단의 3단(三斷)
- 번뇌장 · 소지장의 2장(二障)
- 견사혹 · 진사혹 · 무명혹의 3혹(三惑)
- 견일처주지 · 욕애주지 · 색애주지 · 유애주지 · 무명주지의 5주지(五住地)
아래 목록에는 '근본번뇌 · 수번뇌 분류'처럼 해당 분류법의 명칭이 없는 것들을 '분류법 명칭 없음' 문단에서 먼저 나열하며, 나머지는 분류법 명칭을 기준으로 먼저 숫자 순으로 그리고 가나다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해당 분류법을 사용하는 주요 종파 또는 해당 분류법의 출전이 '긴 줄표(—)' 다음에 표시되어 있다.
Remove ads
번뇌 분류법
분류법 명칭 없음
1
2
2단
2박
2장
2혹
- 2혹(二惑): 견혹(見惑) · 사혹(思惑) — 불교 일반, 특히 천태종[17][18][19][20][21]
- 2혹(二惑): 견혹(見惑) · 수혹(修惑) — 불교 일반[17][19][21]
- 2혹(二惑): 계내혹(界內惑) · 계외혹(界外惑) — 천태종[17]
- 2혹(二惑): 분별기(分別起) · 구생기(俱生起) 또는 분별기혹(分別起惑) · 구생기혹(俱生起惑) — 대승불교 일반, 특히 유식유가행파[17]
- 2혹(二惑): 이혹(理惑) · 사혹(事惑) — 천태종, 담연의 《법화현의석첨(法華玄義釋籤)》 제6권, 일여 등의 《대명삼장법수(大明三藏法數)》 제7권[19][21]
- 2혹(二惑): 통혹(通惑) · 별혹(別惑) — 천태종[17]
- 2혹(二惑): 분별기(分別起) · 구생기(俱生起) 또는 분별기혹(分別起惑) · 구생기혹(俱生起惑) — 대승불교 일반, 특히 유식유가행파[17]
- 2혹(二惑): 현행혹(現行惑) · 종자혹(種子惑) — 유식유가행파, 규기의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 제4권[17][21][22][23][24]
3
4
5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Remove ads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