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Remove ads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아랍어: فَتْحُ الشَّام Fatḥ al-šām[*]; 직역:'시리아 정복'), 또는 아랍의 시리아 정복[1]은 서기 634년부터–638년까지 라시둔 칼리파국비잔티움의 시리아를 정복한 사건을 말한다.

간략 정보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날짜 ...

방대한 아랍-비잔티움 전쟁의 일부로서, 레반트아랍계 무슬림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고 빌라드 알샴이라는 행정구역으로서 발전하였다. 비잔티움 제국의 레반트 남부 지역에서 벌어진 아랍과 비잔티움 간의 충돌은 서기 629년 무타 전투를 시작으로 무함마드 생애 내내 벌어졌었다. 하지만 실질적인 정복은 무함마드가 사망하고 2년 뒤인 634년까지 이뤄지지 않았었다. 정복 활동은 무함마드의 뒤를 초대 칼리프들인 아부 바크르우마르 이븐 알카타브가 진행했었다. 이 시기,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라시둔 군대의 핵심적인 지도자이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 붕괴 이래로 처음으로 539년에 이 지역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 로마-그리스 (마케도니아 제국,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통치를 거쳐 다시 한번 셈어파 구사자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Remove ads

로마의 시리아 속주

아랍 무슬림들의 정복에 앞서 일곱 세기 동안 시리아는 로마의 통치 하에 놓여있었고 3세기, 6세기, 7세기 때 여러 번 사산조 페르시아의 침입을 받았었다. 또한 라큼족 같은 사산조의 아랍 동맹 세력의 약탈 대상이기도 했었다.[2]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시작된 로마 시대 기간, 이스라엘 전역 ((유대, 사마리아, 갈릴리)은 '팔라이스티나'라는 이름이 명명됐고, 1 관구와 2관구로 구분되었다.[3] 로마인들은 또한 네게브, 시나이, 아라비아반도 서쪽 해안 등을 포함한 지역을 '팔라이스티나 살루타리스'로 명명했고, 때로는 '팔라이스티나 제3 관구' 및 '팔라이스티나 테르티아'라고 칭했다.[3] 일부는 동맹(symmachos)인 가산족의 통치를 받았다.[4]

로마-페르시아 전쟁마지막 전쟁 기간이던 603년을 시작으로, 호스로 2세 휘하 페르시아군은 10년 넘게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를 점령해내지만 이라클리오스의 여러 승전으로 628년에 강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5] 이에 따라, 이슬람 정복이 시작되기 직전, 로마인들(오늘날 서양 역사학자들이 통상적으로 ‘비잔틴인’이라 부르는)은 해당 지역들에서 자신들의 통치를 회복하는 중이었고, 그중 일부 지역은 거의 20년 동안 통치 밖에서 이탈해 있었다.[5] 정치적으로, 시리아 지역은 안티오키아에서 사해 위쪽의 알레포까지 이어지는 시리아 본토 지방과 사해의 서쪽 및 남쪽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등 두 지역으로 이뤄져 있었다.

Remove ads

참조

  1. Modern-day Israel, Jordan, Lebanon, Palestine, Syria, and eastern Turkey.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