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아랍어: فَتْحُ الشَّام Fatḥ al-šām[*]; 직역: '시리아 정복'), 또는 아랍의 시리아 정복[1]은 서기 634년부터–638년까지 라시둔 칼리파국이 비잔티움의 시리아를 정복한 사건을 말한다.
방대한 아랍-비잔티움 전쟁의 일부로서, 레반트는 아랍계 무슬림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고 빌라드 알샴이라는 행정구역으로서 발전하였다. 비잔티움 제국의 레반트 남부 지역에서 벌어진 아랍과 비잔티움 간의 충돌은 서기 629년 무타 전투를 시작으로 무함마드 생애 내내 벌어졌었다. 하지만 실질적인 정복은 무함마드가 사망하고 2년 뒤인 634년까지 이뤄지지 않았었다. 정복 활동은 무함마드의 뒤를 초대 칼리프들인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가 진행했었다. 이 시기,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이 라시둔 군대의 핵심적인 지도자이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 붕괴 이래로 처음으로 539년에 이 지역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 로마-그리스 (마케도니아 제국,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통치를 거쳐 다시 한번 셈어파 구사자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Remove ads
로마의 시리아 속주
요약
관점
아랍 무슬림들의 정복에 앞서 일곱 세기 동안 시리아는 로마의 통치 하에 놓여있었고 3세기, 6세기, 7세기 때 여러 번 사산조 페르시아의 침입을 받았었다. 또한 라큼족 같은 사산조의 아랍 동맹 세력의 약탈 대상이기도 했었다.[2]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시작된 로마 시대 기간, 이스라엘 전역 ((유대, 사마리아, 갈릴리)은 '팔라이스티나'라는 이름이 명명됐고, 1 관구와 2관구로 구분되었다.[3] 로마인들은 또한 네게브, 시나이, 아라비아반도 서쪽 해안 등을 포함한 지역을 '팔라이스티나 살루타리스'로 명명했고, 때로는 '팔라이스티나 제3 관구' 및 '팔라이스티나 테르티아'라고 칭했다.[3] 일부는 동맹(symmachos)인 가산족의 통치를 받았다.[4]
로마-페르시아 전쟁의 마지막 전쟁 기간이던 603년을 시작으로, 호스로 2세 휘하 페르시아군은 10년 넘게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를 점령해내지만 이라클리오스의 여러 승전으로 628년에 강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5] 이에 따라, 이슬람 정복이 시작되기 직전, 로마인들(오늘날 서양 역사학자들이 통상적으로 ‘비잔틴인’이라 부르는)은 해당 지역들에서 자신들의 통치를 회복하는 중이었고, 그중 일부 지역은 거의 20년 동안 통치 밖에서 이탈해 있었다.[5] 정치적으로, 시리아 지역은 안티오키아에서 사해 위쪽의 알레포까지 이어지는 시리아 본토 지방과 사해의 서쪽 및 남쪽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등 두 지역으로 이뤄져 있었다.
시리아는 대부분 아람어와 그리스어 사용자들로 이뤄졌고 부분적으로 아랍인들이 있었는데, 주로 동부와 남부 지역에 있었다. 시리아의 아랍인들은 예멘에서 시리아로 강력한 가산족이 이주할 때까지 중요한 이들이 아니었으며, 가산족은 기독교로 개종하고 이후 로마의 봉신으로서 자신들만의 왕을 둔 준자치 국가를 이루었다. 가산 왕조는 로마 제국의 영예로운 봉신 가문 중 하나가 되었으며, 가산족의 왕은 보스트라에 있는 수도에서 요르단과 시리아 남부의 아랍인들을 다스렸다. 가산족의 마지막 국왕은 이슬람의 침입 당시 통치하던 자로, 자발라 이븐 알아이함이었다.
비잔틴 황제 이라클리오스는 사산 제국으로부터 시리아를 재탈환하고 나서, 사해 남쪽 가자로부터 새로운 방어선을 설치했다. 이 방어선은 도적들로부터 교역망을 보호하기 위함이었을 뿐, 비잔티움의 방어선 대부분은 전통적인 적수인 사산조 페르시아를 마주하고 있는 북시리아에 집중되어 있었다. 북시리아 방어선의 후방은 남쪽의 사막으로부터 진입하는 무슬림들에게는 북쪽 끝 가자에 이를 때까지 비잔틴의 정규군을 마주치지 않고 접근할 수 있었다.
7세기는 비잔티움 제국에 있어 긴급한 군사적 변화가 일어난 때였다. 최근 로마-페르시아 전쟁을 겪은 후 기진맥진하던 제국은 아라비아로부터 새로운 적수를 마주하던 때 분명 붕괴의 상태는 아니었으나, 이 새로운 도전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는 데는 분명히 실패했다.[6]
Remove ads
칼리파국의 발흥
비잔티움 제국과 군사적 충돌은 무함마드 생전부터 시작됐었다. 629년 9월 카라크주 요르단강과 카라크의 동쪽에 위치한 무타에서 이슬람 선지자 무함마드의 군대와 비잔티움 제국의 군대 및 이들의 동맹 아랍계 기독교인 가산족 봉신 병력이 무타 전투에서 격돌했다. 이슬람 측 사료에서, 이 전투는 보통 가산족의 관료가 부스라로 향하던 무함마드의 사절단을 처형함으로써 가산족에 대한 무슬림들의 보복 시도로 묘사된다.[7] 교전 중에 무슬림 병력은 퇴각하였다.[8][9] 무슬림 지휘관 셋이 전사하자, 지휘권은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에게 넘어갔고 그는 잔류 병력을 지키는 데 성공한다.[8] 살아남은 이슬람군은 메디나로 퇴각했다.
632년 힛자툴 와다 (고별 순례) 이후, 무함마드는 우사마 이븐 자이드를 비잔티움 제국의 발카 지방을 침공할 예정이던 원정군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이 원정은 우사마 이븐 자이드의 원정으로 알려져 있고, 우사마의 아버지이자 무함마드의 양아들 자이드 이븐 하리타가 전사한 무타 전투에서 죽은 무슬림들의 복수를 하는 것이 표면상 목표였다.[10] 632년 5월/6월 우사마의 원정은 성공적이었고 그의 군대는 비잔티움의 영토를 공격하여 약탈을 거둔 최초의 무슬림 군대가 되었다.
무함마드가 632년 6월에 죽고, 아부 바크르가 메디나에서 칼리프 및 정치 후계자로 지목된다. 아부 바크르의 계승이 있고 얼마 안 있어, 일부 아랍 부족들이 릿다 전쟁 (아랍어로 변절의 전쟁)중 그에게 반기를 일으켰다. 릿다 전쟁은 히즈라력 11년 때 벌어져 종료되었다. 히즈라력 12년이 도래하는, 633년 3월 18일, 아랍은 메디나의 칼리프 권위 아래 통일이 이뤄졌다.
아부 바크르가 전면적인 제국 정복을 의도했는지는 단정하기 어려우나, 그러나 그는 역사적 흐름을 촉발시켰고, 그로부터 불과 몇십 년 만에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 가운데 하나가 탄생하게 됐으며, 칼리드 이븐 알왈리드 장군이 이끈 페르시아 제국과의 대결이었다.
Remove ads
시리아 원정
요약
관점
사산조를 상대로 성공적인 군사 원정을 거두며 연이어 이라크 정복을 해낸, 할리드는 이라크에 근거지를 마련하였다. 사산 군대와 교전하는 동시에, 그는 또한 비잔틴의 가신이던 아랍계 가산족과도 부딪혔다. 곧 메디나에서는 아라비아반도 전역에서 부족 파견 부대를 모집했다. 릿다 전쟁 중 반기를 일으킨 부족들은 소집에서 배제되어 636년까지 라시둔 군대에 포함되지 못하다가 우마르 칼리프가 야르무크 전투 및 까디시야 전투 때 인적 자원이 부족하자 소집하였다. 부족 파견대에서 군대를 징집하는 전통은 우마르가 상비군을 조직하는 636년 때까지 이어졌다. 아부 바크르는 병력을 네 개 부대로 조직하였고 각 부대의 지휘관과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아므르 이븐 알 아스: 목표 팔레스타인. 에일라트 경로로 이동한 뒤, 아라바 계곡을 횡단.
- 야지드 이븐 아부 수피안: 목표 다마스쿠스. 타부크 경로로 이동.
- 슈라빌 이븐 하사나: 목표 요르단. 야지드에 이어 타부크 경로로 이동.
- 아부 우바이다 이븐 알자라: 목표 에메사. 슈라빌에 이어 타부크 경로로 이동.
아부 바크르를 상호 지원을 위해 연락을 이어나가라고 병력들에 명령했고 아부 우바이다를 총사령관으로, 야지드를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11][12] 또한 그는 또한 야지드를 군사 구역 가운데 한 곳의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윤리적·작전적 지침을 세세하게 부여하였다:
적들과 마주한다면, 신께서 자네들을 승리로 이끌어주실 것이니, 사슬로 묶지도 말고, 신체를 훼손하거나 절단하지도 말며, 배신하지도 말라, 그리고 (패배자들을) 겁쟁이라 비난하지도 마라. 아이들과 노인 여성을 죽이면 안 되고, 야자수를 태우거나 뽑아서도 안 되며, 과실 나무를 베어내지도 말며, 먹을 목적이 아니라면 가축을 잡지도 말아라. 은둔처에 머물며 자신을 신[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해 은둔하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지나게 될 것이다. 그들이 스스로를 위해 은둔한 일에 대하여는 그들을 내버려 두라. 또한 너희는 머리 한가운데에 마치 사탄이 자리 잡은 듯한 자들을 보게 될 것이며, 그들의 정수리는 마치 사막꿩의 둥지(afahīs al-qatā)와도 같이 되어 있다. 그들이 회개하여 이슬람에 귀의할 때까지 혹은 손수 조공을 바치며 겸손히 복종할 때까지 검으로 그들이 머리에 파놓은 둥지 같은 것들을 쳐라. 신은 반드시, 비록 그들이 눈앞(bi-al-ghayb)에 없을지라도, 그분과 그분의 사도들을 돕는 자들을 도우실 것이다. 나는 자네들에게 작별을 고한다. 신의 평화와 자비가 너희 위에 있기를.[13][14]
참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