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성근
대한민국의 배우, 정치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문성근(文盛瑾[1], 1953년 5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사회운동가이다. 배우로서의 대표작으로는 영화 《그들도 우리처럼》, 《꼴찌부터 일등까지 우리반을 찾습니다》, 《경마장 가는 길》, 《결혼 이야기》, 《세상 밖으로》, 《꽃잎》,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비상구가 없다》, 《너에게 나를 보낸다》, SBS TV 시사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 등이 있다.
정치인으로서 2012년 1월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이 되었고, 같은 해 4월 19대 총선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며, 수석최고위원으로 총선 패배후 국가의전서열 8위의 민주통합당 대표 직위를 한 달 동안 맡았다.
Remove ads
학력
경력
- 1992년~1994년, 1997년~2002년 SBS 그것이 알고싶다 진행
-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
- 국민의 명령 상임대표
-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
-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
- 2002년 개혁국민정당 창당발기인
- 2002년 개혁국민정당 실행위원장
- 2002년 개혁국민정당 국민참여운동본부장
- 2003년 대통령비서실 대북특사
- 2004년 열린우리당 국민참여운동본부장
- 2012년 민주통합당 수석최고위원
- 2012년 민주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
- 2012년 민주통합당 부산 북구·강서구 을 지역위원장
- 2017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2019년~ 평창국제평화영화제(전 평창남북평화영화제) 이사장
- 2024년~ 조국혁신당 중앙당 후원회장
생애
요약
관점
1953년 도쿄에서 아버지 문익환과 어머니 박용길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남평(南平). 아버지 문익환은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목사이고, 재야운동가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서울 보성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서강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였다. 1974년 서강대학교 재학중에 뮤지컬배우로 데뷔하여 몇 편의 뮤지컬에 출연한 바 있고, 대학 졸업 후 현대그룹에서 직장 생활을 하였다.
1985년 연극 《한씨 연대기》를 통하여 본격 연극배우로서 연예계에 정식 데뷔하였다. 이후 연극 《칠수와 만수》(1986년) 등에 출연하고, 영화 《그들도 우리처럼》(1990년), 《베를린 리포트》(1991년) 등에 출연하였다.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 등을 통해 방송 진행자로서도 활동하였다. 1992년 청룡영화제에서 《경마장 가는 길》로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0년 4월에 실시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치인 노무현이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부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네티즌들이 노사모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2001년 10월, 배우 명계남이 대표로 있던 노사모에 가입한 문성근은 11월에 전남대학교에서 열린 초청 강연회에서 노무현의 대선 출마에 대한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2001년 11월, 동료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노문모'(노무현 상임고문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 모임)를 조직하여 노무현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했다.[2][3]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선후보 노무현을 지지하는 활동을 하였는데, 개혁국민정당에 가입하여 활동하며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는 데 기여하였다.[4]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에는 정계를 떠나 배우로서의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3년 가을, 대통령 노무현의 대북특사로 방북해 노동당 대남담당비서 김용순을 만나 "대화를 통한 남북관계 증진과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중요한 만큼 이를 김 위원장과 논의할 의지가 있다"라는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기도 했다.[5][6] 이에 대해 문성근은 자신이 통일운동가 문익환의 아들이라는 점이 감안된 선택이었을 것으로 추측했다.[7]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하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큰 충격을 받은 문성근은 2010년부터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이라는 2012년 대한민국 대선을 겨냥한 야 5당(민주당 · 민주노동당 · 국민참여당 · 진보신당 · 창조한국당)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 운동을 시작하였다.[8] 이후 시민통합당을 거친 뒤, 민주당과 합당하여 출범한 민주통합당의 당권 경쟁에 참여하여, 1차 예비경선을 통과한 뒤, 당 대표및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하였고, 2012년 1월 15일에 실시된 최종 대의원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여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이후 부산 북강서구 을 선거구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한명숙이 대표직 사임으로써 초대 19대 국회 민주통합당 원내대표가 결정되기 전까지 임시적으로 민주통합당 의장 대행을 맡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2013년 5월 4일에 민주당을 탈당했다가 2017년에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연기 활동
영화
드라마
연극
- 1985년 《한씨 연대기》
- 1986년 《칠수와 만수》
Remove ads
연기 외 활동
텔레비전 프로그램
CF
- 1988년 하나카드 비자카드 (이광세 성우 대역)
- 1991년 LF 타운젠트
- 1992년 롯데제과 롯데껌 깨끗한 거리가꾸기캠페인
- 1993년 TG삼보컴퓨터 마라도 편
- 1993년 TG삼보컴퓨터 트라이젬 파퓰러
- 1993년 TG삼보컴퓨터 스타일러스(인쇄광고)
- 1993년 LG생활건강 맛그린 (feat. 배종옥)
- 1994년 KB국민카드
- 1994년 전국은행연합회 은행개인연금신탁
- 1995년 코웨이 - 물보험
- 1996년 코웨이 - 냉온정수기
- 1996년 금강제화 - 엘칸토상품권(엘칸토)
- 1997년 인켈 - 인켈홈시어터
- 1997년 크라운제과 - 죠리퐁 (feat. 김정은, 유태웅)
- 1998년 센추리에어컨
- 1998년 한국문화진흥 문화상품권
- 1999년 노동부 고용보험캠페인
- 2000년 하이투자증권
- 2000년 더존디지털웨어
- 2000년 평화의 숲 운동캠페인
- 2000년 유니베라 멕시코, 미국 편
- 2000년 국정홍보처 우리는 하나
- 2000년 아모레퍼시픽 송염치약
- 2001년 LG유플러스 국제전화 00388
- 2002년 한국GM L6매그너스
Remove ads
역대 선거 결과
가족 관계
수상 및 후보
Remove ads
소속 정당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