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미국선녀벌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국선녀벌레(美國仙女-, Metcalfa pruinosa)는 노린재목 매미아목 선녀벌레과의 곤충이다.
이 벌레는 대한민국에서는 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무나 농작물의 즙을 빨아먹고, 말려서 죽이는 피해를 준다.
Remove ads
분포
미국선녀벌레는 북아메리카 (신북구)가 원산이지만 오늘날에는 유럽 (루마니아, 몰도바, 스위스, 스페인, 슬로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신열대구[4][5][6] 및 대한민국[7] 도처에 분포한다.
특징
성충은 몸길이 5.5~8mm에 달하고 가장 넓은 몸 부위는 그 폭이 2~3mm에 달한다. 처음에는 몸이 하얗다. 특히 약충의 몸을 덮고 있는 청백색의 상큐티클 밀랍과 비교해 볼 때 성충의 체색은 갈색부터 회색까지 다양하다. 머리와 앞가슴은 각각 약간 연한 황갈색을 띠고 있다.[8] 크고 튀어나온 눈은 색이 노랗다. 구기는 뚫고 빠는 데 적합하다. 사다리꼴 앞날개는 수직으로 열리며, 휴식을 취할 때 몸을 감싼다. 앞날개는 전연맥으로 이루어진 칸과 몇 가지 특징적인 흰점들을 가지고 있다. 뒷다리 정강이마디는 보통 옆으로 난 두 개의 가시에 추가로 꼭대기에 다른 가시 하나를 달고 있다.[9]
약충은 몸길이 약 3.2mm에 달한다. 체색은 배에 있는 비교적 큰 하얀 밀랍 다발 때문에 흰색에서 연록색의 다양한 색을 띤다.[10]

Remove ads
습성과 생태 영향
미국선녀벌레는 다화성으로, 매해 한 세대가 태어난다. 성충은 가을이 되면 밤에 나와 짝짓기를 한다. 암컷은 약 100개의 알을 낳으며, 보통 기주 식물의 나무껍질에서 진행한다. 알은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에 부화한다. 성충은 군집을 이루어 수액을 먹는 여름과 가을에 주로 보인다.[9] 이들은 수액을 먹을 때에 감로의 형태로 과도한 당분을 배출한다. 이것은 꿀로 전환되어 꿀벌을 끌어들인다.[11]
미국선녀벌레는 먹이로 삼는 농작물 및 조경식물을 먹으면서 심각한 피해를 준다. 이들은 다식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먹이로 삼는다. 대표적인 기주식물로는 단풍나무, 층층나무, 산사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쥐똥나무, 아까시나무, 서양접골목이 있다. 피해를 일으키는 대표 농작물 및 원예작물로는 포도, 감귤류, 살구, 복숭아, 블랙베리, 라즈베리가 있다.[10][12]
대한민국에서의 피해
2005년에 김해시의 단감 농가에서의 피해 보고를 시작으로,[13] 현재에는 전 국토로 퍼져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미국선녀벌레를 돌발해충으로 지정해 두었다. 대한민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감, 복숭아, 블루베리, 키위 등 300여종 이상의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농진청에서 2020년부터 4년에 걸쳐 대량으로 증식시킨 선녀벌집게벌을 29개 지역에 방사시켰는데, 최대 30%의 기생률을 보여줘 생물방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13]
사진
- 미국선녀벌레 약충
- 약충
- 성충을 위에서 바라 본 모습.
- 약충
같이 보기
참고문헌
- Glover T. (1877) Homoptera in Report of the Entomologist and Curator of the Museum, Report of the United States Commissioner of Agriculture. Washington, D. C., 1876: 17-46
- Metcalf Z.P. (1957) Part 13. Flatidae and Hypochthonellidae, In: Metcalf Z. P. 1954 - General Catalogue of the Homoptera. Fascicule IV, North Carolina State College, Raleigh(United States of America). p. 1-565.
- Pavel Lauterer (2002) Citrus Flatid Planthopper - 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 a New Pest of Ornamental Horticulture in the Czech Republic. In: Plant Protection Science. Vol. 38, No. 4, 2002, S. 145–148
- Say T. (1830) Descriptions of new North American Hemipterous insects, belonging to the first family of the section Homoptera of Latreille, Journal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6: 235-244.
- Schaum H.R. (1850) Fulgorellae. Erster Section A-G. In: Ersch I. S. & Gruber I. G. 1850 Allgemeine Encyklopädie der Wissenschaften und Kunste in alnhaberischen folge von Genannten Schriftstellern bearbeitet und herausgegeben, 51. p. 58-73.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