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민관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민관식(閔寬植, 1918년 5월 3일(음력 3월 23일) ~ 2006년 1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의학자, 약학자, 정치인이며 사회기관단체인이었다. 제3·4·5·6·10대 국회의원에 한차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으며, 시민사회단체에서도 활약하였다. 호는 소강(小崗),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Remove ads
생애
경기도 개성군 출신으로 경성부로 상경하여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와 수원농림전문학교 농학과를 거쳐, 일본으로 유학, 일본 교토 제국대학 농학부 농예화학과를 졸업하였다. 약사시험에 합격, 약사면허를 취득하였고 일본 교토대학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사회단체에서 활동, 1964년부터 1971년까지 다섯번에 걸쳐 대한체육회 회장을 역임하고 명예회장도 지냈으며 1966년에 대한약사회 회장(7선) 및 명예회장을 지냈다.
1968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무교동 체육회관과 태릉선수촌을 건립하였다. 1970년 아세아 약사회 부회장을 지냈고,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문교부 장관을 맡았다. 1974년에는 아세아 정책연구원장을 지냈고 1974년부터 1984년까지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회장 및 명예회장을 지냈다. 1978년 원광대에서 명예약학박사학위를, 중앙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중구·종로구에서 공화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으며 제10대 국회부의장, 국회의장 직무대리를 지냈다. 1986년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 1989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1989년부터 한국 올림픽 위원회 상임고문, 헌정회(憲政會) 고문 등의 직책을 맡았다.
그 밖에도 남북조절위원회 부위원장 겸 공동위원장, 상허문화재단이사장을 지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체육훈장 청룡장, 1979년 12월 21일 연암문화재단 감사패 등을 수상했다. 김영호는 그의 아내이며 민병의, 민병찬, 민병환은 그의 아들들이다.
Remove ads
가족관계
- 증조부 : 민치정(閔齒鼎)
- 증조모 : 창녕 조씨
- 조부 : 민사호(閔思鎬)
- 조모 : 남원 진씨
- 백부 : 민영철(閔泳喆)
- 숙부 : 민영찬(閔泳贊)
- 아버지 : 주사(主事) 민영필(閔泳弼, 1867 ~ ?)
- 어머니 : 경주 김씨
- 누님 : 민인식(閔仁植, 1892) 자형 김시영(金始永), 청풍 김씨
- 형님 : 민창식(閔創植, 1896)
- 형님 : 민완식(閔完植, 1911)
- 배우자 : 김영호 (金永浩, 1924년 ~ 2017년 11월) - 前 요리사
- 아들 : 민병의(閔丙毅, 1943년 ~ )
- 손녀 : 민진희(閔進熙)
- 손녀 : 민선희(閔善熙)
- 아들 : 민병찬(閔丙贊, 1954년 ~ )
- 아들 : 민병환(閔丙煥, 1957년 ~ )
- 아들 : 민병의(閔丙毅, 1943년 ~ )
Remove ads
상훈 경력
- 국민훈장
- 무궁화장
- 청조근정훈장
- 체육훈장 청룡장
- 1979년 12월 21일 연암문화재단 감사패
저서
- 《미국의 입법과정》
- 《왜 그들은 잘사나?》
- 《낙제생 끝없는 언덕》
역대 선거 결과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