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혜련
대한민국의 정치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백혜련(白惠蓮, 1967년 3월 27일~)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 정치인이다. 제20·21·22대 국회의원이다.
생애
1967년 3월 27일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재학 시절 시민운동·노동운동 활동을 하였다. 대학 졸업 후 1997년 사법시험에 합격했다.[1]
사법연수원 29기 수료 후, 2000년 수원지방검찰청의 검사로 임용됐으며,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재직 시절 삼성물산 재개발 비리의혹, 국세청 비리의혹 등을 파헤쳐 MBC 드라마 《아현동 마님》의 롤 모델이 되기도 했다.[2] 2011년 11월 대구지방검찰청 재직 당시 이명박 정부에 의해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및 독립성이 훼손된 것을 비판하며 검사직을 사직했다.[3] 11년간의 검찰생활을 마친 이후 2012년 민주통합당에 입당하였다.[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이 학생 운동을 했던 안산시 단원구 갑에 공천됐으나, 통합진보당 조성찬 후보와의 야권 연대 경선에서 밀려 본선에는 나서지 못했다.[4] 이후 MB정권비리척결본부장, 문재인 대선후보캠프 반부패특별위원회 위원, 공정선거감시단 등의 직책을 맡았다. 2014년 7.30 재보궐선거에서 수원시 을에 공천됐으나[5] 새누리당의 정미경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6]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경기 수원시 을에 다시 공천되어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 김상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제21·22대 총선에서 당선되며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경력
- 2000년 2월~2002년 1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
- 2002년 2월~2003년 7월: 대구지방검찰청 김천지청 검사
- 2003년 8월~2005년 1월: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검사
- 2005년 2월~2007년 12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8부 검사
- 2008년 1월~2008년 12월: 미국 포드햄대학교 로스쿨 방문연구원
- 2010년 2월~2011년 11월: 대구지방검찰청 형사3부 수석검사
- 2011년 12월~: 백혜련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 2012년 2월: 민주통합당 입당
- 2012년 3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산시 단원구 갑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 2012년 3월~2012년 4월: 민주통합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MB정권비리척결본부장
- 민주통합당 전국여성위원회 부위원
- 민주통합당 경기도당 공정선거감시단 단장
- 2012년 5월~2014년 5월: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안산시 단원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1월~2012년 12월: 제18대 대통령 선거 민주통합당 경기도당 안산시 단원구 갑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1월~2012년 12월: 제18대 대통령 선거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 새정치위원회 반부패특별위원회 위원
- 2013년 5월~2014년 3월: 민주당 경기도당 여성위원장
- 2013년 8월: 경기도 중소기업사업조정심의회 위원
- 2013년 11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회원
- 광교신도시입주자총연합회 자문변호사
- 새정치민주연합 중앙당 윤리위원회 위원
- 2014년 3월~2014년 5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공천심사위원회 위원
- 2014년 5월~2014년 6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경기도지사 후보 대변인
- 2014년 11월~: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수원시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 수원경실련 자문위원
-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초선)
- 2016년 5월~2017년 5월: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 2017년 4월~2017년 5월: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유세본부 부본부장
- 2017년 5월~2018년 8월: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 2017년 8월~2018년 8월: 더불어민주당 적폐청산위원회 위원
- 2017년 8월~2018년 6월: 더불어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 대변인
- 2018년 10월~2020년 10월: 더불어민주당 전국여성위원회 위원장
- 2019년 11월~2020년 4월: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총선기획단 위원
- 2020년 1월~2020년 4월: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
- 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21년 5월~2022년 3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3선)
의정 활동
-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초선)
- 2016년 6월~2017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2016년 6월~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17년 9월: 제20대 국회 대법원장(김명수)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17년 12월: 제20대 국회 감사원장(최재형)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18년 1월~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
- 2018년 7월~2020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18년 7월~2019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18년 10월~2019년 8월: 제20대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간사
- 2019년 7월~2019년 8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20년 5월 30일~2024년 5월 29일: 제21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20년 6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 2020년 6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20년 8월~2020년 9월: 제21대 국회 대법관(이흥구)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간사
- 2020년 9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위원장
- 2020년 9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 위원
- 2020년 9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위원
- 2020년 9월~2021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 위원
- 2021년 5월~2022년 5월: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2021년 11월~2021년 12월: 제21대 국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문상부)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2년 7월~2024년 5월: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장
- 2024년 5월 30일~: 제22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을, 더불어민주당, 3선)
- 2024년 6월~: 제22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2024년 7월~2024년 8월: 제22대 국회 대법관(노경필·박영재·이숙연)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4년 12월~2024년 12월: 제22대 국회 대법관(마용주)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 2024년 12월~2025년 2월: 제22대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
학력
역대 선거 결과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