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베트남 철도
베트남의 국유 철도 회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베트남 철도(베트남어: Đường sắt Việt Nam)는 베트남의 철도를 운영하는 베트남의 국유 철도이다. 주요 노선으로 하노이와 호찌민 시를 잇는 총 연장 1,726km의 남북선이 있다.[2]






Remove ads
역사
베트남에 처음 철도가 놓인 것은 프랑스의 식민지 시기였던 1880년대였다. 프랑스는 지금의 베트남 남부와 캄보디아를 아우르는 코친차이나 지역에 철도를 부설하였다.[3] 이후 1930년대까지 하노이와 사이공을 기점으로 하는 철도 노선들이 계속하여 들어섰고, 이윽고 1936년 하노이와 사이공을 연결하는 남북선이 완공되었다.[4] 그러나 연이어 계속된 전쟁으로 철도 파괴가 계속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남북선은 폭격 대상이었고, 이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기간에도 물자의 운송을 방해하기 위한 철도 파괴가 계속되었다.[5] 전쟁 이후 철도가 복구되어 "통일 열차"라는 별명이 붙었다.[2]
노선
베트남 철도가 운영하는 주요 노선은 아래의 표와 같다.[6]
프로젝트
2008년 호찌민 시의 지하철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2013년 완공하였다. 지하철 건설 비용의 일부는 일본이 지원하였다.[8] 하노이의 지하철은 2030년까지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9]
남북선 노선표
하노이발 사이공행 통일 열차 노선표는 다음과 같다.[10]
하노이 - 사이공 노선표
역명 | 거리(Km) |
하노이 | 0 |
잡밧 | 5 |
번디엔 | 9 |
푸리 | 56 |
남딘 | 87 |
닌빈 | 115 |
빔선 | 141 |
탄호아 | 176 |
민코이 | 197 |
꺼우지앗 | 250 |
쪼시 | 279 |
빈 | 319 |
옌쭝 | 340 |
흐엉포 | 387 |
떤업 | 409 |
동레 | 436 |
민레 | 482 |
동허이 | 522 |
동하 | 622 |
후에 | 688 |
랑꼬 | 755 |
낌리엔 | 777 |
다낭 | 791 |
짜끼에우 | 825 |
푸깡 | 842 |
땀끼 | 865 |
누이탄 | 890 |
꽝응아이 | 928 |
득포 | 968 |
봉선 | 1017 |
디에우찌 | 1096 |
뚜이호아 | 1198 |
지아 | 1254 |
닌호아 | 1281 |
냐짱 | 1315 |
응아바 | 1364 |
탐짬 | 1408 |
송마오 | 1484 |
마람 | 1533 |
빈투안 | 1551 |
수오이키엣 | 1603 |
롱칸 | 1649 |
비엔호아 | 1697 |
지안 | 1707 |
사이공 | 1726 |
출처: 베트남 철도 예매 홈페이지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