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볼프강 빌헬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볼프강 빌헬름 폰 팔츠노이부르크(Wolfgang Wilhelm von Pfalz-Neuburg, 1578년 11월 4일~1653년 9월 14일)은 17세기 신성로마제국의 제후로서, 팔츠노이부르크 백작이자 율리히와 베르크의 공작이었다.

Remove ads
생애
1578년 노이부르크안데어도나우에서 태어났다. 볼프강 빌헬름의 부모는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필립 루트비히와 아나 폰 율리히클레베베르크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의 딸)였다.
삼촌인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요한 빌헬름이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자, 볼프강 빌헬름은 세 공국을 확보하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당시 노이부르크는 바이에른 공국, 팔츠 선제후국과 같은 강대국에 둘러싸인 약소국이었는데, 율리히의 상속권을 얻는다는 것은 영토 확장 뿐만 아니라 노이부르크의 경제발전을 이끌어낼 기회였기 때문이었다. 당시 종교 개혁의 국면에서 루터교 신도였음에도 불구하고 볼프강 빌헬름은 직접 프라하로 가서 황제의 지지를 구했다. 노이부르크는 프랑스와 잉글랜드에게서도 지지를 얻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1]
마침내 1609년 볼프강 빌헬름은 상속권을 놓고 경쟁하던 브란덴부르크의 요한 지기스문트와 협상에 들어가 도르트문트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이 조약은 볼프강 빌헬름이 1613년에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파기되었고, 율리히 계승 전쟁이 발발한다.[1]
이후 요한 지기스문트와의 재협상을 통해 팔츠노이부르크 공국의 초대 통치자이자 율리히와 베르크의 공작을 겸하게 되었다. 1615년에는 황금양모 기사단의 기사가 되었다. 30년 전쟁의 국면에서는 가톨릭으로 개종했던데다 중립적 자세를 엄격히 지켰기 때문에 자신의 봉토가 전쟁에 휩쓸려 파괴되는 것은 피할 수 있었다.
1636년 거주지를 뒤셀도르프로 옮겼으며, 이후 봉토 내에서 가톨릭 교세의 안정과 전파에 노력하였다. 1651년 교회 재산에 대한 분쟁으로 뒤셀도르프 소전쟁이 단기적으로 벌어지는 일이 있었다. 1653년 사망 후 아들인 필립 빌헬름이 영토를 상속받았다.
Remove ads
아내와 자녀
볼프강 빌헬름은 세 번에 걸쳐 결혼했다.
- 1613년 바이에른의 막달레나와 결혼, 후계자인 필립 빌헬름을 낳았다.
- 1631년 츠바이브뤼켄 백작 요한 2세의 딸인 카타리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폰 팔츠츠바이브뤼켄과 결혼하여 페르디난트 필립과 엘레오노레 프란치스카를 낳았다. 두 자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 1651년 에곤 8세 폰 퓌르스텐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의 딸인 마리아 프란치스카 폰 퓌르스텐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 백작부인과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가계도
8. 츠바이브뤼켄 백작 루트비히 2세 | ||||||||||||||||
4. 츠바이브뤼켄 백작 볼프강 | ||||||||||||||||
9. 엘리자베트 폰 헤센 | ||||||||||||||||
2.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필립 루트비히 | ||||||||||||||||
10. 헤센 방백 필립 1세 | ||||||||||||||||
5. 아나 폰 헤센 | ||||||||||||||||
11. 크리스티네 폰 작센 | ||||||||||||||||
1. 팔츠노이부르크 백작 볼프강 빌헬름 | ||||||||||||||||
12. 클레베 공작 요한 3세 | ||||||||||||||||
6.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 | ||||||||||||||||
13. 마리아 폰 율리히베르크 | ||||||||||||||||
3. 아나 폰 율리히클레베베르크 | ||||||||||||||||
14.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
7.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 ||||||||||||||||
15. 안나 폰 보헤미아-헝가리 |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