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22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
기년
사건
- 1월 1일
- 1월 5일 - 독립단 85명이 만주 훈춘과 강동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주재소를 습격, 전투를 벌였다.
- 1월 18일 - 박인호가 천도교 교주에 올랐다.
- 2월 4일 - 한국 제2차 조선교육령
- 2월 6일 - 교황 비오 11세, 259대 로마 교황 취임.
- 2월 7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외무국을 설치하였다 (국장 박찬익)
- 2월 11일 - 이광수, 김윤경 등이 수양동맹회를 조직하였다.
- 2월 28일 - 이집트 왕국이 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하다(입헌 군주국으로).
- 3월 27일 -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 (YWCA)가 발족되었다.
- 3월 28일 - 의열단 소속 김익상, 오성륜 등이 상하이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를 저격하려다 체포되었다.
- 4월 3일 - 사립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가 교명을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로 교명 변경하고, 학교를 명동(대화정)에서 숭이동으로 이전함.
- 4월 16일 - 독일 - 소련 라팔로 조약 체결
- 5월 - 이광수가 <개벽> 지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였다.
- 5월 1일 - 조선노동공제회가 최초로 노동절 기념강연회를 개최하였다.
- 6월 1일
-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조전(朝展)가 열리다.
- 핀란드에서 고용계약법과 빈민구호법, 공무원필요언어법이 시행되다.
- 6월 2일 - 핀란드 대통령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가 벤놀라 내각을 실각시키고 아이모 카얀데르를 총리에 임명.
- 6월 16일 - 경성-원산 간 직통전화선이 개통되었다.
- 6월 24일 - 독일 외무장관 발터 라테나우 암살.
- 7월 - 김소월이 <개벽> 지에 시 <진달래>를 발표하였다.
- 7월 18일 - 독일, 공화국 수호법 제국의회 통과.
- 7월 20일 - 일본 고베의 한인 노동자 4천여명이 조선노우회를 결성하였다.
- 7월 26일 - 일본 니가타현에서 한인 노동자 100여명이 학살당했다.
- 8월 - 광복군사령부, 한족회, 광복군총영, 광한단 등이 대한통의군부로 통합되었다.
- 8월 5일 - 대륙고무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조선에서 처음으로 대장군표 고무신이 생산되었다.
- 8월 7일 - 런던 회담 (1922년) (~14일).
- 9월 - 홍난파가 연악회를 창립하였다.
- 9월 4일 - 진주노동공제회가 소작노동자대회를 개최되었다.
- 9월 9일 - 일제강점기: 태극단 결사대, 일본 경찰과 교전.
- 9월 17일 - 제1회 조선변호사 시험 4명 합격 - 1,2,3차 시험에 한국인들은 합격했지만 마지막 면접 시험은 일본어로 치러져 단 한 명만 합격한다. 한국인 최초 변호사 이종성.
- 10월 1일 - 김구, 여운형 등이 상하이에서 군인 양성 및 군비조달 목적으로 한국노병회를 창설하였다.
- 10월 3일 - 독립군 60여명이 평안북도 강계군 고산진 주재소를 습격하였다.
- 10월 5일 - 독립운동가 정성채, 한국보이스카웃의 모태인 소년척후단을 조직하다.
- 10월 29일 - 서울에서 자유노동조합 창립.
- 10월 30일 - 이탈리아, 무솔리니와 '검은 셔츠단'의 로마 입성.(이른바 '로마 진군')
- 10월 31일 - 베니토 무솔리니,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 수립.
- 11월 1일 - 케말 파샤의 술탄제 폐지로 오스만 투르크 제국 멸망.
- 11월 5일 - 코민테른 제4차 세계대회 모스크바서 개최.
- 11월 6일 - 안창남이 도쿄-오사카 간 비행에 성공하였다.
- 11월 14일
- 11월 19일 - 오스만 제국 최후의 황제 압둘 메지드 2세가 퇴위하여 제국이 해체되다.
- 11월 20일 - 1차 로잔회의
- 11월 22일 - 인력거꾼 300여명이 인력거조합을 조직, 임금인하 반대 파업을 벌였다.
- 11월 23일 - 이상재 등, 조선민립대학 기성준비회 조직
- 11월 26일 - 하워드 카터가 이집트의 왕들의 계곡에서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하다.
- 12월 4일 - 총독부 조선사 편찬위원회 설치. 조선 역사 왜곡을 하기 시작함.
- 12월 5일 - 안창남이 귀국 기념으로 여의도에서 비행시연을 펼쳤다.
- 12월 18일 - 조선호적령이 공포되었다.
- 12월 30일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수립.(1991년 12월 붕괴됨)
Remove ads
문화
- 10월 1일 - 경성시립도서관이 개관되었다.
탄생
1월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작가, 언론인 선우휘. (~1986년)
- 1월 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국회의원 유기정. (~2010년)
- 1월 9일 - 기니의 독립운동가 초대 대통령 아메드 세쿠 투레. (~1984년)
- 1월 15일
- 1월 17일
- 1월 19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미겔 무뇨스. (~1990년)
- 1월 20일 - 미국의 밴드리더, 트럼펫 연주자, 송라이터, 배우 레이 앤서니.
- 1월 22일 - 아일랜드의 정치인 아서 그리피스. (1872년~)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승태. (~2019년)
- 1월 31일 - 미국의 배우 조앤 드루. (~1996년)
2월
3월
- 3월 1일 - 이스라엘의 제17,25대 총리, 정치인 이츠하크 라빈. (~1995년)
- 3월 3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히데그쿠티 난도르. (~2002년)
- 3월 5일 - 이탈리아 시인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1975년)
- 3월 8일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건축가 김중업. (~1988년)
- 3월 10일 - 일본의 정치인 오이데 슌. (~2001년)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추봉.
- 3월 16일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장경순. (~2022년)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영록. (~2019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12월 3일 - 대한제국의 황손 이현. (~1996년)
- 12월 9일 - 미국의 배우, 희극인 레드 폭스. (~1991년)
- 12월 11일 - 인도의 영화배우 딜립 쿠마르. (~2021년)
- 12월 15일 -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야구 지도자 오시타 히로시. (~1979년)
- 12월 18일 - 캐나다의 수학자 이임학. (~2005년)
- 12월 19일 - 네덜란드의 정치인 크리스 판 베인. (~2009년)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오르간 연주자 박재훈. (~2021년)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종호. (~2010년)
- 12월 24일 - 미국의 배우 에바 가드너. (~1990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군인·정치가·기업가 한신. (~1996년)
- 12월 28일
미상
Remove ads
사망



- 1월 22일
- 일본의 정치인 도쿠가와 요시히사. (1884년~)
- 제258대 로마의 교황 교황 베네딕토 15세. (1854년~)
- 5월 11일 - 일제강점기 이왕가의 일원 이진. (1921년~)
- 5월 19일 - 대한민국 천도교의 지도자, 독립운동가 손병희. (1861년~)
- 6월 26일 - 모나코의 국왕. 알베르 1세. (1848년~)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가진. (1846년~)
- 8월 2일 - 미국의 발명가, 기업인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1847년~)
- 8월 22일 - 아일랜드의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 (1890년~)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신규식. (1880년~)
- 11월 18일 - 프랑스의 소설작가 마르셀 프루스트. (1871년~)
Remove ads
노벨상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