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부여 김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부여 김씨(扶餘 金氏)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간략 정보 나라, 관향 ...

역사

부여 김씨(扶餘 金氏)는 유적이 멸실되어 관향은 있으나, 상계는 상고할 수 없다고 하였다.[1] 다만 후손들이 선대의 거주지인 부여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일설에 시조가 김작신(金作新)으로 고려 호장 동정 김경수의 증손이라 한다.[2] 《고려사》 김구 열전에 조부 김작신(金作新)은 중(僧)이었다고 하였다.[3]

또 일설에 시조 김작신고려 때 우복야 겸 이부상서에 오르고 부령군(扶寧君)에 봉해졌으나, 간신들의 고자질로 낙향하여 부령의 호장(戶長)을 지냈다고 한다.

시조에 대해

  • 《고려사》 김구 열전 : 조부 작신(作新)은 중(僧)이었다고 한다.[4]
  • 김구 신도비명 : 조부 작신(作新)은 우복야 겸 이부상서에 오르고 부령군(扶寧君)에 봉해졌다고 한다.[5]
  • 부안 김씨 : 부안 김씨 《을사보》(1785년)는 김작신(金作新)에 대한 여러 설에 대해 어느 것이 옳은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6]

분적

Remove ads

인물

  • 김희조(金希祚) : 부총관(副摠管)
  • 김언(金彦) : 김희조의 아들, 병자호란 때 적을 섬멸하는 공을 세우다 피습으로 전사하고 병조판서에 증직
  • 김병준(金炳濬) :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 김풍익(金豊益) : 한국전쟁 전쟁영웅, 105mm야포 직접조준사격을 통한 북한군 T-34전차 파괴, 한국의 포신(鮑神)으로 불림

과거 급제자

문과

  • 김지성(金之聲, 1610 庚戌生) : 문과 인조 26년(1648) 식년시 을과

무과

  • 김시행(金時行, 1805년 乙丑生) : 헌종 2년(1836) 정시(庭試) 무과(武科) 급제, 평안도(平安道) 상토첨사(上土僉使)[7]

잡과

  • 김선(金璿, 1874 甲戌生) : 율과(律科)

사마시

  • 김정균(金正均, 1874 甲戌生) : 진사시 고종 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 김병걸(金秉杰, 1874 甲戌生) : 생원시 고종 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집성촌

  • 1930년 국세 조사에 따르면 함경도 갑산군 회린면, 운흥면 일대에 30호가 살고 있었다.
  • 함경도 지역은 초기 여진족의 발현 지역으로 송막기문에는 초기 여진 추장을 신라인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 마의태자 또는 그의 후손이 초기 여진족의 조상이라는 견해가 있다.

인구

  • 1985년 92가구 374명
  • 2000년 333가구 1,024명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