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의약품의 부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영어: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 NSAID)[1][2]는 진통 작용, 해열 작용, 항염증 작용이 있는 약이다.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Nonsteroidal_anti-inflammatory_drug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NSAIDs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및 나프록센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반의약품이므로 처방전 없이 구매가 가능하다.[4] 아세트아미노펜은 신체의 항염증 활성이 미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NSAID로 간주되지 않는다.[5][6]
Remove ads
종류
살리실산
프로피온산 유도체
아세트산 유도체
엔올산 (옥시캄) 유도체
- 피록시캄
- 멜록시캄
- 테녹시캄
- 드록시캄
- 로녹시캄
- 이소시캄 (1985년 시장에서 철수)
- 페닐부타존
안트라닐산 유도체 (페나믹산)
- 메페남산
- 메클로페남산
- 플루페남산
- 톨페남산
선택적 COX-2 억제제 (콕시브)
- 세레콕시브 (FDA 경고)
- 로페콕시브 (시장 철수)
- 발데콕시브 (시장 철수)
- 파레콕시브 (FDA 철수, EU에서 라이센스됨)
- 루미나콕시브 (오스트레일리아 의약품관리국에서 취소됨)
- 에토리콕시브 (FDA에서 승인되지 않음, EU에서 라이센스됨)
- 피로콕시브 (개와 말에서 사용)
술포나닐리드
- 니메술리드
기타
Remove ads
약리작용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은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COX)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아스피린은 COX의 생성을 차단하고, 이외의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은 COX의 활성을 억제한다.
COX에는 위 점막의 생성 및 유지를 담당하는 COX-1과 염증 관련 효소인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COX-2가 있는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등 다수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은 이 둘을 모두 억제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COX-2만을 선별적으로 억제하지만 중추신경계에 국한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항염증제로 분류되지 않는다.[9] 아직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자세한 작용 기작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