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래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일래과(一來果, 산스크리트어: sakṛd-āgāmi-phala, 팔리어: sakadāgāmi-phala, 영어: realizing once returner status, one who has fully consummated the stage of the once-returner), 사다함과(斯陀含果), 득사다함(得斯陀含),[1][2][3] 또는 사다함(斯陀含)은 불교의 성자들 중의 한 부류로서, 4향4과에 속한, 욕계 수혹 9품 중 제6품을 끊은 성자를 말한다.[4][5][6][7][8][9][10]
일래(一來, 산스크리트어: sakṛd-āgāmin, 팔리어: sakadāgāmin, 영어: once-returner), 일왕일래(一往一來), 일왕래(一往來) 또는 사갈이타가미(沙羯利陀伽彌)라고도 한다.[11][12] 또는, 박탐진치(薄貪瞋癡) 즉 탐진치가 희박해진 자라고도 한다.[4][5]
욕계 수혹 9품은 욕계의 수혹, 즉,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욕계에 속한 수소단의 탐 · 진 · 만 · 무명을 그 강약 또는 추세(麁細, 거침과 미세함)에 따라, 상품 · 중품 · 하품의 3품으로 나누고 다시 그 각각을 상중하의 3품으로 나누어, 총 9가지로 나눈 것으로 ① 상상품(上上品) ② 상중품(上中品) ③ 상하품(上下品) ④ 중상품(中上品) ⑤ 중중품(中中品) ⑥ 중하품(中下品) ⑦ 하상품(下上品) ⑧ 하중품(下中品) ⑨ 하하품(下下品)을 말한다.[13][14][15][16][17]
달리 말해, 예류향의 성자, 즉, 욕계 9품의 수혹 중 제1품 내지 제5품의 수혹을 단멸한 성자가 더욱 정진하여 제6품의 수혹을 단멸하였을 때 그 성자를 칭하는 이름이 바뀌어 일래향이라 부르지 않고 일래과라고 부르게 된다.[4][5][18]
일래과(一來果)는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Remove ads
뜻
일래 · 일왕일래 · 일왕래
인간도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게 되면, 천상도 즉 6욕천에 태어나서 1생을 산 후 다시 인간도에 태어나서 열반에 들게 된다. 그리고 천상도 즉 6욕천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게 되면, 인간도에 태어나서 1생을 산 후 다시 천상도즉 6욕천에 태어나서 열반에 들게 된다. 즉, 1번의 왕래를 거친 후에 다시 태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래'(一來, 한 번 오는 자)라고 한다.[4][5][6]
또한, 보다 엄밀히 말해, 일래과를 증득한 후 천상도와 인간도, 혹은, 인간도와 천상도를 최대 1번 왕래하므로 '일왕일래'(一往一來,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자) 또는 '일왕래'(一往來)라고 한다.[11]
쌍의 생(인간도 · 천상도의 2생, 또는 천상도 · 인간도의 2생)을 1생으로 헤아리지 않고 각각의 생을 1생으로 하여 열반의 들기까지의 생의 수를 헤아려보면, 일래과를 증득한 생과 열반에 드는 생을 포함하여 최대 총 3생을 통해 열반에 들게 된다. 다음 표에서 '단멸에 소요되는 생'에서의 1생은 쌍의 1생 즉 2생을 뜻한다.
박탐진치
상품 · 중품 · 하품의 3품의 욕계 수혹 중 오직 하품만이 남아 있기 때문에, 달리 말해, 3불선근인 탐 · 진 · 치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욕계 수혹 9품 중 ⑦ 하상품(下上品) ⑧ 하중품(下中品) ⑨ 하하품(下下品)의 탐 · 진 · 치만 남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일래과를 박탐진치(薄貪瞋癡) 즉 탐 · 진 · 치가 희박해진 자라고도 한다.[4][5]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