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라한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라한과
Remove ads

아라한과(阿羅漢果, 산스크리트어: arhat-phala, arhattva-phala, arhat-phalin, arhattva, 영어: state of full attainment of arhatship[1]), 무학과(無學果), 제4과(第四果), 아라한(向阿羅), 무학(無學) 또는 아라한과보특가라(阿羅漢果補特伽羅)는 불교의 성자들 중의 한 부류로서, 4향4과에 속한, 상계(색계와 무색계)의 유정지(무색계비상비비상처)의 수혹 9품 중 제9품을 끊은 성자를 말한다.[2] 즉, 유정지의 수혹 제9품을 끊음으로서 모든 번뇌를 끊게 된 상태에 이르고 그 과보로 '윤회가 끝났음을 아는 지혜'인 진지(盡智)를 증득한 성자이다.[3][4][5][6]

여기서, 수혹 9품3계9지로 세분한 3계9지(三界九地)에서 각 지(地)의 수혹, 즉,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각 지에 속한 수소단 ·  · 무명 등을 그 강약 또는 추세(麁細, 거침과 미세함)에 따라, 상품 · 중품 · 하품의 3품으로 나누고 다시 그 각각을 상중하의 3품으로 나누어, 총 9가지로 나눈 것으로 ① 상상품(上上品) ② 상중품(上中品) ③ 상하품(上下品) ④ 중상품(中上品) ⑤ 중중품(中中品) ⑥ 중하품(中下品) ⑦ 하상품(下上品) ⑧ 하중품(下中品) ⑨ 하하품(下下品)을 말한다. 제9품은 ⑨ 하하품(下下品)을 말한다.[7][8][9][10][11]

유정지무색계의 최고 천인 비상비비상처수혹 제9품을 특히 유정혹(有頂惑)이라고 하며 유정혹을 끊는 선정, 즉, 유정혹을 끊는 제9품의 무간도(無間道)를 금강유정(金剛喩定)이라고 한다. '금강유정'은 금강(다이아몬드)와 유사한 선정이라는 뜻으로, 일체의 번뇌를 파괴하는 힘과 작용을 가진 번뇌를 끊는 무간도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12][13]

자세한 정보 수혹, 욕계 ...
자세한 정보 4향4과, 예류향 ...
자세한 정보 성문4과, 예류과 (수다원) ...

달리 말해, 아라한과는 5상분결을 완전히 단멸한 성자이다. 또 달리 말해, 아라한과는 부처의 지위 즉 불지(佛地)에 도달한 것으로 성불(成佛)을 증득한 것이다.[14][15]

아라한과(阿羅漢果)는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