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새알심

찹쌀가루나 수수가루로 동그랗게 만든 덩어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새알심
Remove ads

새알심은 찹쌀가루나 수수가루로 동그랗게 만든 새알만한 덩어리이다. 사투리로 '새알, 옹심이, 옹시미라고도 부른다.[1] 팥죽,[2] 호박죽,[3] 호박범벅,[4] 칼국수[5] 등에 넣어 먹기도 한다.

간략 정보 다른 이름, 관련 나라별 요리 ...

감자옹심이는 간 감자녹말을 이용하여 만든 새알심과 비슷한 강원도의 향토 음식이다. 감자옹심이도 처음에는 새알심처럼 작고 동글동글하게 만들었으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일손도 부족해 수제비처럼 얇고 크게 떼어 넣다 보니 현재는 감자 수제비 정도로 변화했다.[6]

풍속

팥죽에 넣는 새알심의 경우, '동지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동짓날을 작은설이라 하여 설날떡국을 먹듯이 동짓날에는 새알심 넣은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고 생각하여 먹는 사람의 나이 수만큼 새알심을 넣어 팥죽을 쑤어 먹었다.[7]

팥죽으로 점을 치는 팥죽점에서는 팥죽 속의 옹심이(새알심)으로 점을 치는 옹심이점(새알심점)이 있었다. 옹심이점은 임신한 여성이 있는 집에서 옹심이를 굽거나 끓일 때 상태를 보고 태아가 남자일지 여자일지를 점쳤다. 임신한 사람의 팥죽에 들어있는 옹심이가 동그랗게 생겼으면 딸, 쏙쏙 빠져나오면 아들이라고 믿었다.[8]

갤러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