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하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하군(西河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국 시대 위나라가 지금의 웨이난시·옌안시 일대에 설치했으나 진나라에서 폐지했고, 전한에서 새로 뤼량 시·옌안 시 일대에 설치한 군이 지속되었다.

전한

무제가 원삭 4년(기원전 125년)에 설치했다. 대공왕의 아홉 왕자후 중 일곱 제후국이 지리지에서 서하군 소속으로 나오므로, 일단 이 왕자후국이 추은령에 따라 대나라에서 갈려나와 상군에 속했다가 지나치게 비대해진 상군을 분할해서 설치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서하군은 구 태원군과 상군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신설한 셈이다. 남부도위가 새외의 옹룡(翁龍)·비시(埤是)를 다스렸다.

무제가 주자사를 두면서 삭방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36,390호, 698,836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진다. 치소는 평정현과 부창현 두 설이 있다.

자세한 정보 이름, 한자 ...
Remove ads

군의 이름을 귀신(歸新)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한, 신 ...

후한

낙양으로부터 북으로 1200리거리에 있으며, 병주자사부로 이관되었다. 치소는 본래 평정이었다가 영화 4년 (139년) 강족(羌)의 침공으로 이석으로 옮겨졌다.

선비족오환등 북방민족의 대두, 후한대의 행정부담문제로 13개현으로 대폭축소되었다.

13개성에 5698호 20838명을 관할했다.[3]

자세한 정보 현명, 대락적 위치 ...

서진

과거 조위대까지 병주자사의 통제하에 있던 남흉노는 서진대에 서진전체의 행정력이 약화되면서 병주에서 사실상 독립하게 됐고, 팔왕의 난대 흉노를 용병으로 거느리던 성도왕 사마영이 몰락한 이후 병주로 도망친 유연이 서하군의 속현이던 이석현에서 거병을 하여 304년 을 건국하면서 이민족의 영역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4현 6,300호를 거느렸다.[5]

자세한 정보 현명(한자), 현명(한글) ...

북조

북위대에는 분주에 속했는데, 526년(효창 2년) 북방민족을 토벌한 이후 평양군의 경계에 살게하면서 군이 설치되었다. 3현 1,761호 4,997명을 거느렸다.[6]

자세한 정보 현명(한자), 현명(한글) ...

북제시기 남삭주를 설치했고, 북주에선 개주에 속하게 했다.

개황초기 서하군을 폐지하였다가 대업초에 군을 부활시켰다. 6현 67,351호를 거느렸다.[8]

자세한 정보 현명(한자), 현명(한글) ...

태수

전한

  • 상혜(기원전 119년 당시)
  • 두연년(기원전 64년 ~ 기원전 55년)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