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연 (전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 고조 광문황제 유연(漢 高祖 光文皇帝 劉淵, 252년? ~ 310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한(漢, 훗날의 전조)의 초대 황제(재위 : 304년 ~ 310년)로, 자는 원해(元海)이며, 병주 신흥군(新興郡) 또는 서하군 습성현(隰城縣) 사람이다. 남흉노의 선우 어부라의 손자로, 좌현왕(또는 우현왕) 유표와 그의 본처 호연부인의 아들(적자)이다. 개국공신 대사공 호연익의 사위이기도 하였다.

생애
조위 가평(嘉平, 249년 ~ 254년) 연간에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비범하였고 최유(崔遊)에게 가르침을 받아 한족의 문화에 정통했으며 문무를 겸비했다. 삼국시대 말기에 인질로써 조위의 수도 낙양에 들어와 명사들과 교류하였다. 서진 초에 아버지 유표가 죽자, 뒤를 이어 흉노의 좌부수(左部帥)가 되었다. 태강(太康, 280년 ~ 289년) 말엽에 서진은 흉노 5부에 도위를 설치하였는데, 유연은 북부도위가 되었다. 유연은 북부도위로서 정치를 잘해서 5부 전체로부터 인정을 받았으며 서진에서 양(楊)씨가 집권하던 시기엔 5부 전체를 통괄하는 5부대도독이 되었다.
원강(元康, 291년 ~ 299년) 말엽에 서진에서 팔왕의 난이 격화되자 유연은 업에 세력을 두고 있던 성도왕 사마영에 의해 용병으로 고용되어 활동하였다.
304년 10월에 유연의 종조부인 좌현왕 유선(劉宣)은 여러 흉노 유력자들과 은밀하게 모의하여 유연을 대선우로 추대하였다. 이 소식을 몰래 전해들은 유연은 사마영을 속이고 업을 빠져나와 유선 등으로부터 대선우의 칭호를 받고, 이석에서 거병하였다. 뒤이어 좌국성(左國城)으로 거점을 옮겨 한왕(漢王)으로 즉위했고 건원하여 연호를 원희라고 하였다.
308년 10월에 황제로 즉위했고 연호를 영봉으로 개원하였다. 다음해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고 하서로 개원하였다. 이후 서진의 수도 낙양을 공략하려 했으나, 뜻을 절반밖에 이루지 못한 채 병사했다.
《자치통감》에 의하면, 유연이 죽을 때 조카인 태재(太宰) 유환락(劉歡樂), 태부(太傅) 유양(劉洋), 태보 유연년(劉延年) 등을 불러들여 대사마·대선우·녹상서사(錄尙書事)였던 자신의 셋째 아들인 초왕 유총과 힘을 합쳐 황태자 유화를 잘 보필하라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고 한다. 향년 60세.
Remove ads
일화
《후삼국지》에서의 유연
삼국지의 다음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후삼국지》에서 유연은 유선의 일곱째 아들 유거가 개명한 인물로 나오고 있지만, 정사의 기록은 아니다. 4세기 흉노·강족·저족이 나라를 세우면서 한족식 성씨를 사용한 것이다.
한편 역사적 사실로써, 유연은 (촉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유선에게 효회황제(孝懷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하지만 이것을 가지고 혈연 관계를 단정짓는 우를 범하지는 말 것.
가계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