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순흥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순흥군(順興郡, 1895년 ~ 1914년)은 조선말기 및 일제강점기의 안동부(1895년 ~ 1896년) 및 경상북도(1896년 ~ )의 하위 행정구역이다.
역사
- 고구려 급벌산군(及伐山郡)
- 신라 경덕왕 급산군(岌山郡)으로 개칭하여 삭주(朔州)의 영현으로 하였다.
- 고려 940년(태조 23) 흥주(興州)로 개칭하였다.
- 1018년(현종 9) 안동부(安東府)에 속하였다가 순안현(順安縣)으로 이속하였다.
- 1172년(명종 2) 처음으로 감무를 두었다.
- 충렬왕 흥녕현(興寧縣)으로 승격하고 현령을 두었다.
- 충숙왕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승격하였다.
- 충목왕 순흥부(順興府)로 승격하였다.
- 조선 1413년(태종 13) 순흥도호부로 승격하였다.
- 1457년(세조 3) 단종 복위 운동으로 도호부를 혁파하여 그 영역을 인근의 군현으로 분산시켰다.
- 1683년(숙종 9) 순흥도호부로 복설되었다. 1829년(순조 29) 일시 강등되어 현감을 둔 일이 있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 5월 1일) 안동부 순흥군이 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순흥군이 되었다.[2]
- 1913년 1월 1일 영천군(榮川郡)에서 북면을 편입하고 소속된 동리를 인접한 면에 편입시켜 폐지하였다.[3][4]
Remove ads
1914년 이후

- 1914년 4월 1일 순흥군을 폐지하여, 영주군, 봉화군으로 편입되었다.[5] 폐지 당시 내죽면(內竹面), 대평면(大平面), 동원면(東元面), 단산면(丹山面), 봉양면(鳳陽面), 도강면(道講面), 용암면(龍巖面), 수식면(水息面), 화천면(花川面), 수민단면(壽民丹面)의 10개 면을 관할했다.[6]
- 순흥면은 내죽면, 대평면을 통합하여 순흥군에서 이름을 취하여 순흥면이라 하였다.
- 단산면은 1914년 동원면을 흡수하여 기존 단산면에서 이름을 유지하였다.
- 부석면은 봉양면, 도강면, 용암면을 통합하여 부석사에서 유래를 취하여 부석면이라 하였다.
- 물야면은 1914년 수식면을 흡수하여 기존 물야면에서 이름을 유지하였다.
- 내성면은 1914년 화천면, 수민단면을 통합하여 기존 내성면에서 이름을 유지하였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