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톨츠-체사로 정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해석학에서 슈톨츠-체사로 정리(영어: Stolz–Cesàro theorem)는 두 수열의 비가 수렴할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체사로 평균의 일반화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로피탈의 정리의 이산적인 형태로 볼 수 있는데, 도함수의 개념 대신 계차수열의 개념을 사용한다.
정의
요약
관점
두 실수열 , 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분모 수열이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를 만족시킨다.
- (계차수열의 비의 넓은 의미 수렴)
그렇다면, 슈톨츠-체사로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요약
관점
가장 기본적인, 이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고, 비의 극한이 실수에 수렴하는 경우를 증명하자. 우선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 순증가수열임을 같이 고려하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 존재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를 에 를 대입하여 합을 구하면
이다. 또한 의 모든 항이 0보다 크다 가정할 수 있으므로,
이다. 여기서 이므로, 이 존재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관련 명제
요약
관점
부분적 역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 수열
을 정의하였을 때, 은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고, 이지만, 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부분적 역인 다음 명제는 참이다. 두 실수열 , 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은 유계 수열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한 가지 변형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한 가지 변형은 다음과 같다. 두 실수열 , 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은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일반화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일반화된 형식은 다음과 같다.[2] 실수열 과,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 실수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예
요약
관점
슈톨츠-체사로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극한을 구해보자.
분모는 정리의 전제를 만족시킨다. 즉, 는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증가수열이다. 이에 따라, 이 극한은 계차수열의 비의 극한과 같다.
평균의 극한
슈톨츠-체사로 정리를 사용하여 일부 평균의 극한에 대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즉, 인 실수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이며 이다.)
기타
슈톨츠-체사로 정리는 로피탈의 정리의 증명에 사용될 수 있다.
역사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오토 슈톨츠(독일어: Otto Stolz)[3]와 이탈리아의 수학자 에르네스토 체사로(이탈리아어: Ernesto Cesàro)[4]가 제시하였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