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 群島紛爭, 영어: Spratly Islands dispute)은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에 대한 논쟁이다. 주로,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브루나이 등 아시아 6개 국가가 서로 다투는 영토 분쟁을 가리킨다.

Thumb
오픈스트리트맵 정보
지도: 이용 약관
140km
87miles
루이사 암초
56
루이사 암초
루이사 암초
마리벨레스 암초
55
마리벨레스 암초
마리벨레스 암초
인베스게이터 사주
54
인베스게이터 사주
인베스게이터 사주
에리카 암초
53
에리카 암초
에리카 암초
댈러스 암초
52
댈러스 암초
댈러스 암초
아다시에르 암초
51
아다시에르 암초
아다시에르 암초
스왈로 암초
50
스왈로 암초
스왈로 암초
킹스턴 사주
49
킹스턴 사주
킹스턴 사주
오를레아나 사주
48
오를레아나 사주
오를레아나 사주
알렉산드라 사주
47
알렉산드라 사주
알렉산드라 사주
그레인저 사주
46
그레인저 사주
그레인저 사주
프린스컨서트 사주
45
프린스컨서트 사주
프린스컨서트 사주
밴가드 사주
44
밴가드 사주
밴가드 사주
프린스오브웨일스 사주
43
프린스오브웨일스 사주
프린스오브웨일스 사주
봄베이 캐슬
42
봄베이 캐슬
봄베이 캐슬
랜즈다운 암초
41
랜즈다운 암초
랜즈다운 암초
콜린스 암초
40
콜린스 암초
콜린스 암초
사우스 암초
39
사우스 암초
사우스 암초
페틀리 암초
38
페틀리 암초
페틀리 암초
콘월리스 사우스 암초
37
콘월리스 사우스 암초
콘월리스 사우스 암초
앨리슨 암초
36
앨리슨 암초
앨리슨 암초
이스트런던 암초
35
이스트런던 암초
이스트런던 암초
테넌트 암초
34
테넌트 암초
테넌트 암초
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
33
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
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
라드 암초
32
라드 암초
라드 암초
웨스트런던 암초
31
웨스트런던 암초
웨스트런던 암초
바크캐나다 암초
30
바크캐나다 암초
바크캐나다 암초
피어슨 암초
29
피어슨 암초
피어슨 암초
센트럴런던 암초
28
센트럴런던 암초
센트럴런던 암초
그라이어슨 암초
27
그라이어슨 암초
그라이어슨 암초
암보냐 키
26
암보냐 키
암보냐 키
스프래틀리 군도
25
스프래틀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신코웨섬
24
신코웨섬
신코웨섬
나미트섬
23
나미트섬
나미트섬
샌드 키
22
샌드 키
샌드 키
사우스웨스트 키
21
사우스웨스트 키
사우스웨스트 키
세컨드토마스 사주
20
세컨드토마스 사주
세컨드토마스 사주
얼빙 암초
19
얼빙 암초
얼빙 암초
코모도어 암초
18
코모도어 암초
코모도어 암초
웨스트요크섬
17
웨스트요크섬
웨스트요크섬
티투섬
16
티투섬
티투섬
노스이스트 키
15
노스이스트 키
노스이스트 키
난샨섬
14
난샨섬
난샨섬
로아이타섬
13
로아이타섬
로아이타섬
로아이타 키
12
로아이타 키
로아이타 키
란끼암 키
11
란끼암 키
란끼암 키
플랫섬
10
플랫섬
플랫섬
휴스 암초
9
휴스 암초
휴스 암초
존슨사우스 암초
8
존슨사우스 암초
존슨사우스 암초
쾨터런 암초
6
수비 암초
5
수비 암초
수비 암초
미스치프 암초
4
미스치프 암초
미스치프 암초
피어리크로스 암초
3
피어리크로스 암초
피어리크로스 암초
중저우 암초
2
중저우 암초
중저우 암초
이투아바섬
1
이투아바섬
이투아바섬
스프래틀리 군도의 주요 섬의 위치. 동쪽에 위치한 데인저러스 그라운드 지역에는 여러 암초가 산재해 있다.
  • 범례:
  •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3: 피어리크로스 암초 4: 미스치프 암초 5: 수비 암초 6: 쿼테론 암초 7: 게이븐 암초 8: 존슨사우스 암초 9: 휴스 암초
  •   필리핀의 기 필리핀: 10: 플랫섬 11: 란키암 케이 12: 로아이타 케이 13: 로아이타섬 14: 란샨섬 15: 노스이스트 케이 16: 티투섬 17: 웨스트요크섬 18: 코모도어 19: 어빙 20: 세컨드 토마스 숄
  •   베트남의 기 베트남: 21: 사우스웨스트 케이 22: 샌드 케이 23: 남옛섬 24: 신카우섬 25: 스프래틀리섬 26: 암보이나 케이 27: 그리어슨 암초 28: 센트럴 런던 암초 29: 피어슨 암초 30: 바크캐나다 암초 31: 웨스트런던 암초 32: 래드 암초 33: 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 34: 피젼 암초 35: 이스트런던 암초 36: 앨리슨 암초 37: 콘월리스사우스 암초 38: 페틀리 암초 39: 사우스 암초 40: 콜린스 암초 41: 랜즈다운 암초 42: 봄베이캐슬 암초 43: 프린스오브웨일스 천퇴 44: 뱅가드 천퇴 45: 프린스콘서트 천퇴 46: 그레인저 천퇴 47: 알렉산드라 천퇴 48: 올리아나 사주 49: 킹스턴 사주
  •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50: 스왈로 암초 51: 아데이지어 암초 52: 댈러스 암초 53: 에리카 암초 54: 인베스티게이터 사주 55: 마리벨레스 암초
Remove ads

스프래틀리 군도의 역사

스프래틀리 군도는 1930년대에 인도차이나 반도를 식민지화하고 있던 프랑스가 점령하였으며,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이 점거하여 해군 기지의 역할을 했다.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 패망한 이후 중화민국이 1949년 12월에 태평호(太平號)와 중업호(中業號) 등 두척의 구축함을 끌고 이 군도 중 가장 큰 섬인 이투아바섬(太平島 →타이핑섬)을 점령하고, 여러 섬에 경계석을 설치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이 각각 섬들을 점령하고 브루나이배타적 경제 수역 내에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등 주변 각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수비대를 주둔시키고 있다.

2016년 중재 결정

필리핀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제소한 사건에 대해 2016년 7월 12일, 상설중재재판소중화민국(타이완)이 지배중인 이투아바섬을 포함한 9개 섬이 암초간조노출지라고 판결했다. 가장 큰 섬도 암초이므로, 스프래틀리 군도의 모든 섬과 스카버러 암초는 영해와 EEZ의 기준이 되지 못함을 뜻한다. 또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공섬 건설은 불법이라고 규정했다.[1] 중국이 역사적으로 남중국해 수역에서 조업해온 사실은 인정했으나, 다른나라의 어민들도 마찬가지로 해당 수역에서 역사적으로 조업을 해왔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구단선을 비롯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이 무력화되었다.[2]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