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실현된 종말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실현된 종말론(實現- 終末論, 영어: realized eschatology)은 C. H. 다드 (1884-1973)에 의해 널리 알려진 기독교 종말이론이다. 그는 신약 성경의 종말론적 본문들은 미래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수님의 사역과 그의 마지막 유산에 관련된다고 한다. [1][2] 종말론은 따라서 세계의 마지막이 아니라 예수에 의해서 세워진 새로운 탄생이며 제자들에 의해 지속되는 새로운 탄생, 즉 초월적 역사가 아닌 역사적 현상이라고 한다. 알베르트 슈바이처가 주장한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을 강조한 철저한 종말론의 개념과 대조적인 것이다. 실현된 종말론을 주장한 기타 인물들은 J.A.T. Robinson, Joachim Jeremias, Ethelbert Stauffer (1902–1979)등이다.

Remove ads

주요 특징

  •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성

실현된 종말론은 예수님의 사역, 십자가,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도래(현재화)했으며, 신약의 종말론적 본문들은 대부분 미래 예언이 아니라 현실적 변화를 지칭한다고 본다.

  • 단순한 미래 예고가 아님

예수님의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막 1:15)라는 말씀을 현재적 선언으로 해석하여, 종말의 새로운 시대가 이미 시작되었음을 강조한다.

  • 윤리적·실천적 함의

종말이 이미 시작되었으므로 신자들은 현재 삶에서 하나님의 통치에 응답하며 윤리적 책임과 변화된 삶에 헌신해야 함이 강조한다.

  • 요한복음의 강조

요한복음에서는 영생이 미래의 소망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믿음 안에 얻는 현실임을 강조합니다(요 5:24; 17:3).

  • 실존적 종말론과의 연관

실존론적 종말론에서는 시간보다는 인간의 매 순간의 결정, 내적 변화와 존재론적 전환에 종말의 의미를 둔다

Remove ads

신학적 의미

  • 종말 사건의 현재화

실현된 종말론은 (철저한 미래론과 달리) 구원의 사건, 하나님의 심판과 새 창조가 역사 내에 이미 시작되었고, 신자들은 이 새로운 시대에 참여하고 있다는 의식을 강화한다.

  • 미래 종말과의 균형

많은 신학자들은 실현된 종말론을 '이미/아직'의 긴장(Already/Not Yet) 속에서 이해합니다. 예수님의 사역으로 하나님 나라가 이미 시작되었지만, 최종 완성은 미래에 온전히 실현된다

주요성구

  • 마가복음 1:15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 누가복음 17:21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 요한복음 5:24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 고린도후서 5:17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비판

신학자 존 월보드(John Walvoord)는 이러한 견해가 심판의 개념을 거부하면서 하나님의 사랑과 선하심을 강조하는 것을 선호하는 자유주의 기독교인들에게 매력적이라고 주장한다. 대신, 신학 교수인 데이비드 휠러(David Wheeler)는 종말론은 외부의 미지의 힘이 파괴를 가져올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되는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