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철저한 종말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철저한 종말론(徹底 終末論, 영어: consistent eschatology)은 알버트 슈바이처가 주장한 개념이다. 그는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역사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철저한 종말론의 개념을 사용했다. 요하네스 바이스(J. Weiß)에 의해서도 주장된 철저한 종말론은 예수의 선포, 또한 그의 행위 및 사역은 임박한 재림을 종말론적으로 기대하는 것에 의해 지배되었다고 본다. 또한 철저한 종말론은 초기교회의 기독교 신학과 교리의 역사를 연구하는 분야와 관련되어있다.[1] 하나님의 나라가 미래에 있지 않고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완성되었다고 보는 실현된 종말론과 대조적인 개념이다. 철저한 종말론과 실현된 종말론의 종합을 통하여 시작된 종말론으로 발전되었다.

비판적 관점 및 대조되는 이론

비평가(조지 엘돈 래드, George Eldon Ladd)에 의해 이 이론은 다음과 같이 묘사되기도 했다.

예수를 이루어지지 않은, 그리고 결코 올 수 없는 종말론적 왕국을 선포한 오해를 한 유대인 묵시론자로 그렸다. 예수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통치나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신성한 목적에 대한 메시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는 잘못하여 하나님께서 곧 역사를 중단시키고, 그 안에서 자신, 즉 예수가 영광스러운 인자(Son of Man)의 지위로 격상될 종말론적 왕국을 세우실 것이라고 믿었다.

이 미래적 종말론은, 하나님 나라를 미래가 아닌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완성된 것으로 보는 "실현된 종말론(Realized Eschatology)"과 대조되었다. (실현된 종말론은 예수의 추종자들이 기대했던 묵시적인 대변동과 정복하는 하나님 나라의 부족함을 설명한다.) 이후 철저한 종말론은 슈바이처의 일관된 종말론과 C. H. 다드(C. H. Dodd)의 실현된 종말론을 종합하기 시작한 "시작된 종말론(Inaugurated Eschatology)"으로 발전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