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경우, 주어진 체 위의 모든 순환 확대 및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 쿠머 이론(Kummer理論, 영어: Kummer theory)은 1의 거듭제곱근이 충분히 존재하는 체 위의 아벨 확대들을 분류한다. 이에 따르면, 이러한 체 위의 모든 아벨 확대는 거듭제곱근들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 쿠머 이론은 확대의 차수가 체의 표수와 겹치는 경우 사용될 수 없다. 이 경우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영어: Artin–Schreier theory)은 차수가 표수와 같은 경우의 순환 확대를 분류하며, 이를 일반화한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영어: Artin–Schreier–Wit theory)은 차수가 표수의 거듭제곱인 순환 확대를 분류한다. 이를 통해 차수가 표수의 거듭제곱인 모든 유한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모든 아벨 확대는 비트 벡터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특정 다항식의 근들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 만약 1의 거듭제곱근이 충분히 존재하지 않지만, 체가 대역체 또는 국소체인 경우, 유체론을 사용하여 모든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생성 아벨 군의 구조론에 따라, 모든 유한 아벨 군은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순환군들의 직접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한 아벨 확대를 분류하려면 소수 거듭제곱 크기의 순환 확대들을 분류하는 것으로 족하다.
쿠머 이론
쿠머 이론에 따르면, 1의 원시  제곱근(즉,
제곱근(즉,  이 모두 서로 다른,
이 모두 서로 다른,  인 원소
인 원소  )을 갖는 체
)을 갖는 체  (
 ( ) 위의 확대
) 위의 확대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Theorem 1.1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Theorem 1.1
 차 순환 확대 차 순환 확대 이다. 이다.
![{\displaystyle L/K\cong K({\sqrt[{n}]{a}})/K}](//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80f6aab0a70d0ef00a2bd78c8ffd7586658999d) 가 되는 가 되는 가 존재한다. 가 존재한다.
-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의 텐서곱 ![{\displaystyle L\cong K\otimes _{K[x,x^{-1}]}K[x,x^{-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b8799e5f92432494997732f9499519519549c9d) 이 성립하는 원소 이 성립하는 원소 가 존재한다. 가 존재한다.![{\displaystyle {\begin{matrix}L&\leftarrow &K[x,x^{-1}]\\\uparrow &&\uparrow &\scriptstyle x\mapsto x^{n}\\K&{\underset {x\mapsto a}{\leftarrow }}&X\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4431231ff66f7f666279f68df032827b74696b1) 
 
- 다음 가환 그림이 올곱이 되게 하는  -스킴 사상 -스킴 사상 이 존재한다. 이 존재한다. 
 
여기서
![{\displaystyle \mathbb {G} _{\operatorname {m} }(K)=\operatorname {Spec} K[x,x^{-1}]=\operatorname {Spec} K[x,y]/(xy-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bed4be30e0cc774e5732850f096234a740c98d2) 은 은 위의 곱셈 군 스킴이다. 위의 곱셈 군 스킴이다.
이에 따라,  위의
 위의  차 순환 확대는
차 순환 확대는  -스킴 사상
-스킴 사상  에 의하여 주어진다.
에 의하여 주어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 가역원인 체
이 가역원인 체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군 스킴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하며, 이를 쿠머 완전열(영어: Kummer exact sequence)이라고 한다.
-군 스킴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하며, 이를 쿠머 완전열(영어: Kummer exact sequence)이라고 한다.
 
여기서
![{\displaystyle \mu _{n}(K)=\operatorname {Spec} K[x]/(x^{n}-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d432ab5891237e7019fc8c32c7fc17dc28f280a) 는 는 속의 1의 속의 1의 제곱근들로 구성된 군 스킴이다. 제곱근들로 구성된 군 스킴이다.
 는 는 의 가역원군에 해당하는 군 스킴이다. 의 가역원군에 해당하는 군 스킴이다.
 는 는 제곱에 해당하는 군 스킴 사상이다. 제곱에 해당하는 군 스킴 사상이다.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은  차 순환 확대에 적용되는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을
차 순환 확대에 적용되는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을  차에 대하여 일반화한 것이다.
차에 대하여 일반화한 것이다.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에 따르면, 표수  의 체
의 체  의 확대
의 확대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2]:§7[1]:Theorem 1.2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2]:§7[1]:Theorem 1.2
- 확대  가 가 차 순환 확대이다. 차 순환 확대이다.
 인 비트 벡터 인 비트 벡터 가 존재한다. 여기서 가 존재한다. 여기서 는 는 이며, 여기서 이며, 여기서 는 비트 벡터의 뺄셈이다 (성분별 뺄셈과 다르다). 는 비트 벡터의 뺄셈이다 (성분별 뺄셈과 다르다). 는 비트 벡터의 연산으로 정의되는 는 비트 벡터의 연산으로 정의되는 개의 다항식 개의 다항식![{\displaystyle (f({\vec {x}})-{\vec {a}})_{p^{i}}\in K[x]\qquad (i\in \{0,1,\dots ,n-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634174bac8072e9a42de612ee0e7aec2c576f19) 들의 분해체를 뜻한다. 들의 분해체를 뜻한다.
-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의 텐서곱 ![{\displaystyle L\cong K\otimes _{K[{\vec {x}}]}K[{\vec {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1ae79541287c5e78ae1190a78e9636cc6244f23) 이 성립하는 원소 이 성립하는 원소 가 존재한다. (여기서 가 존재한다. (여기서 는 비트 벡터의 성분으로 간주한 형식적 변수들이며, 는 비트 벡터의 성분으로 간주한 형식적 변수들이며, 에서 에서 는 비트 벡터로서의 뺄셈이며, 는 비트 벡터로서의 뺄셈이며,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이다.)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이다.)![{\displaystyle {\begin{matrix}L&\leftarrow &K[{\vec {x}}]\\\uparrow &&\uparrow &\scriptstyle {\vec {x}}\mapsto {\vec {x}}^{(p)}-{\vec {x}}\\K&{\underset {{\vec {x}}\mapsto {\vec {a}}}{\leftarrow }}&K[{\vec {x}}]\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9589a642365cbf5d73ec569dfa6d92dd8f1c350) 
 
- 다음 가환 그림이 올곱이 되게 하는  -스킴 사상 -스킴 사상 이 존재한다. 이 존재한다. 
 
여기서
 는 길이 는 길이 의 의 진 비트 벡터의 군이다. 스킴으로서 이는 진 비트 벡터의 군이다. 스킴으로서 이는 차원 아핀 공간 차원 아핀 공간![{\displaystyle \mathbb {A} _{K}^{n}=\operatorname {Spec} K[x_{0},\dots ,x_{n-1}]=\operatorname {Spec} [x_{0},\dots ,x_{n-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34311ed1667fd6c59be9c9fad791361e235c127) 이며, 그 위의 군 스킴의 구조는 이며, 그 위의 군 스킴의 구조는 위의 비트 벡터 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위의 비트 벡터 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일 경우 일 경우 가 된다. 가 된다.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과 항등 사상의 차이다. 이는 다항식환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과 항등 사상의 차이다. 이는 다항식환![{\displaystyle K[{\vec {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7f21e4174cb0f065dc146acd6ce1ca8d098ae0d) 의 자기 사상 의 자기 사상![{\displaystyle \operatorname {eval} _{{\vec {x}}\mapsto {\vec {x}}^{(p)}-{\vec {x}}}\colon K[x]\to K[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ee90f314c2334b970c7185bf4ba4e850f424b31) 으로부터 정의된다. 으로부터 정의된다.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하며, 이를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완전열(영어: Artin–Schreier–Witt exact sequence)이라고 한다. 이는 아르틴-슈라이어 완전열의 일반화이다.
 
여기서
![{\displaystyle (\mathbb {Z} /p^{n})_{/K}=\operatorname {Spec} K[{\vec {x}}]/({\vec {x}}^{(p)}-{\vec {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7b5e3d925179c44c32522ce54046dedf9835504)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의 고정점들로 구성된 군 스킴이다. 의 고정점들로 구성된 군 스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