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야다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야다바(산스크리트어: यादव)는 찬드라밤사의 전설적인 왕 야두를 시조로 여기는 고대 인도아리아인 집단이다.[1][2]
Remove ads
공동체는 다양한 씨족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크리슈나를 숭배하는 아비라족, 안다카족, 브리슈니족, 사트바타족 등이었다.[3][4][5][6][7] 이들은 고대 인도 문헌에 야두(야두밤샤) 계통의 일부로 기록되어 있다.[8] 다양한 시기에 인도 아대륙의 많은 공동체와 왕가들이 고대 야다바 씨족과 전설적인 야다바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여 자신들을 야다바족이라고 표현했다.[9][10] 마하바라타에서 야다바족은 비슈누파의 추종자들로 알려져 있었는데, 그들은 직업상 고파(소치기)였지만, 동시에 쿠루크셰트라 전쟁에 참여하는 크샤트리아의 지위를 가졌다. 오늘날의 아히르도 비슈누교도들이다.[11][12]
마하바라타에서는 야다바족(아비라족에 속하지만)이 크리슈나가 죽은 뒤 드바라카와 구자라트에서 벗어나 아르주나의 지휘 아래 북쪽으로 후퇴하던 도중 공격을 받아 해체되었다고 한다.[13]
고대 인도 문헌에 언급된 야다바 씨족 중에서, 하이하야족은 야두의 장남인 사하스라지트와 체디족, 비다르바족, 사트바타족, 안다카족, 쿠쿠라족, 보자족, 브리슈니족, 수라세나족을 포함한 모든 야다바 씨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14]
야다바족이 아라발리 지역, 구자라트, 나르마다 계곡, 데칸 북부, 갠지스 동부 계곡에 걸쳐 퍼져 있었다는 것은 여러 주요 푸라나의 밤샤누차리타(계보) 부분에서 유추할 수 있다.[15] 마하바라타와 푸라나는 수많은 씨족으로 구성된 연맹체인 야두족이나 야다바족이 마투라 지역의 통치자였으며, 목가적인 소치기들이었다고 언급한다.[16] 마하바라타는 또한 마가다의 파우라바족 통치자들의 압력으로 인해 야다바족이 마투라에서 드바라카로 탈출한 것을 가리키며, 아마 쿠루족도 그 안에 포함되었을 것이다.[17]
Remove ads
기원
야두족의 시조는 인도 신화의 전설적인 왕인 야두로 전해지는데, 푸라나에 따르면 이들의 계통은 브라흐마 -> 아트리-> 찬드라 -> 부드하 -> 푸루라바 -> 아유 -> 나후샤 -> 야야티 -> 야두로 거슬러 올라가며 야두의 아버지인 야야티 왕이 야두에게 남쪽 땅을 물려주었고 이후 남쪽 땅에 정착한 야두의 후손들이 야다바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18]
출신 인물
신화상
- 야두 : 야다바의 시조
- 슈라세나 : 수라세나의 전설적인 시조
- 바수데바 아난카둔두히 : 역사상으로는 서인도에서 활동하던 영웅이었으며, 힌두교에서 발라라마와 크리슈나의 아버지로 재탄생하였다.
- 크리슈나 : 역사상으로는 수라세나 왕국의 수도인 마투라에서 활동하던 종교 운동가이자 바가바트교의 창시자로 후에 바가바트와 동일시되면서 바수데바-크리슈나라는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신화상으로는 비슈누의 8번째 다샤바타라이다.
- 발라라마 : 본래는 바가바트교의 브리슈니 영웅신들 중 하나인 삼카르사나였으나, 바가바트교가 비슈누파 힌두교에 흡수된 이후에는 동생인 크리슈나와 함께 비슈누의 8번째 다샤바타라로서 등장한다.
- 우그라세나 :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수라세나 왕국의 왕
- 크리타바르마 :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수라세나 왕국의 장군
- 사티야키 :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야다바족의 일파인 브리슈니족의 장군
- 루크미니 : 크리슈나의 아내
역사상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