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양지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양지군(陽智郡)은 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동부동과 안성시 고삼면 등을 관할하던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다.
《대동여지도》
옛 이름
과거 양량(陽良), 양산(陽山), 추계(秋溪) 등으로 불렸다.
역사
- 통일신라 ~ 고려 : 양량부곡(陽良部曲)이었고, 처인부곡(處仁部曲)과 함께 수주(수원)의 관할이었다.
- 1362년(고려 공양왕 11년) : 안성으로 관할 관청이 변경되었다.
- 1399년(정종 (조선) 원년) : 안성에서 분리돼 양지현(陽智縣)이 되고, 감무가 파견되었다.
- 1413년(조선 태종 13년) : 양지현에 현감을 두게 되고, 치소를 광주목(廣州)의 추계향으로 이전하였다. 안성 등의 인근 고을과 함께 충청도에서 경기도에 편입되었고, 광주 관내의 고안(高安)·대곡(大谷)·목악(木岳)·제촌(蹄村)의 4개 부곡을 병합하였다.[1]
- 1500년(조선 연산군 6년) : 이천과 합병하였다가 4년 후인 1504년에 복구되었다. 이때 정수산 아래에 치소를 두고 근방의 5개 마을을 통합하여 읍내면을 설치했다. 당시 관할 면은 11개였다고 한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23부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군(郡)으로 승격되어 충주부 관할의 양지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13도제로 다시 경기도에 속하였다.
- 1906년 9월 24일: 남동부의 월경지 제촌면이 죽산군에 편입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 일제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용인군에 합병되고, 면이 대거 합병되었다.[4]
- 1915년 6월 1일 : 고삼면의 19개리 중 3개리가 안성군 양성면에 편입되었고, 나머지 16개리도 통폐합되어 7개리가 되었다.[5]
- 1963년 1월 1일 : 고삼면이 용인군에서 안성군으로 이관되었다.[6]
- 1995년 : 용인군 내사면이 일제 잔재 청산 및 지역 정통성 복원의 일환으로 옛 이름인 양지면으로 개칭하였다.[7]
Remove ads
구역 대조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