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죽산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죽산군(竹山郡)은 현 안성시 죽산면을 중심으로 안성시의 동부 3개 면(일죽면·죽산면·삼죽면)과 용인시 처인구의 동남부 2개 면(원삼면·백암면)을 관할하던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다.
《대동여지도》
역사
- 백제 : 개차산군(皆次山郡)으로 불렸다.
- 5세기 말 :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 757년(경덕왕 16년) : 전국의 행정체제 및 행정단위의 명칭을 개혁하면서 개산군(介山郡)으로 개명하고, 음죽현을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 891년(진성여왕 5년) : 지방 호족 기훤(箕萱)의 영지가 되었다. 궁예가 잠시 그 휘하에 있다가 북원경의 양길에게 투항했다.
- 899년(효공왕 3년) : 후고구려 왕이 된 궁예가 비뇌성(非惱城: 안성 죽주산성) 전투에서 양길의 군대를 격파하고 한강 수로를 장악했다.
- 900년 : 비뇌성을 발판으로 현재의 경기도 남부와 충청북도 일대가 후고구려의 영역이 되었다.
- 926년 : 고려가 개산군을 죽주(竹州)로 승격시켰다.
- 933년 : 단련사(團練使)가 파견되었다.
- 고려 목종 : 읍이 일시 폐지되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 광주목(廣州)의 속현이 되었다.
- 고려 명종 : 읍이 복구되어 감무를 두었다.
- 1413년(조선 태종 13년) : 죽산현(竹山縣)이 되었다. 당시 죽산현은 충청도에 속했다.
- 1434년(조선 세종 16년) : 죽산현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 1543년(조선 중종 38년) : 죽산도호부로 승격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23부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충주부 관할의 죽산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일제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안성군과 용인군에 분할 편입되고, 면이 대거 합병되었다.[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