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에티온아미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에티온아미드
Remove ads

에티온아미드(Ethionamide)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이다.[2] 특히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활성 다제내성 결핵 치료에 사용된다.[2] 더 이상 나병 치료에 권장되지 않는다.[3][2] 경구 투여한다.[2]

간략 정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식별 정보 ...

에티온아미드는 부작용 발생률이 높다.[4] 흔한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설사, 복통, 식욕 부진 등이 있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간염우울증이 포함될 수 있다. 중대한 간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하면 안 된다. 안전성이 불확실하므로 임신 중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2] 에티온아미드는 치오아미드 계열 약물이다. 미콜산 사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에티온아미드는 1956년에 발견되었고 1965년에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5][2] 세계보건기구 필수 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6]

Remove ads

의학적 용도

에티온아미드는 활동성 결핵의 2차 치료법의 일부로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사용된다.[7]

에티온아미드는 음식 유무에 관계없이 경구로 잘 흡수되지만, 내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음식과 함께 투여되는 경우가 많다.[8][9]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여 뇌척수액에서 혈장과 동등한 농도에 도달한다.[9]

에티온아미드의 항균 스펙트럼에는 결핵균, M. bovis 및 M. smegmatis가 포함된다.[10] 드물게 나균[11]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M. avium[12]M. kansasii 감염에 대해서도 사용된다.[7] 이소니아지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지만, 둘 다 프로드러그이고 다른 경로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교차 내성은 13%의 균주에서만 나타난다.[13] 약물 활성화에 필요한 ethA 또는 ethA를 억제하기 위해 과발현될 수 있는 ethR의 돌연변이로 인해 내성이 발생할 수 있다. inhA 또는 inhA 촉진자의 돌연변이는 결합 부위를 변경하거나 과발현을 통해 내성을 유발할 수도 있다.[4]

FDA는 동물 연구에서 선천적 기형을 유발했기 때문에 임신 분류 C로 분류했다.[1][14] 에티온아미드가 모유로 분비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7]

Remove ads

부작용

에티온아미드는 종종 메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한 위장 장애를 유발하여 환자가 복용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9] 이는 때때로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개선될 수 있다.[7]

에티온아미드는 간세포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간 질환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에티온아미드를 복용하는 환자는 정기적으로 간기능 검사를 받아야 한다.[7] 간 독성은 최대 5%의 환자에서 발생하며 이소니아지드와 유사한 패턴을 따른다. 보통 치료 시작 후 1~3개월 이내에 발생하지만 6개월 이상 치료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간기능 검사 이상 패턴은 종종 ALTAST 상승이다.[15]

정신 장애 및 뇌증과 같은 중추 신경계 부작용과 말초신경병증이 모두 보고되었다.[7][12] 에티온아미드와 함께 피리독신을 투여하면 이러한 효과를 줄일 수 있으며 권장된다.[7]

에티온아미드는 갑상선 호르몬 합성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메티마졸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여러 결핵 환자에서 갑상샘저하증과 관련이 있다.[16] 에티온아미드를 복용하는 동안 정기적으로 갑상선 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7]

상호작용

에티온아미드는 동시에 복용하는 다른 항결핵제의 부작용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함께 복용하면 이소니아지드의 수치를 높여 말초신경병증 및 간독성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 사이클로세린과 함께 복용하면 간질 발작이 보고되었다. 리팜피신과 함께 복용하면 높은 간독성 발생률이 보고되었다.[7] 이 약의 라벨에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정신병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라고 명시되어 있다.[1]

Remove ads

작용 메커니즘

에티온아미드는 결핵균의 모노옥시게나제 효소 ethA에 의해 활성화되는 프로드러그[17]이며, 이후 NAD+와 결합하여 이소니아지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InhA를 억제하는 부가생성물을 형성한다. 작용 메커니즘은 미콜산 파괴를 통한 것으로 생각된다.[5][18]

ethA 유전자의 발현은 전사 억제자인 ethR에 의해 조절된다. ethA 발현을 개선하면 에티온아미드의 효능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약물 개발자들이 EthR 억제제를 병용 약물로 관심을 갖게 한다.[4]

다른 이름

  • 1314[19]
  • 2-ethylisothionicotinamide
  • amidazine
  • thioamide
  • iridocin

이 약은 2009년에 화이자가 인수한 와이어스 파마슈티컬스에서 Trecator[1]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된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