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다큐 오다와라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오다와라선(일본어: 小田原線 오다와라센[*])은 오다큐 전철이 운영하는 철도 노선 가운데 하나이다. 도쿄도 신주쿠구의 신주쿠역에서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의 오다와라역까지를 잇는다.
오다큐 전철의 중심 노선에 해당하며, 보통 '오다큐선'이라 불리는 노선은 이 오다와라선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개요
이용객 수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신주쿠역과 가나가와현의 서쪽 지역의 관광지역인 오다와라 사이의 82.5km 구간을 이어주는 사철 노선이며 오다큐 철도의 중심 노선이다.
오다와라에서는 하코네 등산철도와 직접 연결되며, 추가 비용이 드는 유료특급인 오다큐 로망스카가 자주 운행되고 있다. 두개의 지선인 에노시마선, 다마선으로 직접 연결되는 열차도 많이 있고, 요요기우에하라역을 통해 지요다선, JR 조반선과 직접 연결을 하고 있으며 일부의 특급 열차는 JR 고텐바선으로도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통근, 통학노선과 관광 노선의 두가지 성격을 띠고 있는 노선이며 신주쿠 역에 가까운 쪽으로는 복복선화도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다른 전철에 비해 정시출발율이 비교적 나쁜 편이며 2~3분 정도의 열차 지연은 거의 매일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교통사고와 승객에 의한 트러블 등의 사고가 많고, 시간대에 따라서는 한시간에 3번 이상 지나가는 특급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있으며 시간표에 여유 간격이 모자라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노선 정보
Remove ads
역사
-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철도에 의해 전 선을 개통함.
- 1927년 10월 15일 전구간 복선화가 완료됨.
- 1942년 5월 1일 도쿄 급행 전철에 합병되어 '다이도큐'가 됨. '오다와라선'이라는 명칭이 생겨남.
- 1948년 6월 1일 오다큐 전철이 발족함.
- 1950년 8월 1일 하코네 등산철도 하코네유모토역까지 직통연결을 개시함.
- 1955년 10월 1일 신마쓰다역~마쓰다역 사이의 연결 노선이 완성되어 국철 (현재의 JR 도카이) 고텐바선으로의 진입 운행을 개시함.
- 1957년 6월 오다큐 3000형 SE열차가 등장함. 이는 이후의 오다큐 로망스카의 기초가 되는 차량임.
- 1964년 2월 17일 신주쿠역 1차 대 개량공사가 완료됨. 지상 3개선, 지하 2개선의 입체식 터미널이 됨.
- 1977년 7월 1일 신주쿠역 - 혼아쓰기역 구간에 급행의 10량 열차 편성이 개시됨.
- 1978년 3월 31일 영단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의 지요다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개시함.
- 1982년 3월 31일 신주쿠역 2차 대 개량공사가 완료됨. 지상 및 지하 5개선에 10량 210m 홈이 됨.
- 1991년 3월 16일 JR 도카이와 신주쿠 - 누마즈 구간의 상호 진입을 개시함.
- 2002년 3월 23일 쇼난급행과 다마급행을 신설함.
- 2004년 12월 11일 쇼난급행을 폐지하고 쾌속급행과 구간준급을 신설함.
- 2016년 3월 26일 E233계 전동차 운행을 개시하고, 구간준급을 폐지함.
Remove ads
열차의 종별
특급 로망스카
- 별도의 추가 요금이 드는 고급 특급 열차이며, 여러 가지 애칭을 가진 다른 방면의 열차들이 있다.
그 외의 열차 종별
연속 입체 교차로, 복복선화 사업
출퇴근 시간의 단축과 혼잡 완화를 위해 요요기우에하라 - 무코가오카유엔 사이의 구간을 오다큐 전철이 복복선화 사업을, 도쿄 도에서 연속입체 교차로 건설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요요기우에하라 - 노보리토 구간이 완성됨.
- (일본어) 오다큐 전철 복복화 공사 안내 페이지
차량
- 통근형
- 특급형
- 60000형(MSE)(조반 완행선 직결 운행 불가 차량)
- 50000형(VSE)
- 30000형(EXE)
- 70000형(GSE)
여성 전용 차량
다음 시간대 및 구간에는 여성 전용 차량이 실시되고 있다.
- 평일 아침 7:30~9:30에 신주쿠역에 도착하는 상행 쾌속급행·통근급행·급행의 진행방향 기준 맨 마지막 차량 (실시 구간: 오다와라 -> 신주쿠)
- 평일 아침 7:10~9:30에 요요기우에하라역에 도착하는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직결 운행의 급행·통근준급·준급·각역정의 진행방향 기준 맨 마지막 차량 (실시 구간: 시발역 -> 아야세역, 지요다선 내에서는 9:30 이후에는 여성 전용 차량의 운용이 끝남)
역 목록
- 준급 : 준급행 정차역
- 통준 : 통근준급행 정차역
- 급행 : 급행 정차역
- 통급 : 통근급행 정차역
- 쾌급 : 쾌속급행 정차역
- 메모 : 특급 '메트로 모닝웨이', '메트로 홈웨이' 정차역
- 모홈 : 특급 '모닝웨이', '홈웨이' 정차역
- 후지 : 특급 '후지 산' 정차역
- 메에 : 특급 '메트로 에노시마' 정차역
- 에특 : 특급 '에노시마' 정차역
- 사특 : 특급 '사가미' 정차역
- 메하 : 특급 '메트로 하코네' 정차역
- 하특 : 특급 '하코네' 정차역
- 슈하 : 특급 '슈퍼 하코네' 정차역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