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카이도 본선
일본의 동일본 여객철도•도카이 여객철도•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도카이도 본선(일본어: 東海道本線 도카이도혼센[*])은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의 도쿄역에서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의 고베역까지를 잇는 간선 철도 노선과 그 부속 지선을 이른다.
본선의 경우 도쿄역 ~ 아타미역 구간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아타미역 ~ 마이바라역 구간은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가, 마이바라역 ~ 고베역 구간은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가 각각 관할하고 있다. 지선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노선은 각 여객철도 회사가 맡으나 화물 지선 일부는 일본화물철도(JR 화물)이 직접 관할한다.
또한 넓은 의미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도쿄역에서 신코베역까지 구간도 본선에 포함시킬 경우가 있다.
재래선의 지역별 상세는 아래 개별 문서를 참조하라.
- 도카이도선 (JR 동일본)(도쿄역~아타미역 사이)
- 도카이도선 (시즈오카 지구)(아타미역~도요하시역 사이)
- 도카이도선 (나고야 지구)(도요하시역~마이바라역 사이)
- 비와코선 (마이바라역~교토역 사이)
- JR 교토선(교토역~오사카역 사이)
- JR 고베선(오사카역~고베역 사이)
Remove ads
개요
일본에서 최초로 개통한 철도인 신바시역 (후의 시오도메 화물역) ~ 요코하마역 (현재의 사쿠라기초역) 간을 포함해 도카이도(엄밀히 일부는 미노지·나카센도)를 따라 도쿄에서 고베까지의 도시들을 잇고 있다. 일본의 주요 도시들을 지나지만, 원거리 여객수송은 대부분 도카이도 신칸센에 그 역할을 양보하였다. 하지만 현재도 전 구간에 걸쳐 화물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동일본 여객철도가 관할하는 도쿄 - 아타미 구간 및 힌카쿠 선은 도쿄 근교 구간에 속하며, 서일본 여객철도가 관할하는 마이바라 - 고베 구간은 오사카 근교 구간에 속한다. 또, 도쿄 - 오후나 및 힌카쿠 선, 교토 - 고베 간은 전차 특정 구간으로, 도쿄 - 시나가와 구간은 도쿄 야마노테 선내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노선 정보
요약
관점
- 관할·노선 거리 (영업 거리): 전장 713.6km (지선 포함, 도쿄 ~ 고베간은 589.5km)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도쿄역 ~ 아타미역간 104.6km (도카이 여객철도와의 경계는 단나 터널 동쪽 입구 부근)
- 시나가와역 ~ 헤비쿠보 신호장 ~ 신카와사키역 ~ 쓰루미역간 17.8km (힌카쿠 선)
- 하마마쓰초역 ~ 도쿄 화물터미널역 ~ 가와사키 화물역 ~ 하마카와사키역간 20.6km (도카이도 화물선)
- 쓰루미역 ~ 핫초나와테역간 2.3km (도카이도 화물선)
- 쓰루미역 ~ 히가시타카시마 역 ~ 사쿠라기초역간 8.5km (다카시마 선)
- 이리에 신호장 ~ 신코 역간 (2.7km) (여객철도 회사의 영업거리 설정 없음. 현재는 철로가 철거되어 사실상 폐선)
- 쓰루미역 ~ 요코하마하자와역 ~ 히가시토쓰카역간 16.0km (도카이도 화물선)
- 도카이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서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일본 화물 철도:
- 제1종 철도사업자 구간:
- 산노 신호장 ~ 나고야 항역간 6.2km (나고야 항선)
- 스이타 신호장 ~ 오사카 화물터미널역간 8.7km (오사카 터미널선)
- 제2종 철도사업자 구간:
- 시나가와역 ~ 아타미역간 (97.8km)
- 시나가와역 ~ 신쓰루미 신호장간 (13.9km)
- 도쿄 화물터미널역 ~ 하마카와사키 역간 (12.9km)
- 쓰루미역 ~ 요코하마하자와 역 ~ 히가시토쓰카 역간 (16.0km)
- 쓰루미역 ~ 핫초나와테역간 (2.3km)
- 쓰루미역 ~ 신코 역 ~ 히가시타카시마 역 ~ 사쿠라기초 역간 (11.2km)
- 아타미역 ~ 마이바라역간 (341.3km)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세키가하라 역간 (10.7km)
- 미나미아라오 신호장 ~ 미노아카사카 역간 (1.9km)
- 마이바라역 ~ 고베역간 (139.0km) (홋포 화물선 경유)
- 스이타 역 ~ 우메다역 ~ 후쿠시마역간 (8.5km)
- 제1종 철도사업자 구간: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궤간: 1,067 mm (협궤)
- 역 수:
- 복선 구간:
- 전철화 구간:
- 산노 신호장 ~ 나고야 항역을 제외한 전 구간 직류 1,500 V 전철화
※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카이도 본선의 확장’으로서 건설되었기 때문에, 그 점에서 보면 지선을 제외한 전 구간이 ‘복복선’이다. 또한, JR 선로 명칭 공고에서는 도카이도 신칸센 및 산요 신칸센을 도카이도 본선의 이름 없는 지선으로 취급되고 있다 (1982년의 도호쿠 신칸센 개통 이전에는 완전한 추가 선로 취급이었다). 한편, 기본 사업 계획이나 국토교통성 감수 《철도요람》에서는 다른 노선으로 취급되고 있다.
Remove ads
운행 열차
JR 동일본
- 185계 (도쿄 - 아타미, 이토 선에 직결운행)
- 211-0계 (JR 동일본)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에 직결운행)
- 211-2000계 (JR 동일본)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에 직결운행)
- E217계 (도쿄 - 아타미)
- E231-1000계 (도쿄 - 아타미 - 누마즈, 이토 선에 직결운행,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 E233-3000계 (도쿄 - 아타미)
- 373계 (JR 도카이) (도쿄 - 아타미 - [JR 도카이 구역])
JR 도카이

- 117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가나야마 - 오가키 - 마이바라)
- 211-0계 (JR 도카이) (가케가와 -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마이바라)
- 211-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 211-200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 211-5000계 (JR 도카이)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 211-6000계 (JR 도카이)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221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 223-1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 223-2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 223-600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 225-0계 (JR 서일본) ([JR 서일본 구역] - 마이바라 - 오가키)
- E231-1000계 (JR 동일본)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누마즈)
- 311계 (시즈오카 - 가케가와 -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313-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313-30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오가키 - 미노아카사카)
- 313-23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313-25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313-2600계 (아타미 - 도요하시,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313-3000계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313-3100계 (고텐바 선에 직결운행, 미노부 선에 직결운행)
- 313-5000계 (하마마쓰 - 도요하시 - 기후 - 오가키 - 마이바라)
- 373계 ([JR 동일본 구역] - 아타미 - 시즈오카, 하마마쓰 - 도요하시, 오가키 - 마이바라)
- 683-2000계 (JR 서일본) (나오야 - 오가키 - 세키가하라)
- 키하 75 (타케토요 선에 직결운행)
JR 서일본
역 목록
요약
관점
- 범례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통과, ∥: 다른 노선 경유
동일본 여객철도 관할
- 접속노선에는 노선의 정식 명칭만 실음.
- ※ 영업을 아직 하지 않았음을 나타냄.
도카이 여객철도 관할
아타미 ~ 하마마쓰
하마마쓰 ~ 마이바라
미노아카사카 지선
서일본 여객철도 관할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